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Competition of two ectoparasitic mites,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mercedesae of honey bee, Apis mellifera

        Dongwon KIM,Sun min KIM,Chuleui JU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Varroa destructor and Tropilaelaps mercedesae mites are ectoparasitic to honey bee having similar life cycle and damage symptoms. Both invade into the last instar larval cell and reproduce during capped brood period of honey bee development. Female adult mites escape from the comb cell on the back of the emerging adult bee (phoretic period) and invade another cell for reproductio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effect of competitive interaction on each parasitic mite species population. We assessed population monitoring of host and parasitic mites. Honey bee population was monitored by approximating sealed brood and adult bees based on the coverage of the combs. Parasitic mites were monitored by detection technique like sugar shake, stick board, and sealed brood. This monitoring continued at weekly interval during 2008, 2014, and 2015. Additionally Invasion distribution of each species was checked. We calculated carrying capacity, population growth rate, and competition parameter from population monitoring data. Single parasitic mite, Varroa occurred and infestation increased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in 2008. Co-occurrence of Varroa and Tropilaelaps in honey bee colonies was studied in 2014 and 2015. Carrying capacity was higher in single parasite infesting honeybee than parasites in co-occurrence. While using sugar method, carrying capacity of Varroa alone was found higher than in its co-occurrence with Tropilaelaps. Population growth rate of Varroa when tested alone was higher than its co-occurrence with Tropilaelaps in sugar method. Population growth rate of Varroa and Tropilaepas was higher in sticky method than sugar methods when they were tested in co-occurrence. Population growth rate is higher in Tropilaelaps (0.09) than Varroa (0.05) when both are tested in co-occurrence. We calculated competition parameter of Varroa and Tropilaelaps which was 1.9 and 0.53, respectively. Negative effect on regulation of carrying capacity and population growth rate is due to interspecies competition. Varroa population was higher than Tropilaelaps because there was high intraspecies competition among Tropilaelaps. Single Varroa or its co-occurrence with Tropilaelaps both can destroy honeybee colonies.

      • KCI등재

        사용자의 숙련도와 컴퓨터 성능에 대한 만족도 관계 분석

        민동원(Dongwon Min),김재민(Jae Min Kim),정성우(Sung Woo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7 No.6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사용자의 숙련도와 컴퓨터 성능에 대한 만족도 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본다. 기존의 컴퓨터 공학계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세심한 배려 없이 주로 성능 그 자체에만 관심을 가져왔으나, 최근 사용자에 대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프로그램을 통하여 로그를 모아서 다각적으로 숙련도와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평가한다. 실험 결과는 사용자의 숙련도와 그들이 요구하는 성능 간의 관계가 유의함을 보여준다. 또한 어느 수준의 성능에 사용자들이 만족하는지를 보여주며, 회귀 분석을 통해 숙련도와 불편을 느끼는 횟수 사이의 상관 관계도 제시한다. 본 논문을 기반으로 컴퓨터 공학과 경영학의 많은 공동 연구가 진행되어, 컴퓨터 시스템이 사용자를 더욱 잘 고려하여 최적화된 성능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elation between computer user proficiency and satisfaction of computer performance. Though the traditional computer engineering society has focused on performance itself without careful consideration of users, there are opinions that users should be taken care of.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proficiency and satisfaction with various viewpoints by collecting log through real progra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re is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user proficiency and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paper shows how high performance satisfies users and presents regression analysis to find relation between proficiency and the number of inconveniences. Based on this paper, we expect computer systems to better consider users through more collaborative research between computer engineering and business administration.

