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eritorious Heroes: Allegorical Hawk Paintings in Yuan China and Early Chosŏn Korea

        Youenhee Kho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21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21 No.1

        This study explores the allegorical usage of hawk painting to praise a hero with meritorious deeds in Yuan China (1271–1368) and early Chosŏn Korea (1392–1910). Through an analysis of Yuan-dynasty poems inscribed on hawk paintings, this article demonstrates that paintings of a hawk sitting still on a tree in the woods conveyed the allegory of a hero subduing wily beings, such as rabbits and foxes. Moreover, Yuan paintings of a hawk and a bear (yingxiong 鷹熊) employed a Chinese rebus and represented the animals as heroes, comparing them to historical heroic and loyal figures. This article then turns to Chosŏn Korea, where two types of hawk paintings reflected the Korean reception of Yuan counterparts. One was the painting of a hawk sitting still, which indicated the hero's readiness for future achievements. Another, with the motif of a rabbit caught in the hawk's talons, emphasized the hero's successful achievements and gained popularity through the late Chosŏn dynasty. The Chinese and Korean allegories of heroic contributions emerged in response to complicated politics, as the Yuan government comprised multiple ethnic groups and the early Ming and early Chosŏn were newly established after the fall of previous dynasties. For the same reason, the hawk-hero allegory began to lose its relevance over time, and hawk paintings came to take on rather mundane meanings.

      • KCI등재

        A Mid-Spring Night’s Dream: Collecting Poems for A Dream Journey to Peach Blossom Spring

        KHO YOUENHEE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Acta Koreana Vol.24 No.1

        This study focuses on the cultural and social context of A Dream Journey to Peach Blossom Spring (Mongyu towŏn to 夢遊桃源圖) the only extant work by An Kyŏn 安堅, the best-known painter of early Chosŏn, to show the manner of its production and function. The painting was a pictorial addition to the sich’uk 詩軸, a mounted scroll of poems, created to praise Prince Anp’yŏng (安平大君) and interpret the significance of his dream in which he visited Peach Blossom Spring, a legendary place invented by the Chinese poet Tao Qian 陶潛. The prince presented a dream record, an accepted literary form at a time when there was a general belief in the prophetic meaning of dreams, and required twenty-one celebrated writers to compose eulogistic poems to accompany the painting, which served as a visual description of his dream. The poets wrote in such a way as to allow the viewer to repeatedly imagine the Peach Blossom Spring. As such, the painting functioned as visual inspiration for the twenty-one writers and became an ornament for their poems. By revealing the process of making the sich’uk and the effect of the dream record, this study re-evaluates the content, style, and composition of A Dream Journey to Peach Blossom Spring.

      •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한국미술사 연구(2019~2020년)에 대한 회고와 전망, 그리고 제언

        고연희(Kho, Youenhee) 역사학회 2021 역사학보 Vol.- No.251

        A review of four books and more than four hundred academic papers published during 2019 and 2020 on Korean artworks produced before 1945, reveals the following prospects and expectations.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social, religious, and political meaning and function of art, rather than in art itself, gives rise to the expectation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 history and other academic circles will deepen and the academic status of art history be enhanced. It is also anticipated that growing research on painting and ceramic histor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cluding various modern media, will narrow in scope to become more precise. Continued reflection on the perspectives of Korean art history written by previous generation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masterpieces, the influence of collections, and the perception of tradition is also predicted. Discussions on Korean art held overseas and Korean art history recorded in North Korea, along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indicate the potential for multilateral research and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vestig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lated database will likely provide comprehensive assistance in understanding the nationality, timing, and level of the artwork. Finally, research that transcends genres should be more actively attempted.

