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정보로서의 지하철역 내장색채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혜경(Park, Heykyung),오지영(Oh, Jiyoung),유희선(Ryu, Heeseon) 한국색채학회 201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4 No.4

        근래, 지하철은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의 주요 교통수단이자 생활환경의 일부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지하철 노선과 역의 수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목적지를 향하는 사용자들이 위치, 방향 파악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가능성도 증가하게 된다. 장소를 지시하는 시각적 단서로서 노선색이나 이를 활용한 지하철역의 내장색들이 효과적인 지원 도구로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 속 대중들의 주요 교통수단으로서 노선과 위치에 대한 환경인지의 수요가 높은 지하철 환승역의 내장색채를 추출하여 노선색 적용 현황을 조사하고 이들의 배색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공공환경에서 길찾기를 지원하는 환경정보로서의 환경색채 계획의 기초데이터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와 오사카의 총 26개 지하철환승역을 대상으로 현장 측색조사를 실시하여 총 374개 내장색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색상, 명도, 채도측면에서 노선색과의 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전달성, 명시성, 주목성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서울, 오사카 지하철 노선색 활용에 대한 조사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사용 중인 노선색이 다양한 반면, 서울, 오사카 모두 노선색을 내장색에 반영하는 방법으로 강조색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선색을 주조색 등으로 도입하여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두 도시의 일반적 내장색의 사용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나나 오사카가 서울보다 저채도의 강조색을 사용하여 전반적으로 차분하고 편안한 마감색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노선색과의 색상관계 분석의 결과, 서울의 강조색에서는 노선색과 유사한 색을 사용하고 있었으나 주조색의 경우, 서울과 오사카 대부분이 노선색과 무관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넷째, 노선색과의 명도관계 분석에서는 서울과 오사카 모두 명시성과 주목성에 대한 고려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채도관계 분석에서는 서울보다 오사카가 대비배색 관계가 우세하게 나타나 주목성의 측면에서 다소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과 같이 내부공간구조가 복잡한 공공환경의 경우, 색의 전달성, 명시성, 주목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적절한 환경색채 계획을 통하여 효과적인 장소지시를 할 수 있는 환경정보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colors are becoming important par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in public spaces suen as stations, campuses, or parking lots. As the numbers of subway lines and stations increase and their spatial struetures become more complicated, interior colors as wrea as line colors can be expected as effective informations indicating places me musers head, intoward their destin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munderstand the current color applications of subway stations in terms of offering informations about the place. The investigation has been proceed on 26 transfe cstations of Seoul and Osaka from Apriase2009 tomFebruaryse2010, and total 3at colors we e drawn bymusing measurement facilitymwhich is Minolta spectrophotometer CM-2600d.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use of "hues" of interior colors in both Seoul and Osaka appeared as being limited to group "Y", compared to those of line colors are introduced variously. More efforts to apply line colors to interior elements as secondary environmental information will be required for users. Second, in terms of "hue", the relation between interior colors and line colors appeared as unrelated except the "accent" color of Seoul. Third, in terms of "brightness", "contrast" relation between interior colors and line colors appeared in most frequency in both cities, which means that interior color schemes producing high level of legibility are used. Fourth, in terms of "saturation", "contrast" relation between interior colors and line colors appeared more frequently in Osaka, which means that better color schemes are used in the aspect of visibility.

      • KCI등재

        종합병원 공간이미지에 대한 세대별 선호경향

        박혜경(Park, Heykyung),오지영(Oh, Jiyoung)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6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5 No.4

