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The Key to Sustainable Growth of Airlines: The Safety Orientation of Cabin Crew

        Hyungryong Lee,Soyoung Lee J-INSTITUTE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Crisis & Safety Vol.7 No.2

        Purpose: The cabin crew's in-flight work consists of safety and security-related tasks and requires specialized knowledge. With the popularization of air travel, the importance of safety-related work for cabin crew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erefore, it is time to consider the work of cabin crew from a safety-oriented point of view and study to clarify the duties of cabin cr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abin crew knowledge pursuance on work self-efficacy and safety orientation, and the effect of cabin crew job regulation on work self-efficacy and safety orient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work self-efficacy is also verified. Method: The questionnaire, targeting Korean staff working as flight attendant in domestic and overseas airline companies, has been carried out for this study, and on-line questionnaire has been processed as to maximize their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22 observa-tional variables and 4 latent variables whose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confirmed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measurement. Results: First, both knowledge pursuance and job regula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k self-efficacy of airline cabin crew. Second, knowledge pursua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orientation, but job regul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orientation. Third, work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orientation. Fourth, work self-efficacy is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pursuance and safety-orientation of airline cabin crew. Fifth, work self-efficacy i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regulation and safety orientation of airline cabin crew, and the mediating effec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Cabin crew's efforts to continuously acquire and maintain professional knowledge on the overall safety of aircraft and safety for each aircraft type are important factors that enable the professionalism of the cabin crew. Safety knowledge and safety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as antecedent variables for carrying out safety behaviors consisting of safety compliance and safety participation. Proposals for various programs that allow indirect experience of safety-related situations include in-house safety seminars, easy-to-use VR-based safety accident and incident case, and constructive individual feedback. This training method will provide an op-portunity for cabin crew to gain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respond well to a variety of safety-related accidents and accidents based on their aviation-related safety knowledge.

      • KCI등재
      • KCI등재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경험적 가치와 브랜드몰입의 직렬다중매개효과

        강미란(Kang, Miran),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3

        커피전문점은 외식업계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뜨겁게 창업 시장을 달구고 있으며, 사람들이 서로 교류하며 라이프 스타일을 표현하는 장소가 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고객들의 니즈와 경험적 가치를 충족시킬 수 있고 고객 스스로 참여를 통하여 만족하고 더 나아가 용인 및 추천까지 이어지는 고객시민행동을 통해 커피전문점은 치열한 경쟁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소재하고 있는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 고객의 경험적 가치와 브랜드몰입의 직렬다중매개효과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조사는 2019년 2월부터 3월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중 374부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스케이프는 고객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험적 가치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다. 셋째,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브랜드몰입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경험적 가치와 브랜드몰입의 직렬다중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커피전문점의 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하여 커피전문점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소비자의 고객시민행동을 촉구하는 방안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Despite the slump in the restaurant industry, coffee shops have heat up the start-up market, and become places where people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express their lifestyle. Therefore, coffee shops will be able to survive in the fiercely competitive market through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at can meet customers’ needs and experiential value, satisfy customers themselves through participation, and further lead to acceptance and recommend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about the effects of servicescape of coffee shops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and to se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ustomer s experiential value and brand commitment in coffee shops located in Korea.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19.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74 of them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 summary of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servicescap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experiential value was significant.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brand commitment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servicescape on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experiential value and brand commitment in serial was significant. In sum, the results were intended to provide useful suggestions on how to urge consumers to take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that the coffee shop ultimately pursues in order to survive the endless competition of coffee shops.