      • KCI등재

        충(忠 )을 상징한 영모화초(翎毛花草)

        고연희(Kho, Youenhee)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7 한국문학과 예술 Vol.21 No.-

        영모화초(翎毛花草)류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으로 활용되었으며, 그 가운데 새매, 기러기, 오리, 수선, 매화, 죽, 난, 송백, 규화, 국화 등은 ‘충(忠)’의 상징으로 시와 그림에서 사용되었다. 이 글은 층의 비유이자 상징으로 널리 사용된 ‘규화(葵花)’의 의미 유래와 전개, 변화 및 재현의 양상을 살폈다. 규화는 여름의 ‘촉규’(蜀葵 홍, 백색)와 가을의 ‘추규’(秋葵, 황색)로 대별된다. 중국에서는 원래 추규의 향일성(向日性)에 대하여 지혜와 충성의 의미를 부여하였고, 당대, 송대, 원대에 걸쳐 추규의 황금잔 같은 아름다움과 향일의 충성을 시문과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이가 고려로 유입되었는데 한반도에서는 추규에 대한 구체적 관심이 지속되지 않았고, 려말선초의 영향력 있는 문인 이색(李穡)과 서거정(徐居正)이 모두 향일의 규화를 촉규로 노래하면서, 조선시대의 ‘葵花=向日=(智)·忠·誠의 코드는 추규보다는 촉규에서 비롯하는 경우가 많았거나, 규화의 종류에 대한 구체적 관심이 없이 충성의 상추적 비유로 지속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조선전기의 규화는 회화작품으로 제작되었고 충성의 상징으로 감상되었으나, 그것은 촉규를 그린 경우만이 문헌을 통해 확인된다. 조선후기의 이덕무(李德懋)와 이옥(李鈺) 등이 추규만이 향일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하여 밝혔다. 이는 명청대의 정원문화 및 중국화보와 회화작품의 화훼화 및 박물학적 서적류가 유입되던 정황과 관련 있다. 또한 현전하는 조선후기 추규 그림들은 산뜻한 황색을 보여주는 가을 화훼로 감상되었으며, 충성의 매체로 사용되지 않았다. 현전하는 신사임당 초충도 속 추규에 대하여도 조선후기 학자들은 충성의 매체로 보지 않았다. 고려와 조선에서 충성의 비유로 사용된 규화의 문화사는 규화의 원관념보다는 충성이라는 보조관념의 표현을 더욱 중시했던 독특한 양상을 보여준다. Various birds and flowers were employed as metaphors or symbols of many virtues. Loyalty, the main virtue in the relationship of sovereign and subject at the political structure of the per-modern period, was expressed by such metaphors. Hawk, goose, duck, plum blossom, bamboo, pine tree, and orchid were that cases for a while. These metaphors or symbols were developed when showing loyalty was needed under the unusual political situations, such as the Mongolian domination of Yuan dynasty, or the early Joseon after the change of dynasty. Kuihua(葵花), actually including hollyhock(蜀葵) of white or red flower and abelmosk(秋葵) of yellow flower, has been a beautiful symbol of loyalty. In the beginning, the yellow-and-crimson flower of abelmosk always facing the sun looked like loving and following the sun with it’s utmost sincerity. Scholars in the Tang, Song and Yuan China composed poems of abelmosk, praising the beautiful appearance like a golden cup and it’s sincere loyalty of facing the sun. The sun was the symbol of the emperor in China. Painters tried often to show the appearance of abelmosk. Since Yi Saek and Seo Keojeong, influential scholars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thought that the flower of loyalty was hollyhock instead of abelmosk, hollyhock had been the symbol of loyalty in the poem in the Joseon period. The two flowers are easily confusable even in the western culture because the names and shapes are similar. In Chinese both have the same character ‘Kui(葵)’, while in English both are mallow in that abelmosk is one of musk-mallow and hollyhock is one of rose-mallow. Yi dekmu, a distinguished natural historian with encyclopaedic learning figured out that only abelmosk could follow the sun. Remarkable is that many paintings of abelmosk were produced in the late Joseon but the meaning of the abelmosk in the painting was not loyalty any longer. Abelmosk was enjoyed as a beautiful flower in the autumn garden in the late Joseon with development of garden culture and increasing interest in botarical information.