        연구배경: 증가하는 건강, 의료에 대한 관심과 고령화 사회로의 가속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공급자 중심’의 의료시설이 ‘수요자중심’의 의료시설로 변모하고 있다. 공간이미지는 공간사용자의 행동을 결정하며, 종합병원과 같이 다양한 연령대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공간에서는 각 세대별로 선호하는 공간이미지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종합병원의 세대별 선호 공간이미지 어휘를 도출하여 종합병원 공간개선을 위한 자료로써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다양한 세대별 건강, 보건의료에 관한 의식조사, 감성이미지 및 색채 선호경향을 문헌조사하고 그 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6년 8월 31일부터 한 달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각 300명씩 총 1500명에 대하여 종합병원의 공간별 선호이미지 어휘에 대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합병원 내 중요공간 의식 조사에서는 50대, 60대는 ‘외래진료실’ 이라고 응답한 반면, 20대, 30대는 ‘치료실’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종합병원 내 개선되어야 할 공간에 대해서는 50대, 60대는 ‘주차장’을, 20대, 30대는 ‘병실’과 ‘휴게실’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종합병원 전체 공간이미지 선호어휘는 ‘온화한’, ‘맑은’, ‘내츄럴한’으로 나타나 선행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고, ‘온화한’ 은 50대, 60대 고령층에서 응답비율이 높고, ‘모던한’ 은 20대에서 응답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종합병원 공간에 대한 의식은 세대별로 확실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병원 전체에 대한 선호 공간이미지 어휘는 선행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났으며, 종합병원 공간 이미지 어휘의 선호경향도 세대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As increasing public interests in health and medical care, and accelerating aging society, the attitudes of medical facilities has been changed from "provider-centered" to "demander-centered". We could assume that the space images of general hospitals, being used by all different ages should reflect each age"s preference tendencies of them, because space images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user"s behavio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eferred vocabularies of space images by age groups as a reference for improving the spatial qualities of general hospitals. Methods: At first, we reviewed literatures regarding to age based attitude surveys on healthcare, emotional image and tendency of color preference. And then, we carried out an online survey targeting 1,500 people aged from 20s to 60s, 300 persons for each age group, during one month, starting at August 31, 2016. Result: The result of attitude survey on the most important space in general hospital appeared that 50s and 60s preferred "O.P.D.", while 20s and 30s did "treatment room". Regarding to question asking the space needed improvement, 50s and 60s answered "parking lot", while 20s and 30s answered "patient"s room" and "rest room". The result of the question that most preferred vocabularies in the overall spaces of the general hospitals appeared similar to the previous study which indicated "mild", "clear", and "natural". While 50s and 60s preferred "mild", 20s preferred "modern". Conclusion: The survey showed that each age group"s attitudes about spaces in general hospitals appeared rather significantly different. The preferred vocabularies of space image appeared similar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y. The preference tendency about space image vocabularies in general hospitals were different by each generation.

      • KCI등재

        세대에 따른 감성 및 색채선호 경향 연구

        박혜경(HeyKyung Park)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근래, 증가하는 건강, 의료에 대한 관심과 고령화 사회로의 가속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공공보건의료시설의 양적 팽창과 함께 이들 보건의료 색채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장년으로 대변되던 중심세대의 이동이라는 사용자 층의 지각변동이 나타남으로써, 보다 폭넓은 사용자 세대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요구들을 반영하여 다양한 세대의 사용자 층을 배려하는 새로운 의미의 ‘공공보건의료 환경색채 지표개발’ 연구과제의 1단계 기초연구로 진행되었다. 즉,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공공보건의료시설을 지원하는 순기능적 색채환경 구축을 위하여, 보다 폭넓은 세대의 사용자의 감성과 색채 선호성향을 파악하여 향후 공공보건의료시설에 적용가능한 색채 지표를 수립하고 체계화하는 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세대별 건강, 보건의료에 관한 의식조사, 감성이미지 및 색채 선호경향을 조사하고 그 추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12월 20일부터 한달간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각 300명씩 총1500명에 대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시설에 대한 만족요인에서 환경, 편의시설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한 색에 대하여 ‘자연적인’, ‘맑은’과 같은 청량한 이미지들이 선호되고 있으며 20대에서 ‘자연적인’의 이미지가 건강과 가장 연관이 깊다는 의식이 나타났다. 선호색상의 경우. 빨강, 파랑의 원색은 50, 60대에서 회피경향이 있었으나 젊은 세대에서 선호경향이 나타난 것이 주목할 만하다. 명도, 채도의 경우 대부분의 세대에서 밝고, 선명한 정도의 색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보건의료 시설의 성격상 깨끗하고 청결한 이미지가 어울린다는 의식과도 연결성을 보이는 것이라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ndency of emotion and color preference by the generations as well as a whole. This is to proffer basic data for developing a standard for the environmental color planning of the public health facilities, This study was carried by questionnaire survey with 23 questions consisting of satisfaction factor for healthcare facility, consiousness about healthcare color and image, color preference tests and image vocabulary examinations. It was carried for one month starting at Dec. 20th 2015, by on-line survey by 1,500 people that collected evenly from 20, 30, 40 and 60 gener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Satisfaction level appeared rather high, but "environment" and "convenient facility" appeared low, and it shows the coincidence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image vocabulary for "health", the words like "natural", "clear" showed most frequency and 20s" preference for the word "natural" appeared outstandingly. In preference, for Hue, PB is mostly preferred and R and B are remarkably preferred in 20s and 30s whareas they were not preferred in 50s and 60s, and it shows younger generation tends to prefer stronger colors than elder generation. Accordingly, a tendency preferring bright and vivid level appeared in the whole generations, and the results are corresponding to that of image vocabulary in preference for Value and Chroma in Y and G group which are mostly applied in the healthcare facilities such as hospital and public healthcare center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 KCI등재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공간의 BI 색채적용 특성에 대한 연구

