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예언과 공연: 에스겔서 12장 1-16절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공연(公演)으로서의 예언”

        이종록(Lee Jong-Lock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0 신학사상 Vol.0 No.149

        이 논문은 에스겔서 12장 1-16절을 통해서, 공연이라는 예술형식으로 하나님 말씀을 전하는 행위예언에 대해서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하나님은 완악한 이스라엘 백성들로 하여금 하나님이 누구인지를 분명히 알게 하기 위해서 에스겔로 하여금 그들에게 예언하게 하시는데, 특이한 점은 공연(公演)을 통해서 예언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에스겔은 아방가르드, 즉 전위예술가이다. 그는 공연을 통한예언으로 당시대 사람들에게 새로움을 보여줌으로써 그 시대정신에 강력하게 저항했다. 에스겔은 하나님이 일러준 대로 하나님 말씀을 행위예언이라는 공연을 통해서 선포함으로써, 예언과 공연이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에스겔은 그들에게 하나님 말씀을 들려주고 그들을 변화시키기 위해 그들을 공연에 참여케 해서 그들과 공연(共演)한다. 그런 방식을 택한 까닭은 에스겔이 공연하는 내용이 바로 그들 자신들의 현실적인 문제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여기서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은 에스겔이 공연을 하지만, 그것은 결코 재현이 아니고 앞으로 일어날 사건에 대한 선포이기 에, 그 사건은 반드시 일어난다는 것이다. 에스겔은 신체적 공연이라는 행위예언을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진실을 대변하게 하고, 그들로 하여금 결단을 촉구하면서, 그들이 심판을 당하고 이방에 흩어진 다음에 하나님을 아는 새로운 삶을 살 것이라는 하나님 말씀도 전한다. 예술은 사람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인간들은 구체적인 존재경험을 통해 인간이 된다. 이것이 바로 공연을 비롯한 예술행위들을 통해서 사람들이 소망하는 것이고, 그렇기에 에스겔과 그 시대 사람들이 행한 공연은 우리가 사는 이 시대에도 의미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bout the act-prophecy that a prophet delivers the Word of God by the form of art as performance in chapter 12 verses 1-16 of the Book of Ezekiel. God called Ezekiel as his spokesman and made him to prophesy to the perverted people of Israel in order to let them know clearly who is God. Then, it is very particular that God requests to Ezekiel to prophesy by the form of performance. God names him “sign" or “symbol" . It means that Ezekiel is the prophet who proclaims the message from God to the Israelites and he becomes message itself by eating the scrolls that the word of God is written and delivers that message not only by words from his mouth, but also by performance of his body. We can find that prophecy is very closely connected with performance. On this point, Ezekiel is an avant-garde. By his performance, he resists the spirit of his age and the immoral and profane life style of his contemporaries. Ezekiel does performance in order to deliver the word of God to the Israelites and let them repent their sins and transform to the new life. Then, he does not practice his performance by himself. He plays together with his spectators. Therefore, in his performance the separation and distance between actor and spectator is disappeared. This is the ultra modern form of performance as “'participation" and “relational aesthetics." Ezekiel takes that form of coacting because the content of his performance is about the future of his spectator, that is, the Israelites. The performance of Ezekiel is not the reproduction of the past history, but the foreshadow of the horrible future of the Israelites that will occur inevitably and they cannot escape. The performance of Ezekiel will be anticipated to take their breath away and they should be horrified by that performance. But they does not show any fear or worry at least. However, by his body performance, Ezekiel tries to let them confront the tragic truth and to urge their decision i

      • KCI등재

        십일조로 이루는 샬롬 - 신 26:12-15를 중심으로: 십일조로 이루는 샬롬

        이종록(Lee Jong-Lock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6 신학사상 Vol.0 No.132