      • KCI등재

        FSC소비자와 LCC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목표 지향적 행동 모델을 적용

        전유나(Jeon, Yuna),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목표 지향적 행동 모델의 구성요소인 태도,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열망 변수를 적용하여 항공사 소비자의 구매 행동의 과정과 감정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것이다. 또한 목표 지향적 행동 모델의 변수간의 영향관계에서 FSC소비자와 LCC소비자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항공사 탑승경험이 있는 20대 이상의 고객을 태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521부의 유효한 표본 테이터를 AMOS 22.0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델을 통하여 가설 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태도,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는 열망에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지각된 행동통제와 열망은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FSC와 LCC의 집단간 차이의 조절효과는 태도, 주관적규범, 지각된 행동통제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FSC/LCC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바탕으로 FSC와 LCC의 소비자중심 마케팅과 서비스개선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to interpret the process of and the emotions behind airline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by examining variables that are components of the goal-oriented behavior model such as attitude, positive and negative anticipation,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desires. In addition,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umption behavior of FSC and LCC consumers. The SPSS and AMOS programs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ositive factor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ttitudes, positive anticipation, and negative anticip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sire to purchase, but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howed insignificant effects on desire to purchas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desir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urchase intent. The modulating effects of FSC and LCC appear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impact on self-determination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 KCI등재
      • KCI등재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 만족이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학습전이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휘순(Kim, Hwysoon),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3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은 평생교육의 수준을 넘어 직무교육의 단계로 발전하였다. 기업에서는 고객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종업원의 직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종업원도 본인의 업무역량을 높이기 위하여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를 통하여 얻어지 는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 만족이 학습전이를 매개로 하여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얻어진 325부의 설문지를 SPSS 22.0을 통해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 만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학습전이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 만족과 경력몰입과의 관계에서 학습전이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의 만족이 높을수록 높은 학습전이가 일어나고 이를 통하여 직무만족이나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의 만족을 높이고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을 높이기 위하여 교육에 바리스타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 어떤 부분을 강조하여 교육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satisfaction with Barista s education program affects job satisfaction and career immersion through the medium of learning cyc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the Barista Education Program and the satisfaction of the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process plays a role as a medium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the Barista Education Program and the lack of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barista education program, the higher the learning transfer occurs, which affects job satisfaction or career immersion.

      • KCI등재

        항공사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감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유나(Jeon, Yuna),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3

        최근 항공사간의 경쟁이 과열되고 있는 시점에서 구매의도 향상을 위해서 항공사들은 다양한 소비자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보다 적극적인 형태의 마케팅이 요구되어 진다. 항공여행 인구의 급증으로 인해 온라인상에서도 구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항공사 온라인구전은 또 다른 소비자들에게 전달되어 그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의 영향력에 주목하여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알아보았 다. 또한, 소비자특성 변수인 자기감시성을 항공사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조절변수로써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항공사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의 신뢰성, 유용성, 공감성, 정확성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감 시성의 조절효과는 항공사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의 신뢰성과 공감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항공사 마케팅에서의 온라인구전 정보 관리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Internet has brought changes in the air transportation market, allowing customers to have accesses to the information of all airlines routes and ticket price as well as traveling experiences to various destinations. For this propose, the study uses Airlime Online WOM Inform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irline company and customers to adapt to different situations and customer preferences and to attempt to find a way in which airline companies can survive the midst the fierce economic competi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factors of airline online WOM, recentness, reliability, empathy, and availability impact purchase intentions while only accuracy does not. Second, among the sub-factors airline online WOM, reliability and empathy hav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monitoring in the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s. With the study results as a basis, using online communication systems to satisfy the different needs of customers and to understand customers’ behavioral intentions and then reflecting this process on airline online WOM will ultimately heighten customers’ purchase intentions.

      • KCI등재

        웨딩홀 직원이 지각한 상사의 진정성리더십이 직무착근도와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강경구(Kang, Kyungku),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이 연구의 목적은 웨딩홀 직원의 진정성리더십이 심리적 주인의식, 직무착근도 및 사회적 태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또한 심리적 주인의식이 진정성리더십, 직무착근도 또는 사회적 태만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심리적 주인의식의 효과를 실증분석 하는 것이다. 서울에 위치한 웨딩홀에 236개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22개의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 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진정성리더십은 심리적 주인의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사회적 태만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심리적 주인의식은 진정성 리더십과 직무착근도, 사회적 태만의 사이에서 완전매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번 연구에서는 직원들의 심리적 주인의식이 지각된 상사의 리더십과 직무착근도와 사회적 태만의 관계에서 중요한 변수로 자리하고 있으며, 심리적 주인의식이 배양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uthenticity leadership of wedding hall employees on psychological ownership, job embeddedness and Social Loafing. Also, we tried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ownership has mediating effects in relation to authenticity leadership, job embeddedness, and Social Loafing. We distributed 236 questionnaires to wedding halls located in Seoul. 214 fraction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ept for 22 fraudulent answers. This study analyzed data through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First, authenticity leadership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ownership consciousness. Second, psychological ownership consciousness has a negative impact on Social Loafing. Third, psychological ownership affects the degree of job embeddedness and Social Loafing. Fourth, psychological ownership is completely mediated between authenticity leadership, Social Loafing, and job embedded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sychological ownership of employee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authenticity leadership, job embeddedness, and social Loafing, and it is important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psychological ownership can be cultivated. It was confirmed.