      • KCI등재

        모니터 각도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

        민동원(Min, Dongwon) 한국상품학회 2013 商品學硏究 Vol.31 No.5

        연구목적: 최근에는 다양한 크기나 멀티터치 등의 요인 뿐 아니라 사용자의 특성에 적합하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지가 모니터 선택에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모니터 각도와 같이 소비자가 컴퓨터 사용에 있어 쉽게 그 변화를 지각할 수 있는 요인은 기술의 변화로 인한 편인의 지각이 용이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제품 가치평가에 크게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모니터의 각도에 따라 모니터의 화면 속 내용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처리가 달라지는 지를 검증함으로써 과연 모니터 각도가 소비자의 지각적 반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체화된 인지'와 '심리적 파워'의 개념을 도입해 모니터 각도 조절에 따른 심리적 파워가 정보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실험은 3(모니터 각도: 50o vs. 70o vs .90o)의 피험자 간 설계(between-subjects design)를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로서 정보처리 성과는 주의와 기억으로서 측정되었다. 각 조건 간 주의와 기억에 차이가 있는지 보기 위해 ANOVA와 계획된 대조가 진행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실험 결과 모니터 각도가 작아질수록 화면을 내려다보게 되고 이로 인해 높아진 심리적 파워감이 후속 정보 처리를 방해함이 밝혀졌다. 화면 속 광고를 쳐다본 시간으로 주의를 측정한 결과, 5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는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 보다 짧게 광고를 쳐다보았으며, 9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는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보다 오랫동안 광고를 쳐다본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 각도에 따라 피험자가 화면 속 광고 정보를 기억한 정도에도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보다 5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가 광고 속 정보를 덜 기억하였으며, 9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가 70o의 모니터에서 광고를 본 피험자보다 광고 속 정보를 더 잘 기억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컴퓨터의 성능과 사양이 동일하다고 하더라도 모니터의 변화만으로 정보처리 능력이 달라짐을 보임으로써 컴퓨터의 활용에 있어 얼마나 사용자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지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다른 기기의 사용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지각적 반응이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모니터 각도에 따라 심리적 파워가 달라져 정보처리가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으나 실제 심리적 파워감을 측정하지 않았다는 점이 한계로 남는다. 향후 연구방향: 사용자의 체화된 인지가사용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인 만큼 사용자 반응을 작업 능력이 아닌 신체 생리적 지수로 측정하게 된다면 체화된 인지의 핵심인 '두뇌-마음-신체'간 강력한 연결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공헌점: 향후 기술 발전에 따라 기술이 결국 사용자의 사용상황에 따라 작업능력이 달라질 수 있고, 이는 선호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공학 분야에서도 소비자 심리와 접목하는 융합연구가 필요한데 이에 좋은 연구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Recently, the adjustment of the monitor angle to fit with computer users' characteristics is one of the major factors in the choice of monitors. Factors, such as adjustment of monitor angle which users readily perceive the technical improvement, can significantly affect users' evaluation of the product because the benefit judgment is relatively easy. Curr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monitor angle information processing(e.g., attention, recall) based on embodied cognition and psychological power perspective. Design/methodology/approach: An experiment used 3(Monitor angle: 50o vs. 70o vs .90o) between-subjects design with attention and recall as the dependent variables. ANOVA(Analysis of Variance)and planned contras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nitor angle on information processing. Results/findings: The results of an experiment using a fictitious advertisement showed that participants attention and recall performance worsened as the monitor angel was decreased(i.e., 90o→70o→50o).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Current research found that the powerful feeling powerful generated by the adjustment of the monitor angle affected further information processing, even though computer specification and target advertisement were the same. This implies how it is important that technology considers users' psychological states and usage circumstance. This work has a limitation on the mediating analysis, that the results did not show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power. Future work/research: Future work awaits for various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nitor angle and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 results, current research hopes that further studies investigate the convergence of technology and consumer psychology in order to enhance users' satisfaction by consideration of users' characteristics and usage environment. Originality/value: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search regarding the convergence of engineering and consumer psychology.

      • KCI등재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에 대한 이해

        민동원(Dongwon Min) 한국경영학회 2014 Korea Business Review Vol.18 No.4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은 직접적인 수익을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기업과 공중이 함께 공익활동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업이 단지 브랜드 인식 제고나 선호도 개선을 위해 공중과 함께 하는 방식이 아니라 반드시 공중의 참여가 수반이 되어야 완성될 수 있는 형태의 공익 마케팅 유형이며, 기업과 공익 마케팅의 참여공중, 그리고 수혜대상자 간 ‘공유’되는 가치의 창출에 주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의 본질적인 속성을 고찰하고자 하기 위해 대표적인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의 예로 삼성화재안내견학교를 살펴보았다. 삼성화재안내견학교의 안내견 육성 과정에는 퍼피워킹, 종?모견 및 은퇴견 홈케어, 그리고 견사 자원봉사라는 공중의 자원 봉사 활동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자원봉사자의 참여는 안내견사업의 시작부터 함께 해왔고, 그 영역은 자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물론 삼성화재안내견학교가 이들이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장(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지만, 자원봉사자의 주도로 기업의 공익활동이 더 빛을 발한다는 것은 공익 마케팅의 타 유형과 다른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 만의 특징이 잘 드러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자원봉사자의 자발적 참여는 안내견사업의 진정성이 제대로 공중에게 각인될 수 있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익 마케팅 활동에 사용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장기적으로 강력하게 대중에게 지지 받을 수 있는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을 실례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기업들이 어떻게 자발참여형 공익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할 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Over the past two decades, a large body of research has examined ‘corporate-cause association’ in the domain of marketing. The main objective of marketing associated cause (“Cause marketing”) is a mutual benefit of both corporates managerial performance and public welfare. A recent literature classifies cause marketing into four types, such as cause-related marketing, social enterprise, donation, and public-volunteered cause marketing on the basis of two criteria as ‘the level of profit-orientation’ and ‘activity player (corporate only vs. corporate and public).’ Specifically, this study outlines the concept of public-volunteered cause marketing, its characteristics, and how organizations can benefit from the active and sincere volunteering.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public-volunteered cause marketing is that the volunteers are core player of the activity as well as corporate. This study examines the fundamental features and value of public-volunteered cause marketing via the Samsung Guide Dog School case study. Samsung Guide Dog School is the only guide dog school in the world which is fully funded by a corporation. The main activity of Samsung Guide Dog School is training guide dogs to help people with vision problems for their independent living in the community. Many people participate in various volunteering programs of Samsung Guide Dog School, such as puppywalking, home care, and kennel volunteering. This study reviews the activities of volunteers and analyzes how beneficial those are for the reputation of Samsung and it’s cause marketing.