      • KCI등재

        19세기 금강산도의 일면 - 개인소장 ‘금강산도 10폭병풍’ 고찰

        고연희 ( Kho Youenhee ) 온지학회 2019 溫知論叢 Vol.0 No.58

        ≪금강산도10폭병풍(金剛山圖10幅屛風)≫(개인소장)은 파노라마식 거대화면을 보여주는 구도에 산봉우리의 의인(擬人), 의물(擬物)로의 표현이 세밀한 19세기 금강산도이다. 이 화면의 구도는 금강내산(金剛內山)전도(全圖)의 전통을 계승한 결과이며, 의인, 의물의 산표현은 조선시대금강산 형상화를 주도한 전통의 수용이면서 왕실화원화가들을 거치며 지속된 표현의 적극적 반영이었다. 이 그림은 전통의 구도와 표현을 수용하면서, 19세기에 유행하게 된 왕실용 규모의 대병풍(大屛風) 프레임을 적용하며 거대한 파노라마식 화면을 보여주는 새로운 유형의 금강산도로 탄생하였다. 또한 그림에 적힌 명명(命名) 중 ‘황류담(黃流潭)’은 19세기 중반에 풍양조씨 문인그룹에서 동의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이름으로 구칭 ‘황천강(黃泉江)’이나 안동김씨 그룹이 개명한 ‘옥경담(玉鏡潭)’을 거부한 명칭이었다는 점에서 반불가적(反佛家的), 반속(反俗)의 명칭이며 안동김씨의 그룹에 대항하는 태도가 반영되어 있다. 또한 그림 위‘수왕성(首王城)’의 표기는 신라를 기리는 표현으로 조선후기 왕실과 관료학자들이 주장하는 역사관이 부각된 표현이다. 이 작품은 19세기 중반 일군의 관료사회의 요구로 제작된 새로운 프레임과 내용을 담은 금강산도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모사한 병풍의 존재(국립민속박물관 소장)는 이 그림이 일군의 관료그룹에서 거듭 요구되고 제작되었던 정황을 알려준다. 즉 ≪금강전도 십폭병풍≫은 18세기의 금강산도 문화와 결을 달리하는 19세기 학자들의 금강산도 문화를 보여주면서, 아울러 근대기 대형파노라마식 금강산도와의 사이에서 위치를 점하는 19세기 금강산도 일면이다. Ten Panel Folding Screen Painting of Kemgang Mt. at a private collection which was displayed recently is impressive in its size showing panoramic view of Kemgang Mt. and personified visualizing of almost all the peaks of the mountain. The basic composition and personification are from Korean tradition, but the huge frame of screen making one panoramic view is newly tried in the nineteenth century. At that time, the size and frame of screen after the huge ritual screen painting in the court has been preferred, the sponsors for this screen painting chose the most authoritative form. The written names for the famous spots on the painting reflects the political tendencies of the sponsor of the painting. “Huanglyudam or yellow colored brook” written on this painting is for “hungcheongang which means a yellow river where dead people must cross first. This change of the name is against Buddhism and also a political group, Andong Kim’s family, who already changed “huangchengang” into “Okkyeongdam.” It means that the sponsor for this painting must be a political group associated to the Pungyang Cho’s family who was against the Andong Kim’s family. Besides, there is another similar work to Ten Panel Folding Screen Painting of Kemgang Mt. at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Although the screen at the Folk Museum missed six panels, the remained four panels are almost the same to those of ten panel screen. Through these two similar folding screens, it would be said that there was a new aspect of Kemgang Mt painting by a political group in the nineteenth century.

