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Millet 품종별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정구민(Koo Min Chung)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1

        메조 전분의 청가와 요오드 친화도는 각각 0.304와 4.22%로 일반 메 전분과 비슷하였으나 기장 전분은 각각 0.098과 1.07%로 찰 전분에 가까운 성질을 보였다. 차조와 찰기장 전분의 청가는 각각 0.056과 0.037, 요오드 친화도는 각각 0.49와 0.21%이었다. 전분의 평균중합도는 메조 전분이 1830이었으며, 나머지 세 전분은 3880-4660으로 비슷하였다. 생전분의 알파 아밀라아제 소화율은 찰기장 전분이 제일 커 35.6% 이었으며, 기장 전분이 제일 적어 18.2% 이었다. 전분 입자의 평균 크기는 기장이 8.25 μm로 제일 작았으며, 나머지 세 전분은 10.33-11.53 μm이었다. 입자 분포에서도 기장 전분만 1.9 μm 이하와 20.0 μ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가 없어 좁은 분포도를 보였다. 기장 전분의 호화개시온도가 다른 전분보다 3.5-4.9℃ 높았으며, 최고 점도와 노화정도를 나타내는 Setback 점도는 메조 전분이 제일 컸다. 메조 전분을 제외하고는 12% 농도에서 겔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25% 농도에서의 겔 강도는 차조, 기장, 찰기장 순이었다.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blue value, iodine affinity, degree of polymerization (DP), α-amylase digestibility, particle size, RVA pasting, and gel hardness of 4 different millet starches (foxtail, waxy foxtail, proso, and waxy proso) were investigated. The iodine affinity value of the four samples were 4.22, 0.49, 1.07, and 0.21%, and the DP values were 1830, 3880, 4660, and 4130, respectively. The levels of α-amylase digestibility of the raw starches were 20.1, 30.7, 18.2 and 35.6%, respectively. The mean size of the proso millet starch was the smallest, 8.25 μm, and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was the narrowest among all the samples. Foxtail starch showed the largest peak viscosity and setback viscosity in RVA pasting.

      • KCI등재

        느타리버섯이 설기떡과 경단의 노화억제에 미치는 영향

        정구민(Koo Min Chung),안희(Hui Jeong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9

        설기떡은 1∼72시간의 저장중 경도의 품질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기떡은 전반적으로 느타리버섯분말 2,5%와 추출물 1, 2%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면 경도가 낮아져 대조군에 비해 1∼2일 정도 단단해지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vrami 노화상수(k)도 무첨가군 0.0440인데 비해 2% 버섯전체분말 첨가군이 0.0111로 나타나 버섯첨가에 의한 노화 지연을 알 수 있었다. 설기떡의 관능검사는 부드러움, 달콤함, 씹힘성,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1% 첨가군이 우수하였다. 경단은 0∼6시간의 느타리버섯분말과 추출분말과의 숙성시간을 둔 다음 제조한 후 저장하면서 경도를 조사하였다. 경단의 경도는 저장 72시간에서 숙성6시간의 무첨가군이 1367 g-force에서 5% 첨가군이 926g-force로, 떡을 익히기 전에 숙성시간이 길고 버섯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경도가 낮았다. 경단의 Avrami 노화상수(k)는 버섯 무첨가군이 0.0652인데 비해 10% 버섯전체 분말첨가군이 0.0178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는 쓴맛과 향은 버섯분말 2% 첨가군이 높았으며, 종합적인 맛도 2% 첨가군에서 높았다. 위 실험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설기떡은 버섯첨가량 1%, 경단에는 버섯첨가량 1, 2%가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yster mushroom on the quality of Sulgidduk and Gyeongdan, freeze-dried mushroom power and mushroom extract were prepared. Dough for Gyeongdan was held for 0~6 hours at room temperature before cooking in order to allow for enzyme reaction. Upon addition of 2~5% mushroom power or 1~2% mushroom extract, the hardness of Sulgidduk decreased while the storage periods could be extended 1~2 days. Avrami rate constant (k) was 0.0111 for 2% power-added rice cake and 0.044 for the control. In Gyeongdan, hardness also decreased by addition of mushroom. Avrami rate constant (k) was 0.0178 for 10% mushroom power-added Gyeongdan and 0.0652 for the control. In a sensory test, Sulgidduk with 1% mushroom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 Overall, addition of 1% mushroom powder to rice was appropriate for Sulgidduk. For Gyeongdan, addition of 1~2% mushroom powder was appropriate.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느타리버섯이 육류의 연육에 미치는 효과