          신명기 법전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때까지 지방성소에 바쳤던 모든 예물들을 그 이후로는 중앙성소에만 바치도록 규정한다. 그리고 드리는 예물들을 사회적으로 어려운 사람들과 함께 나누게 하는데, 여러 예물들 가운데서 특히 십일조가 그런 역할을 담당했다. 이런 점에서 십일조는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샬롬을 실현하는 중요한 방편이었다.   신명기에서 십일조에 대해 이야기하는 본문은 12장, 14장, 그리고 26장인데, 14장과 26장은 12장과 달리 "셋째 해에 드리는 십일조"를 언급한다. 그런데 이것은 신명기 내에서도 특별한 규정일 뿐만 아니라, 구약성서 다른 곳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규정이라는 점에서 독특성을 갖는다.   In the book of Deuteronomy, we can find the phrases about the tithe in ch. 12, 14, and 26. Ch. 12 is different from ch. 14 and 26 which say about the tithe of the third year. This rule about the tithe of the third year is very special, because we can not meet this rule except in the book of Deuteronomy. The ancient Israelites collected the third year tithes and stored them at their local temples in order to help the helpless living in their cities. As we know, during the reformation of the king Hezekiah and the king Josiah, the ancient Israelites dislike and destroy their local shrine. Therefore, this is very dangerous for the Israelites to collect their tithes at their local shrines in order to help the helpless. This rule may make the system of the central shrine as powerless. But in spite of this dangerous result, they kept the rule.   The book of Deuteronomy tells about the ancient Israelites who wanted to realize shalom through the offerings, especially the tithes. The ancient Israelites made the official organizations for excercise their thoughts in the Deuteronomic Code, in order to distribute their offerings to the Levites and the poor through the whole country.

      • KCI등재

        악법(惡法)을 주신 하나님?: 에스겔서 20장 25-26절 연구

        이종록(Lee, Jong-Locke)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0

        이 논문은 에스겔서 20장 25-26절이 무엇을 말하는지, 특히 “선하지 못한 율례와 능히 지키지 못할 규례”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본문의 시대적 상황, 구조적 특징, 문학적 특징 그리고 신학적 특징들을 살핌으로써 구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구약성서 에스겔서에서 가장 곤혹스런 본문이 바로 20장 25-26절이다. 25-26절은 하나님이 이스라엘에게 “선하지 못한 율례와 능히 지키지 못할 규례”, 즉 악법(惡法)을 주시고, 이스라엘로 하여금 그 악법을 지키게함으로써 결국 이스라엘을 멸망케 하셨다는 것이다. 이것은 구약성서가 전체적으로 말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으로 보여서 매우 충격적이다. 그래서 이 구절들은 수 세기 동안 성서 연구자들을 괴롭혀 왔다. 에스겔이 말하는 “선하지 못한 율례와 능히 지키지 못할 규례”는 인신희생제의를 가리키는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고대 이스라엘 사회에서 실제로 행해진 인신희생제의, 특히 장자희생제의에 대해 에스겔이 신학적으로 고민했을 것이다. 주전 591년, 바벨론이 유다를 2차 침공해서 예루살렘을 함락하고 유다를 멸망시킬 참담한 사건이 불과 3,4년밖에 남지 않은 시대적 상황에서, 인간은 결코 하나님의 법을 지킬 수 없으며, 결국 그로 인한 비극적 결말을 피할 수 없다는 절망적인 인식이 에스겔로 하여금 당시 이스라엘 사람들이 야훼께 드리는 인신희생제의를 하나님이 주신 악법으로 간주하게 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at proving what Ezek 20:25-26 says, what “the laws that were not good and rules by which they could not live” is, through the study of that contemporary situation, structural, literal, and theological features of Ezek 20:25-26. According to the studies until now, it is very clear that “the laws that were not good and rules by which they could not live” is related to the human sacrifice rite. Therefor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at Ezekiel was theologically troubled about the human sacrifice rite that was practicing in Israel at that times. It is undeniable that the ancient Israelites had practiced the human sacrifice rite for Yahweh according to the divine laws. Before the 8 and 7 century B.C.E., human sacrifice rite had not been a serious problem in Israel. But under the dominion of the Assyrian Empire, Israelites frequently practiced the human sacrifice rite because of the religious syncretism, not only to the pagan gods, but also to Yahweh. Then, what is the reason that Ezekiel thought God gave the bad laws to the Israelites? The year of Ezek 20 was 591 B.C.E. when it was only four years before the invasion of Babylonians to Israel and the fall of Jerusalem. Ezekiel observed that the Israelites had committed crimes against the will of God through the whole national history and he realized that the Israelites had no capability to follow the divine laws and Israel had no way to escape from the tragic ending. The results will be the same regardless of not keeping the good laws or keeping the bad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