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소셜 미디어와 인간의 관계: 사용자, 산업, 사회의 관점에서

        민진영,Min, Jin-Young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3

        Since social media's introduction, it has reached a point where almost all Internet users, or more than half of the world's population, use social media. As its use became a common activity for many people, social media inevitably induced a range of social phenomena, and numerous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m from diverse perspectiv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cial media phenomenon and related studies better, this study incorporates and analyzes 1,038 articles of social media literature, explores their focuses, and provides an integrative knowledge of the social media phenomenon and research trend. Furthermore, by applying Ihde (1990)'s theories on human-technology relationships to social media literature,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social media has changed. This study interprets the approaches used in literature in light of human-technology relationships and offer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샹탈 아케르만의 영화에 나타난 여성적 게스투스

        민진영 ( Min Jin-young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용봉인문논총 Vol.- No.50

        본 논문은 벨기에 출신 감독 샹탈 아케르만의 영화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신체와 그 움직임을 `여성적 게스투스`라는 개념어로 정의해본 글이다. 게스투스는 제스쳐와는 반대되는 말로서 사회적 몸짓, 타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몸짓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적 게스투스라 함은 여성의 신체가 자신의 고유한 정체성을 보여주기 위한 몸짓을 주로 한다면 남성의 신체는 자신이 속한 사회와 환경과의 관계들 외에는 자신을 보여줄 고유성이 없음을 행동으로 파악하게 해 줌을 의미한다. 주변의 모든 인물들과 행동들이 자기 자신의 고유성을 증명해주는 것이 남성적 게스투스라고 한다면, 여성적 게스투스는 사슬에 갇혀 있는 듯 하지만 사실은 시대와 상황, 장소들을 가로지르는 비밀스런 힘을 지녔다고 할 수 있다. 샹탈 아케르만의 영화, <도시를 날려버려라>, <나, 너, 그, 그녀>, <잔느 딜망>, <밤새도록>, <80년대 갤러리>, <갇힌 여인>, <알마이에르가의 광기>에서는 여성적 게스투스가 영화전체에 큰 의미를 던지고 있다. 이 영화들에서는 갑작스럽게 일어나는 제스쳐가 영화의 급반전을 불러오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수동적 인물들이 진정 수동적이었던 것이 아니라 가장 저항적이고 적극적인 인물들이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때의 인물들은 단순한 유기적 신체가 아니라 비유기적인 신체, 생각하는 신체가 된다. 여성적 게스투스를 돋보이게 하는 장치로서 본 논문에서는 신체, 공간, 춤을 분석하였고, 롱테이크, 클로즈업, 음향효과 등의 영화적 장치 또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아케르만 감독에게서 이데올로기로서의 페미니즘 보다는 페미니즘의 동반자로서의 면모를 읽을 수 있으며, 영화의 여러 요소 중에 액션이 곧 감정을 함축하고 있다는 점을 훌륭하게 보여준 감독이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efine the body and its movements of the characters in the film of Chantal Akerman, Belgian director, as `feminine gestus`. Gestus is the opposite of gesture, and it is a behavior that shows social behaviors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A feminine gestus means that woman`s body is predominantly gesturing to show her own identity, man`s body can be identified only with the action towards the society and the environment to which he belongs. If masculine gestus demonstrates its identity through the caracters and their actions. feminie gestus has a secret power across times, places, and circumstances, a feminine gestus, despite appearing trapped by mans, but in fact it has a secret power across times, circumstances, and places. In the film of Chantal Ackerman, such as Blow up My Town, I, you, he, she, Jeanne Dielman, 23 Quai du Commerce, 1080 Bruxelles, All Night Long, Golden eighties, Gallery, feminine gestus is throwing great significance throughout the film. In these films, sudden gestures often lead to a dramatic reversal of the film, in which passive characters are not really passive but they are the most resistive and active characters. These characters are not merely organic bodies, but non-physical bodies, thinking bodies.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body, space, and dance, and also examined cinematic devices such as longtake, close-up, and sound effects. these elements make feminin gestus stand out. Through this, we can find two points. first, director Akerman has the aspect of a partner as a feminism rather than feminist as an ideology, and next, she is a great director who showed best that action implies emotion.