      • KCI우수등재

        광고 음악 내에서의 정서적 조화도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민동원(Dongwon Min) 한국경영학회 2016 經營學硏究 Vol.45 No.4

        Music is quite complex stimulus, which is construct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pitch, melody, rhythm. Like language, music has its grammar and syntax and is processed cognitively as well as emotionally. In many cases, commercial airs different types of music (i.e., background music (BGM) and sound logo) respectively, which in turn audiences perceive the different level of congruency of music. Because commercials’ BGMis changeable with each version of commercials, the level of musical congruency between BGM and sound logo can be varied with each version.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musical congruency on memory of advertised messages (e.g., body copy messages, brand). An experiment is conducted and musical congruency (high vs. moderate vs. low) is manipulated by modify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emotions aroused by BGM and sound logo. Results showed different memory patterns of advertised messages in terms of the level of emotional congruency. In detail, memory of body copy messages presented with BGM revealed a linearly increasing pattern, while memory of brand presented with sound logo revealed an inverted U-shaped pattern. Sound logo was more recognized when it was more incongruent with BGM emotionally.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이슈논문] 지위 상징적 소비를 통한 지위 위협에 대한 대응과 정당성 신념의 역할

        민동원(Min, Dongwon),박기완(Park, Kiwan)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1

        최근 몇 년 간 한국 사회는 점점 악화되는 취업난, 빈부 차이의 심화 등으로 인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SES: socioeconomic status)가 위협받고 이로 인해 불안이 가중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이 지위 상징적 소비(status consumption)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특히 사회 시스템의 정당성에 대한 신념과 지각된 불안감의 역할에 주목했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다는 위협을 느낄 경우 불안이 유발되는데, ‘사회적 시스템이 정당하다’는 신념이 강조되면 이 불안감은 더욱 증폭될 수 있다. ‘뿌린대로 거둔다(또는 ‘그럴 만해서 그렇다(deservingness)’)라는 ‘인과응보(retribution)’의 관점이 접목되면, 사회경제적으로 낮은 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느끼는 불안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는 심리적 대응기제로서의 지위 상징적 소비의 증가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같은 예상은 실증연구에서 증명되었는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vs. 높은) 그룹은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선택 빈도가 더 높았으며, 과시적으로 소비하려는 경향도 더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과 지위 상징적 소비에 대한 인과관계는 정당성 신념이 강할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지각된 불안감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위협과 정당성 신념이 럭셔리 브랜드 선택 및 과시적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이론적 및 사회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특히, 한국사회에의 함의를 (1)정당성 강조에 따른 의도하지 않은 효과와 (2)지위 상징적 소비를 활용한 심리적 대응의 장기적 효과의 두 가지 관점에서 논하였다. The extant literature has proposed and found the compensatory role of high-status products and brands. People tend to cope with threats to SES (socioeconomic status) by consuming products or brands that a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status. As such, they compensate for lowered status and restore self-worth through consumption. This property of status consumption as self-affirmation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that has recently suffered from diverse societal problems such as skyrocketing unemployment and income polarization and inequality.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 the role of justice belief in coping with psychological threats to SES through status consumption. We contend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reats to SES and anxiety is moderated by justice belief that status in society is based on merit, deservingness, and retribution. When their SES is threatened, we hypothesize that people with strong (versus weak) justice belief feel higher level of anxiety, and, accordingly, reply more on status consumption for its reparative effects on the self. To test this hypothesis, we conducted an experiment in which psychological threats to SES were manipulated and justice belief was measured on the BMI (belief in meritocracy ideology) scale. First, we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ats to SES and two measures of status consumption (i.e., anticipated frequency of luxury consumption and luxury brand logo size). More importantly, we found that this causality was more pronounced for people with stronger, rather than weaker, justice belief.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societal contribu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We offer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the Korean society in two aspects: (1) unintended consequences of over-emphasizing the concept of social justice and (2) long-term effects of coping with threats to SES through status consumption.