        정구민(Koo Min Chung),안희(Hui Jeong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6

        느타리버섯을 생고기와 익힌 고기에 30분간 도포하여 연육효과를 조사한 결과, 상당한 연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고기의 경우, 버섯 무첨가 시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도가 각각 981, 640 g-force인데 비해, 전체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도는 각각 648, 487 g-force이었고, 갓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642, 478 g-force, 줄기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657, 488 g-force로 전반적인 버섯 첨가에 의한 연육효과는 약 20~35%이었다. 연육효과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커, 느타리버섯분말 5% 첨가군과 버섯추출분말 2% 첨가군의 경도가 가장 낮았다.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아미노태질소량은 버섯첨가량이 많을 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버섯분말 5% 첨가한 생소고기의 아미노태질소량은 무첨가군에 비하여 전체가 34.64%(748 ㎎%), 갓이 34.64%(748 ㎎%), 줄기가 32.92%(739 ㎎%) 증가하였고, 버섯추출분말 2% 첨가한 생소고기는 전체가 65.14%(787 ㎎%), 갓이 75.21%(834 ㎎%), 줄기가 71.18%(815 ㎎%) 증가하였다. 이는 느타리버섯분말과 추출분말이 소고기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수용성 성분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전체, 갓, 줄기의 부위별 연육효과는 별차이가 없어 사용부위는 굳이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on beef and pork tenderization, freezedried mushroom (whole, cap, and stem) powder and mushroom extracts were prepared. Both fresh and boiled beef and pork had mushroom power and extract powders spread on them, and let sit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fter that, the hardness and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meats were measured. The hardness of the meat decreased by about 20%~35% after spreading. Also, the amino nitrogen contents increased due to the effect of protease in the mushrooms. The effects were greater in raw beef. The mushrooms showed almost the same effects regardless of which part of the mushrooms were used (whole, cap, and stem).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스펙트럼 변조를 이용한 청각정보의 촉감재현 가능성 연구

        곽현구(Hyun-Koo Kwak),김희국(Whee Kuk Kim),주노(Juno Chung),강대임(Dae Im Kang),박연규(Yon Kyu Park),구민모(Min-Mo Koo)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11 한국정밀공학회지 Vol.28 No.5

        Various approaches directly using vibrations of speakers have been suggested to effectively display the aural information such as the music to the hearing-impaired or the deaf. However, in these approaches, the human can't sense the frequency information over the maximum perceivable vibro-tactile frequency (around 1kHz). Therefore, in this study, an approach via spectral modulation of compressing the high frequency audio information into perceivable vibrotactile frequency domain and outputting the modulated signals through the designated speakers is proposed. Then it is shown, through simulations of using Short-Time Fourier Transform (STFT) with Hanning windows an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of using the vibro-tactile display testbed which is built and interfaced with a notebook PC, that the modulated signal of a natural sound composing sounds of a frog, a bird, and a water stream could produce the noise-free signal suitable enough for vibro-tactile speakers without causing significant interfering disturbances, Lastly, for three different combinations of information provided to the subject, that is, i) with only video image, ii) with video image along with the modulated vibro-tactile stimuli as proposed in this study to the forearm of the subject, and iii) with video image along with full audio information, the effects to the human sense of reality and his emotion to given audio-video clips including various sounds and images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It is shown from results of those experiments that the proposed method of providing modulated vibro-tactile stimuli along with the video images to the human has very high feasibility to transmit pseudo-aural sense to the hu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