      • KCI등재

        호텔 서비스 접점 직원의 조직후원인식, LMX, 개인-조직적합성, 조직변화저항 간의 구조적 관계 : 개인조직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민영(Kim, Minyoung),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18 觀光硏究 Vol.33 No.3

        본 연구는 호텔기업의 서비스 접점 직원을 대상으로 조직후원인식, LMX, 개인-조직접합성과 조직변화저항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특1급 호텔에 근무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7년 11월 15일부터 30일까지 310 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그 중 260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후원인식은 개인-조직적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LMX는 개인-조직적합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조직적합성은 조직변화저항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조직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후원인식과 조직변화저항 간의 관계에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조직적합성을 매개로 한 간접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MX와 조직변화저항 간의 관계에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개인-조직적합성을 매개로 한 간접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LMX, Person-Organization Fit and Resistant to Organizational Chang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employees working at a first class hotel in Seoul. From November 15 to 30, 2017,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which 260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hypothesis test result is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 effect on Person-Organization Fit. Second, LMX has a positive (+) effect on Person-Organization Fit. Third, Person-Organization Fit has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Resistant to Organizational Change..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Fit were as follows. The direct path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Resistant to Organizational Change, but the indirect pathway mediated through Person-Organization F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ppeared to be fully mediated. In addition, the direct pathwa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Resistant to Organizational Change, but the indirect pathway mediated by Person-Organization F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ppeared to be fully mediated.

      • KCI등재

        바리스타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고용형태의 조절효과

        김휘순(Kim, Hwysoon),이형룡(Lee, Hyungryong)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바리스타의 자기주도학습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을 검증하고 고용형태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는 것이다. 설문 시점 기준 1년 이내에 바리스타 교육을 받은 바리스타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325부의 설문의 회수하여 불성실하거나 고용형태가 대표 및 점주로 되어있는 설문 71부를 제외한 25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3.0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전이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학습과 학습전이 관계에 부분매개효과를 갖는다. 다섯째, 자기효능감과 학습전이의 관계에서 정규직 바리스타의 학습전이가 비정규직 바리스타에 비해 높게 나타나 고용형태에 따른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바리스타의 직무교육에 있어서 자기주도학습의 학습전이에 정(+)영향을 미침으로 교육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바리스타 직무교육시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는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고용형태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을 비교하였을 때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습전이가 높게 나타나는 차이가 발생함으로 고용형태의 차이를 고려한 직무교육훈련이 운영되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ies purpose is to check the how self-directed learning will spread among barista students, and to prove that self-efficacy has a mediated effect. To show this, we will analyze employment forms and regulation effects. The survey was completed by baristas that had completed a standard level barista education class within the last year. In total 325 surveys and employment forms were analyzed. 254 cases were used and 71 cases in which the employment forms didn’t match our requirements. For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Moderating effects were all used in order to come to a conclusion. Our findings showed the following; First, self-direct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Third, self-directed lear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Fourth, self-efficacy has a mediated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transfer. Fifth, self-efficacy and learning transfer is affected by employment status. For example, among full time barista’s, learning transfer is higher than among part-time baristas. In conclusion, we found that self-directed learning is important in training baristas. This, however, is affected by the employment status of the baristas. It is also necessary to operate education programs that can improve self-efficacy during barista job training. And presents a practical point of view that job training and training should be operated considering differences in employment patter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