      • KCI등재후보

        채용신(蔡龍臣)의 화조화(花鳥畵) 고찰을 통한, 근대기 화조화 수요(需要)의 성향에 대한 제언 -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채용신 필 《화조도8폭병》을 중심으로

        고연희(Kho, Youenhee) 한국민화학회 2022 한국민화 Vol.- No.17

        원광대학교에 소장된 최용신이 작품 《화조화8폭병풍》(1918)은 금마산방 작업장(공방)에서 제작한 많은 그림 중 하나로 사계절의 꽃과 새를 묘사한 주제이다. 이러한 병풍을 공방에서 제작•판매함으로써 당시에 대량으로 제작, 유통된 민화의 사회적 상황을 추정하게 한다. 당시 많은 민화류 작품들이 공방을 통해 맞추어 제작되었다는 상황의 가능성을 말한다. 또한 채용신과 그의 가족이 이끌었던 공방의 광고는, 당시 호화로운 병풍을 소유하려는 민간의 요구가 있었음을 알려주며, 민족주의적 관점은 별로 없었음을 또한 알려준다. 본 연구는 근대기 화가들의 제작상황 뿐만 아니라 그 당시의 민간에서 요구했던 문화현실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제공하며, 향후 민화 연구가 보다 개방적이고 분석적일 필요가 있음을 알려준다. 반면 화조류의 흥미로운 서사적 내용이 담긴 새로운 모티브의 창작을 근대기 관람자들이 즐겼으며 화가들은 이러한 사람들의 욕망에 부응하려고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화조화 장르뿐만 아니라 근대기 민화로 불리고 있는 여타 장르에도 비슷하게 적용될 것이다. Eight Folding Screen Painting of Birds and Flowers (1918) by Chae Yongsin at the Wonkwang University Museum, as one of many paintings produced in the workshop of Geummasanbang, depicts the flowers and birds of the four seasons. Production and sale of these folding screens in the workplace allow us to estimate the social status of folk paintings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t that time, in which there were various methods of customization through workshops. In addition, through the advertisement of the workshop led by Chae Yongsin and his family, it can be seen that there was people’s desires to own luxurious folding screen paintings. This research provides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reality of not only the practices of modern painters but also the needs of the private sector, and also requires that folk painting research in future be more open and analytic.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creation of new motifs with the interesting narrative contents of animals and plants was enjoyed by people and that painters tried to cater to the desires of people. These contents would have been similar not only in the genre of birds and flowers paintings, but also in other genres of folk painting in the modern era.

      • KCI등재후보

        19세기 ‘地球’와 ‘世界’에 대한 시각적 인식 : 集玉齋 수입서적 『地球說略』을 중심으로

        고연희(Kho, Youenhee)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9 한국고지도연구 Vol.11 No.2

