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강물중 구리이온종의 농도와 오염과의 관계

        蔡命俊,洪泰基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4 環境科學論文集 Vol.5 No.-

        한강의 세지점(팔당, 성산, 행주)의 표면수 중 시료의 분석으로부터 오염정도를 추정하였다. 구리이온선택전극으로 착물이 되지 않는 맨 구리이온농도를, 원자흡광법으로 총구리양을 정량하고, pH, 총탄산양등을 측정하여 주된 리간드로 ??와 ??를 가정하고 알려진 평형상수로 부터 각종 무기구리이온종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이 무기구리이온종의 구리총량에 대한 비율은 오염이 심한곳 일수록 작은값으로 나타나 상대적 도시오염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물고기에 해로운 화학종인 ??, ??는 미량으로 지점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Distribution of copper soluble species, ??, ??, ??, CuCO₃(aq), ??, and total copper (??) was determined for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ree points (Pal dang, sung San, Haeng Ju) of Han Ri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fraction of the total inorganic complexed copper (??) has correlation with municipal pollution.

      • 동해안 일부 연안해수의 COD 및 중금속함량

        채명준,홍태기,이수영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2 環境科學論文集 Vol.13 No.-

        위락시설이 위치한 동해안의 연안해수에 대한 수질환경자료로 COD와 아연, 카드뮴, 납 및 구리 등의 중금속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COD(1.24∼1.41mg/L), Zn(4.34∼7.84ppb), Pb(1.56∼2.19ppb), Cu(0.90∼2.45ppb) 및 Cd(0.17∼0.30ppb)로 나타났다. 이로 부터 오염상태의 정도를 꼬집어 말할 수는 없으나 아직은 오염지역에서 벗어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앞으로의 오염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자료로써 기여할 것이다. The COD and the concentrations of Zn, Cd, Pb, and Cu have been determined in some coastal areas of the Eastern Sea, reflecting the influence of the pollution sources along the shore line. Applying spectrophotometric rapid method for COD and the voltammetric determination procedure in particular suitable for heavy metals at the trace level,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a consistent data basis for the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e sea could be achieved.

      • 바닷물 중의 화학적 산소요구량: 가열분해시간의 영향과 남해안 및 서해안 일부에서의 자료

        채명준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5 環境科學論文集 Vol.6 No.-

        바닷물처럼 염소이온의 함유량이 많은 시료중의 COD측정 절차에서 실험자마다 다르게 잡고 있는 가열분해시간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가열시간 단축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알카리성 과망간산칼륨법에서 공정시험법대로 60분이 최고의 COD결과를 주었고 40분만해도 86%로 90분 때에도 오히려 85%로 감소함을 보아 정확히 60분 가열해야함을 알았다. 화력발전소가 위치한 남해안 삼천포, 및 서해안 보령연안에서 38개의 시료를 채취 COD를 측정한 결과 모두 1.0∼3.9mgO₂/L로 나타나 해양상태가 양호함을 알았다. In the manipulative procedure for the determination of chemical oxygen demand(COD) in seawater by alkaline permanganate reflux method, effects of the reflux time on the result are evaluated. Reflux for 60 minutes, it was found to give maximum COD, for 40 minutes only 86%, for 90 minutes only 85% of the maximum values.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urface seawater samples,38 from southern and western coasts where power plants are located, are reported. COD range was 1.0∼3.9mgO₂/L.

      • 바닷물 COD-흡광도 측정에서 침전물 방해의 처리

        蔡命俊,金道洙,李壽永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3 環境科學論文集 Vol.14 No.-

        알칼리성 100℃에서 과망간산칼륨-흡광도 측정에 의한 바닷물 COD test에서 생성되는 염기성 침전물에 의한 혼탁성 방해문제를 해결 하였다. 황산, 염화암모늄, 몰리부덴산암모늄 중에서 맨 나중것이 가장 좋았으며 산성 COD??법에서와 별로 차이가 없는 흡광도 특성을 주었다. 0.75mN 과망간산칼륨, 0.01M 몰리부덴산암모늄 일때 좋은 재현성과 직선성의 검량선(기울기 0.0124A/ppm, CV 2.4%)을 얻을 수 있었다. A procedure for solving the interference problem in photometric permanganate COD test arising from the hydroxide precipitate formation during the alkaline digestion is described. By proper choice of a dissolving agent, ammonium molybdate amongst tested agents, the complete dissolution of the suspension of turbidic precipitates can be achieved without any accompanying effect on the absorbance measurement. With 0.01M ammonium heptamolybdate(for 0.75mN permanganate), a linear calibration working curve with a slope of 0.0124 Ab/ppm COD is obtained over 0-5 ppm COD range. The CV for analytical results obtained with the calibration curve was 2.4% for the mean of six replicates.