      • KCI등재

        반려동물 소유와 애착이 육류제품의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민동원(Min, Dongwon) 한국상품학회 2011 商品學硏究 Vol.29 No.4

        오랜 기간 동물은 인간과 함께 생활해왔지만 반려(companion)의 대상으로서의 동물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연구들은 지난 30여 년전부터 진행되기 시작했다. 이들 연구는 주로 반려동물의 소유와 동물과의 우정이 주는 심리적, 교육적, 그리고 의학적 영향을 다루고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마케팅 분야에서는 반려동물로 인한 심리적 경향과 이의 영향에 많은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육류광고를 대상으로 마케팅 실무의 관점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소유 및 애착이 광고의 맥락에 따라 제품에 대한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본다. ‘소 안면 중심’ 또는 ‘육질 중심’의 소고기 광고를 이용한 실험 결과, 반려동물의 소유여부, 반려동물에 대한 애착도, 그리고 광고맥락 모두 광고 소고기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유의한 변수들임이 확인되었다. 소유여부와 광고맥락 간 상호작용 역시 유의하였는데, 반려동물을 소유한 경우와 애착도가 높은 경우 모두 피험자는 ‘소 안면 중심’광고에 노출되었을 때에 ‘소고기 육질 중심’ 광고에 노출되었을 때 보다 더 부정적인 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였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소유하지 않은 경우와 애착도가 낮을 때는 이 같은 맥락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하고 관련 산업의 규모도 팽창하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반려동물과의 교감이나 애착과 같은 심리적 경향의 효과는 다양한 모습으로 현장에서 발견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광고의 맥락은 유통 매장이나 광고 유인물 등 실생활에서 매우 쉽고 빈번하게 접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실제 육류 마케팅 현장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 of current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t ownership and attachment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 relation to meat ad. First, this paper discusses companion animals as they symbolically represent the social identity of the owner. Next, this paper discusses pet ownership and attachment in the perspective of phys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s. Guided by such theorizing, this paper proposes the negative effect of pet ownership and attachment on persuasion of meat ad focused on the animal(cow) face because the ad leads to high likelihood that pet owners and high pet attachment individuals perceive the advertised animal as the animal itself, not the food resource. Self-reported attachment to the animal is measured using the Lexington Attachment to Pets Scale which is the most thoroughly tested instrument in use today. In the study, participants are exposed to a beef ad focused on the cow face or the texture of meat. The results reveal that the extents to which participants’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re influenced by ad context are moderated by their pet ownership and attachment. Findings show that both participants who are/were a pet owner and participants who have a strong pet attachment evaluate the advertised beef less favorably and showed lower purchase intention when they are exposed to the beef ad focused on the cow face versus those exposed to the beef ad focused on the texture of meat. These effects are not observed among the both participants who have never had any pet and participants who have a weak pet attachment. Building on this knowledge,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ompanion animals are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뉴스 데이터를 활용한 AR-KNU 감성사전 기반의 대학 평판도 평가

        박상민(Sang-Min Park),엄창민(Chang-Min Eom),온병원(Byung-Won On),정동원(Dongwon J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3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 efforts to evaluate the reputation of universities so far, previous studies are limited because of the inherent limitation, temporal inconsistency, and restricted insight discovery. This paper presents a new sentiment analysis-based university reputation evaluation algorithm that is verifi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with existing methods. To achieve the goal, a sentiment lexicon is manually constructed in the first step and the proposed method extracts sentiment sentences and clusters in the next steps. Specifically, the proposed method first generates fine-grained clusters through clustering, cluster merging, cluster labelling, and then evaluates the reputation results of universities. Finally, the paper shows the comparison between the existing and proposed methods.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to identify specific university insight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algorithms with high accuracy for evaluating the reputation of universities. In addit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meaningful basic data to address a wider range of issues including university reputation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