        19세기 集玉齋 소장서적이 담고 있는 지구 및 세계에 대한 인식은 다층적이었다. 고대적 역사지리, 주역식 지리, 천하도, 풍수지리, 천동설적 지구관, 지동설적 지구관 등의 관점이 공존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 가운데 지동설적 지구관의 지리서적으로 서구인 저술의 한역서가 가장 과학적, 근대적이었다. 이 연구는 그 가운데 『地球說略』(1856)의 내용적 특징과 의미를 살폈다. 미국 선교사 웨이(Richard Quanterman Way, 1819-1895, 중국명 褘理哲)가 그의 『地球圖說『(Illustrated Geography, 1848)을 보강하여 낸 이 책은, 선교적, 계몽적 목적을 가지고 지구원형의 증거 및 지구자전을 경험론적 인식으로 알기 쉽게 서술했다. 또한 세계 67개국의 위치, 생활, 문명 수준을 소개하고 동물과 문명의 이미지를 사실적으로 전달하면서, 서구의 교육시설과 출판문화가 중국보다 우수한 점을 비교적 서술로 보여주었고, 성서적 이야기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고자 루벤스(Peter Paul Rubens)의 걸작을 삽도로 사용했다. 『지구설략』은 1860년 일본에서 재간행하면서 선교적 측면을 약화시켰고 지리 교과서로 사용했다. 이 책이 보여주는 지구에 대한 인식의 방식과 서술방식은 중국에서의 이후 근대지리서와 한국의 근대기 지리서 서술로 그 맥락이 이어진다. 한국의 근대지리교과서나 매체의 서술은 조선시대 학자들(홍대용, 이규경, 최한기 등)의 그것이 아니라 서구과학서의 경험론적 관점을 따른다는 점에서 이 책이 가지는 역사적 위치는 명확하다. Awareness of the earth and the world was multi-layered at Jipokjae, the Joseon loyal library in the nineteenth century. Copernican theory was the most scientific and modern among them. Diqiushuolue, or Illustrated and Explained Geography, was the representative and relatively early published book written by Richard Quanterman Way(1819-1895) and translated into Chinese. Diqiushuolue shows empirical recognition about the shape and the movement of the earth, which was convincing enough to overcome traditional complex discussions about the earth and some sort of doubts. It also explains the locations, lifestyles and civilization-degrees of 67 countries in the world, which emphasized the relative superiority of the Western educational facilities and publishing culture over China. The illustrations in this book conveys the world s animals and developed civilization realistically and visually, sometimes even the masterpiece of Peter Paul Rubens which depicts a biblical story. This book was influential on Chinese geography books in the future. In Japan of 1860, Diqiushuolue t was reissued and used as a textbook, while its missionary aspect was reduced. It would be said that Jipokjae included the substantial base in the modern East Asian knowledge and geography education, as Diqiushuolue was influential on Korean modern geography books.

      • 민화의 ‘조합’ 기법에 대한 고찰 - 호림박물관 소장의 특이한 병풍을 중심으로

        고연희(Kho, Youenhee) 한국민화학회 2020 한국민화 Vol.- No.13

        ‘민화(民畵)’의 범주에 드는 작품들이 보여주는 독특한 화면구성 기법의 특징 중 하나는 장르 혼합(混合) 혹은 조합(調合)의 방식으로, 이는 전통의 일반 감상용 회화에서는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 방식이다. 제재나 장르를 조합하는 방식은 그림의 의미를 배가시키는 기능을 가진다는 측면에서, 조합 기법에 대한 연구는 민화류 회화의 기능을 설명적으로 보여준다는 데 의미가 있다. 이 글은 호림박물관 2020년 ‘민화’ 특별전시의 시의성을 감안하면서 해당 박물관이 소장한 ‘화조’류 작품 중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세 가지의 특이한 예, 화초영모병(花草翎毛屛 혹은 화조병)과 서병(書屛), 모란병(牧丹屛)과 소병(素屛), 병화도(甁花圖)와 수복문자도(壽福文字圖)의 조합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세 가지 경우는 모두 민화의 기능에 문인적 품격을 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로써 민화의 중요한 기법으로 중시되어온 제재 및 장르 조합의 양상을 확장시킬 수 있었다. As a characteristic method of Minhua, the way of combination or collaboration of themes has been often used. This method was rarely used in traditional paintings. The research on this method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ains the functions of folk paintings. Considering the Horim Museum’s 2020 Special Exhibition on Folk Painting, this study is conducted on the three cases in the museum’s collection; “the bird and flower painting” and “letter screen painting”, “peony folding screen painting” and “painting of emptiness”, and “painting of flower vase” and “auspicious letters painting.” All the three cases show an atmosphere mixed with folk painting and literati’s tastes, which extends the areas of Minhua not previously studied.

