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Development of a vehicle image-tracking system based on a long-distance detection algorithm

        Oh, Jutaek,Min, Joonyoung,Choi, Eunsoo Canadian Science Publishing 2010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37 No.11

        <P> If image-processing systems are developed to track individual vehicles, and thus, trace vehicle trajectories, many existing transportation models will benefit from more detailed information on individual vehicles. Furthermore, the addit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vehicle trajectories will improve incident detection by identifying lane change maneuvers and acceleration / deceleration patterns. Unlike human vision, however, image-processing cameras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vehicle movements within a long detection zone because the camera operators need to zoom in to recognize objects. As a result, vehicle tracking with a single camera relies on short-distance detec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methodology developed for monitoring individual vehicle trajectori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o improve traffic flow surveillance, a long-distance tracking algorithm was developed with multiple closed-circuit television cameras. The algorithm can recognize individual vehicle maneuvers, and thereby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incident detection process. </P>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DGPS/RTK를 이용한 위험운전 판단장치 성능검증에 관한 연구

        오주택(Oh JuTaek),이상용(Lee SangYong)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3D

        현재 사업용 차량의 교통사고 감소 및 안전운전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디지털 주행기록계, 차량용 블랙박스 등 다양한 형태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시스템은 주행 후 저장된 차량데이터를 기반으로 위험 운전 여부를 분석하기 때문에 위험운전을 실시간으로 예방하기에는 큰 한계성을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는 차량 운전자의 운전행태에 따른 차량동역학 데이터를 저장 · 판단하여 운전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위험운전 판단장치를 개발하였으나, 이에 대한 성능평가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위험운전 판단장치의 성능평가를 위하여 DGPS를 이용한 정밀위치 인식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험 결과 위험운전 판단장치에서 취득되는 차량 동역학 데이터와 DGPS를 통하여 취득되는 데이터가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축된 정밀위치 인식시스템을 통하여 위험운전 판단장치의 성능이 검증되면 차량의 위험운전 관리에 매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re have been various forms of systems such as a digital speedometer or a black box etc. to meet the social requirement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nd safe driving. However that systems are based on after-accident vehicle data, there is limit to prevent the accident before. So in our previous research, by storing, analyzing the Vehicle-dynamic information coming from driver's behavior, we are developing the decision-device which could provide driver with Alerting-Information in real-time to enhance the driver's safety drive. but the performance valuation is not yet executed.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by using the DGPS for pre-developed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The result of test analyzed with the same that the aggregated vehicle dynamics data in DGPS and dangerous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f the performance of risky driving decision device is verified by precisely positional recognition system, the risky driving management of vehicle would be effected.

      • 한국철도의 위험도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오주택(Jutaek Oh),최은수(Eunsoo Choi) 한국철도학회 2004 철도저널 Vol.7 No.2

        This paper presents the procedures and the results conducted by the proposed one for the risk assessment based on the accident statistics in the Korean railway. Approximately 1200 accident data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risk models were developed to describe the potential hazards. A risk assessment was conducted using the potential problem analysis technique qualitatively. Additionally, this study performed a regional risk assess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isks for collisions between trains and derailment are relatively low. However, grade crossing and public accident and accidents of workers on tracks take high risks. A large number of accidents is concentrated on the three regions such as Suwon, Chuan, and Chungrangri.

      • KCI등재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사고 심각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오주택(Oh Jutaek),김응철(Kim Eungcheol),김도훈(Kim Doho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4D

        최근 녹색교통수단으로써 자전거의 이용자수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자전거이용자의 안전성향상은 극히 미비하여 차대 자전거사고 또한 매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차대 자전거사고의 빈도는 차대 차 사고보다 적지만 사고 자체의 심각도를 비교했을 경우 차대 자전거사고가 차대 차 사고보다 사고의 심각도가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부 평면교차로에서 자전거사고를 유발시키는 요인들을 면밀히 조사하여 교차로에서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안전시설물들의 영향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교차로에서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도로설계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인천광역시 교차로에서 발생한 56건의 자전거 사고자료에 대한 분석과 사고발생 교차로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사고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였다. 모형분석결과, 교차로에서 자전거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들은 주도로 교통량, 부도로 교통섬 유무, 주도로 자전거 전용도로 유무, 주도로 횡단보도 유무, 부도로의 차로 폭, 가해자 사고당시 속도 등으로 분석되었다. Recently, users of bicycles as a green mode are rising sharply, but there are few efforts to increase bicycle safety and to decrease the number of accidents between vehicles and bicycle users. Although the frequencies of accidents between vehicles and bicycle users are relatively lower than only between vehicles, compared to the severity itself, the accident severity between vehicles and bicycle users is much higher.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improve bicycle safety at intersections by analysing causation factors of bicycle accidents and providing optimal intersection design guidelines. For this study, real bicycle accident data of fifty six occurred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in the year of 2005 were collected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In addition, this research developed a bicycle accident prediction model with using ordered probit model. The model results showed that major road ADT, presence of traffic islands on the minor road, presence of bicycle road on major road, presence of major road crosswork, minor road lane width are significant for bicycle safety.

      • KCI등재

        트래킹 기반 영상검지 통합 알고리즘 개발

        오주택(Oh Jutaek),민준영(Min Junyoung),허병도(Hu Byungdo),황보희(Hwang Bohee)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9 No.5D

        외부 환경에서의 영상처리 기술은 외부환경에 매우 민감하여 외부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할 때마다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교통감시시스템으로 정확한 교통정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여기서 교통감시시스템은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교통상황을 감시하는 시스템) ‘전이시간대의 그림자 제거’, ‘야간에 차량 전조등에 의한 왜곡’, ‘비’, 눈, 그리고 안개에 의한 잡음’, ‘폐색(occlusion)’ 등을 필히 해결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는 실외환경에서 영상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교통량, 속도, 점유시간을 산출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건설 기술연구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곤지암 시험장에서 2008년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교통량, 속도, 점유시간에 대해 4개차로 (상행 2차로, 하행 2차로)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은 기준데이터가 되는 레이더 검지기 데이터와 본 연구의 영상처리기술에 의해 산출된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평가 결과, 주간, 야간, 일출, 일몰 시간대 모두 교통량, 속도, 점유시간 산출 값이 기준데이터와 비교했을 때 약 92%에서 97%까지의 정확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Image processing technique in the outdoor environment is very sensitive, and it tends to lose a lot of accuracy when it rapidly changes by outdoor environment. Therefore, in order to calculate accurate traffic information using the traffic monitoring system, we must resolve removing shadow in transition time, Distortion by the vehicle headlights at night, noise of rain, snow, and fog, and occlusion. In the research, we developed a system to calibrate the amount of traffic, speed, and time occupancy by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in a variety of outdoor environments change. This system were tested under outdoor environments at the Gonjiam test site, which is manag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www.kict.re.kr) for testing performance.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raffic information, volume counts, speed, and occupancy time, with 4 lanes (2 lanes are upstream and the rests are downstream) from the 16th to 18th December, 2008. The evaluation method performed as based on the standard data is a radar detection compared to calculated data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The System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raffic, speed, and time occupancy in period (day, night, sunrise, sunset) are approximately 92-97% accuracy when these data compared to the standard data.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