        박혜경(Park, Heykyung),유희선(Ryu, Heeseon) 한국색채학회 2011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5 No.3

        아름다운 금수강촌실현과 농어촌 주거환경 이미지 형성을 위해, 09‘ 년도에 작성된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 모델 제작Ⅰ’상의 농어촌 마을의 유형분석 및 환경색채 적용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제 마을에 적용시켜보는 과정을 통해 실질적인 현장적용프로세스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시범마을 선정을 위해 농어촌 지역에 대한 개발사업 전반을 분석한 결과, 기 조성된 지역을 대상으로 개량정비사업으로 이뤄지고 있는 마을과 신규조성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어지고 있는 마을로 구분하여 계획하였다. 선정된 기존마을은 농어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이 진행 중인 ‘청양군 칠갑산권역의 천장리’와, 신규조성계획마을은 농어촌뉴타운조성사업의 대상지인 ‘충북 단양군 단성면 중방리’로 기 형성되어진 마을의 환경색채 재정비 방안 및 새로 계획되어지는 마을의 환경색채계획 방안으로 구분하여 계획안을 작성하였다. 각각 해당마을의 경관권역분석 및 환경색채조사를 실시하였고, 기 작성된 가이드라인 상의 색채를 적용하였다. 다음은 적용된 건축물 및 시설물의 유형을 파악하여 유형별 계획안을 작성하고, 시뮬레이션 평가를 통해 최종 적용색채를 선정, 실제 적용 및 보완작업을 통해 현장적용 모델을 검토하였다. ‘농어촌 경관이미지 형성을 위한 환경색채 적용 모델 제작Ⅰ’상의 유형별 색채가이드라인의 건축물 용도별, 시설물 종류별 색채를 실제 마을에 적용하여,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실질적인 현장적용모델로 재정립할 수 있도록 작성하였다. Recently, attempt of communication with customer by using space communication in forms of ‘user-benefit space’ is rising rather than advertisement, sales promotion or PR article and introducing BI color into the space is recommended in constructing an integrated brand Ident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under premise of idea that in order to convey its brand identity more effectively, communication function of color in space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we proceed field research on how Brand Identity colors are applied into environmental colors in major User-Benefit spaces in Korea. This study can be a fundamental study of interior space color plan for strengthening brand identity and brand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7 major company that operates ‘User-Benefit space’ were chosen and field research were carried out from July, 2010 to September, 2010. To measure environmental colors, spectrophotometer was used and measuring were proceed in rest spaces which most of the communications and conveniences are provided. As a result, the tendency applying BI colors as accent colors such as furniture or facilities are dominant, and difference between BI environmental color and its surrounding colors are rather outstanding for easy cognition. Based on Identity and communication function of BI colors, it is expected to increase marketing effect in operating User-benefit space if colors are introduced into customer communication space in various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