      • KCI등재

        회화사(繪畵史)의 관점에서 보는 신숙주(申叔舟)의 시문 ― 『화기(畵記)』와 제화시문(題畵詩文)를 중심으로 ―

        고연희 ( Kho Youenhee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申叔舟(1417-1475)가 그림에 부친 題畵詩文, 또한 安平大君소장품을 기록한 유일한 글 「畵記」를 통해서 15세기 조선의 회화사 및 동아시아 회화사에서 看過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신숙주는 세종~성종대를 거치며 문예활동에 참여했고, 박식한 학식과 체계적 사유로 유가적 도덕관을 지향하면서 문예이론을 주도한 인물이다. 그의 글을 통하여 15세기 조선에 입수되어 있던 중국회화의 양상, 조선시대 관료문인들에게 감상된 15세기 화가의 작품세계 및 회화이론 등을 풍부하고도 핵심적으로 살필 수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려부터 유입되고 형성된 중국회화에 대한 이해가 조선의 취향과 가치관으로 재형성되었고, 이를 기반으로 安平大君의 회화수집이 이루어졌고, 安堅은 北宋代山水畵風뿐 아니라 元代의 雲山圖및 화초그림에도 두루 능한 화가로 성장하게 되었다. 또한 안견은 수묵 위에 金泥와 朱砂로 부분을 설채하는 특이한 기법을 운용하여 산수화를 제작했고 ‘안평대군 25세 초상’도 그렸다. 한편 문인화가 姜希?은 花木을 잘 그린 화가로 인정되고 있었다. 15세기 회화제작양상을 보면, 활발한 병풍 제작, 충성심과 도덕적 강개를 주제로 하는 고사인물화, 시신을 묘사하여 초본을 완성하였던 초상화 제작의 사례, 童子의 존재를 부각하는 조선시대 회화의 특성, 새 왕조의 창업을 기리고 군신간의 화목을 전달하고자 한 당시 왕실의 회화제작양상을 두루 살필 수 있다. 신숙주의 회화론은 조선전기 회화론의 요체를 보여준다. 그는 고려후기 문인들이 제시한 文以載道의 문예관을 지향하면서 詩畵의 功能을 이론화하였다. 신숙주는 詩畵가 동등하게 사물의 이치를 전달하고 박식하게 한다고 하여 회화의 가치를 높여주었고, 감상의 측면에서는 靑山白雲圖에 대한 철학적 사색, 夢遊桃源圖에 대한 유가적·현실적 의미화, 瀟湘八景圖의 윤리성에 입각한 悲感의 감상 등, 현실적 이성적 감상을 이끌었으며, 개인적 감상의 표현에도 가슴 속 湖海를 펼쳐 맑은(淸)마음이 되도록 하는 자기수양의 현실적 효용성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의 유가적 도가적 회화관을 정립하였다. Sin Sukju(ca.1417-1475)’s literary works related to paintings are illuminating the lost paintings and practice of painters in the fifteenth century of Joseon like below. An Gyeon(act. ca. 1440-1470), the most successful court-painter, was good at the landscape paintings in the both styles of Song and Yuan China, his special technic of partially using gold and red color on the ink painting of landscape, and his capability of portrait such as the Portrait of Prince Anpyeong(ca.1418-1543). Kang Huian, the well-known literati-painter of early Joseon, was recognized as painter of plant-painting at that time. Figure paintings depicted historical people who invoke righteous wrath. For a portrait in the court, painters described the dead figure just after his death. There were various political paintings and developed technic of making folding screen painting at that time. Hwagi, the only record on paintings collected by the prince Anpyeong, a son of King Sejong, shows that Guo xi’s works of the Song China was the most favored and that cloud mountain painted in the Yuan dynasty was beloved, too. Hwagi also tells that colorful paintings of birds and flowers and the ink paintings of orchid, bamboo and plum blossom during the Yuan flowed into Joseon. Angyeon’s works reflected the Chinese paintings of the Song and the Yuan recorded at Hwagi. The documents produced after Hwagi followed Sin’s way of seeing and understanding especially about Chinese painting. Through his literary documents, Sin explains the value of painting and the way of appreciation. According to Sin’s theory, paintings may help viewers to see this world like poem and change scholar’s mind wide, clean and righteous. Sin’s literary works about paintings are crucially helpful to making the painting-history of the fifteenth century because the paintings were mostly lost in the coup d'tat when the prince Anpyeong was ousted and the long wars in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