      • 남해안과 서해안 일대 연안해수중 붕소함량의 변화

        채명준,홍태기 漢陽大學校環境科學硏究所 1987 環境科學論文集 Vol.8 No.-

        육지로부터의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염두에 두고 남해안의 삼천포, 서해안의 보령, 서천 세곳의 연안해수중에 함유된 붕소의 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적으로 각각 3.50, 3.91, 3.95ppm으로 대양의 자연함유량보다 낮은 값이다. 이로부터 붕소배출원의 오염효과는 아직 없음을 알 수 있다. 계절별, 간'만조별 변화추세로 보아 이런 감소추세는 유입수에 의한 희석효과가 아니라 침전무기질에 의한 removal process임을 확인하였다. The composition of seawater is remarkably constant, especially boron, a bio-unlimited element, shows little natural variation in its concentration. It is tempting to try to relate the variation of the boron contents in coastal seawater to the influence of the pollution sources located along the shorelines. The average boron concentrations in surface seawater samples taken from Seochun, Boryong, and Samchunpo, where power plants are located, were 3.95, 3.91, and 3.50 in ppm respectively, which are lower values than 4.2ppm, the natural content in the ocean.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pollution effects from the inland or industrial waste waters are not definite yet in the sampled areas. From the tendencies in seasonal and tidal variations in different area, it is apparent that the removal processes exert the major control on the born concentration of coastal seawater, compared to mixing and dilution effects.

      • 시차펄스 양극벗김전압전류법(DPASV)에서 검량선 비교법에 의한 바닷물중 미량 금속의 신속정량

        채명준,이종협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85 環境科學論文集 Vol.6 No.-

        바닷물에 함유되어 있는 미량금속(Zn,Cd,Pb,Cu)을 시찰펄스 양극벗김전압전류법(DPASV)으로 신속히 정량하기 위하여 검량선 비교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한 결과 표준물 첨가법에서의 분석시간인 2시간보다 휠씬 빠른 50분으로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 방법에 의한 상대오차는 5% 이내로 잘 맞았다. 이 방법으로 한국의 남해안과 서해안인 삼천포와 보령 앞바다의 바닷물 분석 결과를 보고한다. 아 연: 4.5∼13(S), 4.0∼10(B) 카드뮴: 0.03∼0.46(S), 0.05∼0.64(B) 납 : 0.96∼5.79(S). 0.59∼2.68(B) 구 리: 1.97∼7.89(S), 2.20∼3.20(B) S : 삼천포, B:보령 모든 농도는 ppb이다. Calibration curve method in differential pulse anodic stripping voltammetry has been developed and made applicable to the rapid analysis of trace metals (Zn, Cd, Pb, Cu) in seawater. By this method the running time of a determination was able to reduce 50 minutes from 2 hours in the case of standard addition method, within relative errors less than 5% except cadmium(max. 20%). This method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40 samples from southern(Samcheonpo: S), western(Boryung: B) coastal surface seawater. Results shows 4.5∼13(S), 4.0∼10(B) for Zn: 0.03∼0.46(S), 0.05∼0.64(B) for Cd:0.9∼5.8(S), 0.6∼2.7(B) for Pb:2.0∼7.9(S), 2.2∼3.2(B) for Cu in ppb.

      • 남해안과 서해안 일대 연안해수중 화학적 해양환경

        홍태기,채명준,이수영 漢陽大學校 環境科學硏究所 1991 環境科學論文集 Vol.12 No.-

        화력발전소가 위치한 남해안의 삼천포, 서해안의 보령, 서천 해안연안의 화학적 환경자료를 조사하였다. 계벌별로(1984년 4월∼1985년 7월까지) 표층수중의 COD, sulfate, Fe, Cd, Pb, Cu, Cr의 함량을 정량하였다. COD, sulfate, 그리고 Fe이 함유량은 비교적 춘계에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중금속은 하계에 높게 나타났다. 연평균 중금속의 경우 일반적으로 서천이 가장 높고, 보령과 삼천포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환경자료는 다른 지역과 비교할 때 서천 연안해수중 납의 함량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Samples of surface seawater, collected seasonally(April, 1984∼July, 1985) from Samchunpo(southern coast) and Boryong and Seochun(western coast), where the fossil-fueled power plants are located, were analyzed for COD, sulfate, Zn, Cd, Pb, Cu, Fe, and Cr. Locational and seasonal variations have been evaluated. The obtained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heavy metal(exception for lead at Seochun) pollution in the studied area, compared with values found in literature for metal concentrations in other coastal areas.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