      • KCI등재후보
      • 음파를 이용한 진동 레그프래스 운동기구개발

        민진영(Min Jin young)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By applying sonic wave vibration technology in weight exercise equipment, we introduced an completely new concept of device into the fitness and medical industry creating a new trend. Sonic wave leg press exercise system which got over the limit of technology will be easily accessible not only by professional athletes but also by ordinary users and even minority groups such as disabled, elderly,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좋아요’와 ‘싫어요’같은 간접적 사회적 정보의 방향과 강도는 온라인 뉴스 콘텐츠 댓글의 숙의의 질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토픽 다양성 분석

        민진영 ( Min Jin Young ),이애리 ( Lee Ae Ri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21 情報시스템硏究 Vol.30 No.4

        Purpose The online comments on news content have become social information and are understood based on deliberative democracy. Although the related research ha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comments and their deliberative quality, the social information provided by online comments consists of not only direct information such as comments themselves but also indirect information such as ‘likes’ and ‘dislikes’. Therefore, the research on online comments and deliberative quality should study this direct and indirect information together, and the direction and the degree of the indirect information should be also considered with them.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distinguishes comments by the attached ‘likes’ and ‘dislikes’, identifies highly supported and highly unsupported comments by the intensity of ‘likes’ and ‘dislikes’,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xistence and the deliberative quality measured as the topic diversity. Then, we applied topic modeling to the 2,390 news articles and their 74,385 comments collected from five news sites. Findings The topic diversities of the supported and unsupported comments are related to the topic diversity of all comments but the degree of the relationship is higher in the case of supported comments. Furthermore, the existence of highly supported and unsupported comments is led to less diversity of all comments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ose comments are absent. Particularly, when only highly supported comments are present, topic diversity was lower than in the opposite case.

      • KCI등재

        Autour du concept du devenir-araignée

        민진영(MIN Jin-Young)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2 프랑스문화연구 Vol.24 No.-

        본 연구의 목적은 ‘거미-되기(devenir-araignée)’라는 개념을 통해 들뢰즈의 후기 프루스트론을 비판적으로 구성해보는 것이다. 거미-되기는 들뢰즈의 프루스트론이 ‘기호’에서 ‘기계’로, ‘기계’에서 ‘-되기’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개념이다. 이 연구를 통해서 본 지원자는 들뢰즈의 여러 후기 저서들에 산재해 있는 프루스트론을 지속과 확장의 관점으로 재구성하고, 미완의 텍스트로 남아있는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후속내용을 구체화했다. 질 들뢰즈는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세 번째 개정판이 출판된 1974년 이후에도 다른 여러 저서들을 통해 프루스트론을 피력 하지만 이 저작을 추가로 개정하지 않는다. 이 저작의 결론에 해당하는 「광기의 현존과 기능, 거미」는 많은 의미를 압축적으로 담고 있다. 이 결론을 다른 여러 후기 저서들에서 언급된 프루스트론에 대한 글들과 비교해보면, 이 짧은 글은 『프루스트와 기호들』의 제3부로 별도로 구성되어도 충분할 정도로 풍성하다. ‘거미-되기’ 개념을 통하여 작가 프루스트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넓게 펼쳐진 그물망에서 사랑과 광기의 기호들을 감지하는데 탁월한 능력을 지녔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작가 프루스트는 단지과거의 기억의 복원에 집착하는 과거지향성의 작가인 것이 아니라 사랑과 광기의 문제에 대안을 제시하는 미래지향성의 작가로 재탄생할 수 있다. 들뢰즈의 후기 저작들, 즉 그의 철학이 사회학, 언어학, 영화, 미술, 음악 등에 대한 미학으로 확장되어 있는 저작들에서는 프루스트가 곳곳에서 자주 언급된다. 그의 초기 프루스트론인 『프루스트와 기호들』에서 펼쳤던 ‘기호’와 ‘문학기계’ 중심의 문학론이 후기 저작들에서는 광기와 사랑을 문제삼는 ‘-되기’ 중심의 문학론으로 바뀐다. 이 변화의 계기들 중심에 ‘거미-되기’가 있다. 거미-되기를 뒷받침해주는 논의들은 ‘분자-되기’, ‘리토르넬로’, ‘비밀’, ‘문화적 의미의 건강’이라는 개념들을 통해 증명된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A la recherche du temps perdu』(이하 『찾기』)의 화자는 분자적인 거미로 작품 곳곳에 존재한다. 거미는 거미줄 꼭대기에 올라앉아서, 강도 높은 파장을 타고 그의 몸에 전해지는 미소한 진동을 감지할 뿐이다. 이 미소한 진동을 감지하자마자 거미는 정확히 필요한 장소를 향해 덤벼든다. 화자는 눈도 코도 없고 입도 없이 진동을 감지하는 거미이다. 이 거미는 오직 기호에 대해서만 응답하기에 기호들은 진동으로 거미의 신체를 관통하고 그로 하여금 먹이에게로 덤벼들게 만든다. 『찾기』는 거대한 거미줄이고 화자는 거미가 된다. 이 작품의 화자는 거미-되기를 하여 『찾기』라는 거대한 거미줄에서 먹이를 기다린다. 그리고 거미줄을 이루고 있는 각각의 줄들은 기호들이 건드려 줄 때 진동한다. 작품속 화자는 거미-되기를 하면서 때로는 스파이이고, 경찰이며, 질투에 빠진 연인이고 해석자이며, 광증에 사로잡힌 미친 사람의 삶을 경험한다. 그의 촘촘한 거미줄 중 하나의 거미줄은 편집증 환자인 샤를뤼스 쪽으로 뻗고, 또 다른 줄은 변태적인 색정에 휩싸인 알베르틴쪽으로 뻗친다. 샤를뤼스와 알베르틴을 광기의 파토스의 원천으로 만들면서 프루스트는 광기의 드로잉을 그린다. 즉, 광기의 배치, 용법, 기능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들뢰즈는 프루스트가 거미가 먹이를 포획하는 방법에 따르고 있음을 발견해내고 있다. 시각도 청각도 없는 거미가 단지 거미줄의 진동에 따라 먹이가 거미줄에 걸려든 것을 알게 되고, 먹이의 정확한 위치를 간파해내는 것처럼, 프루스트는 거미가 되어 『찾기』라는 넓게 펼쳐진 거미줄에서 이런저런 기호들을 진동으로 포착해간다. 따라서 프루스트의 거미-되기는 『찾기』속의 광기를 꿰뚫는 코드가 된다. 거미-되기는 프루스트가 ‘속도(vitesse)’와 ‘비밀(secret)’이 사랑의 중요한 성립조건임을 포착하는 데에도 유효한 개념이다. 누구든 사랑에 빠지면 그 대상에게 미칠듯이 집착하기 마련인데 프루스트는 이러한 광기어린 사랑을 성공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들뢰즈에 의하면 프루스트의 사랑 묘사가 성공한 이유는 사랑의 달콤함과 행복을 잘 묘사했기 때문이 아니라 사랑의 ‘속도’와 ‘비밀’을 다루는 데에 있어서 탁월했기 때문이다. 스완과 오데트의 테마음악인 뱅퇴이유 소악절은 『찾기』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 소악절은 반복적으로 등장하지만 인물이나 풍경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같은 소악절을 전혀 다르게 느껴지게 하는 요소들은 사소한 인물의 등장과 약간 변화한 풍경에 불과하지만 이런 미세한 요소들이 음악에 다른 이미지를 부여한다.

      • KCI등재

        소설 『주홍글자』의 창의적 영상화: 롤랑 조페의 영화 <주홍글자> 다시 읽기

        민진영 ( Jin Young Min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09 미국소설 Vol.16 No.2

        The usefulness of the 1995 film, The Scarlet Letter, i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1850 novel is discussed in this paper. In the novel itself, one of the main themes is the demythification of the Puritan Founding Fathers as democratic pioneers. Nathaniel Hawthorne reexamines the heroic American `History` and reveals silenced shameful `histories` such as the persecution of others-Native Indians, religious nonconformists, independent and disobedient women know as witches-and the suppression of human natures like sexual desires or individual pleasures in the rigid Puritan society of the 17th-century America. Roland Joffe catches this important theme in the novel and represents it in his film in scenes not featured in the novel. It has been criticized harshly and unjustly so far as a very poorly adapted film for many reasons such as bad casting, a wrong historiography-witch trials and native Indian invasions- , eroticism, voyeurism, a happy ending, `dues ex machina`, and flat characterizations. Many of these reasons, however, can be understood and explained as characteristics of film, which is presented in clear-cut shots with a director`s point of view and should be sensitive to contemporary mass audiences and their interests to be a box office success. Moreover, this film announces itself as being "freely adapted," which means it actually doesn`t have to exist as a faithful representation of the text. A freely adapted film should be appreciated and evaluated on the basis of its containing a main theme or motif, not literal contents, of a text. In h s sense, Roland Joffe`s film fie Scarlet Letter properly grasps the persecution spirit of the Puritan Founding Fathers as the main motif in the novel and effectively visualizes it in the film by creating some scenes such as a witch trial and serious warfare with native Indians, foregrounding oppressed women`s cases like Hester, Hibbins, and Mituba, and directing appropriate mise-en-scenes, cross cuttings, and camera angles, and many other film devices like music, light, color, sound effects, symbols, and images. His direction and adaptation actually fits postmodern trends of the end of 20th century, which brings us feminism, colonialism, and new historicism, and, therefore, has the function of making contemporary audiences realize Nathaniel Hawthorne`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his novel`s postmodernity which transcends the 19th-century through to the present.

      • KCI등재

        『초당』과 『동양, 서양으로 가다』에 나타난 강용흘의 코스모폴리타니즘

        민진영 ( Jin Young Min ) 미국소설학회(구 한국호손학회) 2010 미국소설 Vol.17 No.2

        This paper studies Younghill Kang`s two autobiographical novels, The Grass Roof and East Goes West focusing on his cosmopolitanism. His persona in the novel, Chung Pa Han, gets to own transnational consciousness toward America when he aspires to it as an ideal modern civilization which can free Korea from its bondage to new Japan. Even if his transnational consciousness toward America changes from aspiration to skepticism when he sees the dualism between its proclaimed ideals and concrete historical realities, America is always in his mind as the leading Western country from which he has to learn the ways to realize himself and to regain Korea`s independence. When he goes to America for a direct search for the possibilities, he brings his own learning and values from his upbringing in Korea as the measuring rod to Western civilization. This transnational consciousness toward Korea rarely leaves his mind during his stay in America and becomes the criterion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Western civilization. What Younghill Kang pursues is a vision of hybrid cosmopolitanism. It means, first, to take roots in your own country but to have an open viewpoint toward any other countries, and, second, to come and go over the boundaries freely enough to possess a fluent identity, and, third, to try to create an alternative culture which is based on harmony, affiliation, and hybridity of differences through contacts, crossing, infiltration, engrafting, or transplantation. These ideas embodied in Younghill Kang`s two novels of the early 20th century are very popular ones among literary scholars and critics at the moment of the 21st century. In this sense, Younghill Kang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pioneering writers who have looked ahead in Zeitge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