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지역 트윗 데이터의 시간대별 공간분포 특성 -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

        구자용,Ku, Cha Yong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지적과 국토정보 Vol.46 No.2

        최근 공간 정보 분야에서 소셜 미디어와 같은 공간 빅 데이터의 분석과 처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 빅 데이터 분석의 한 사례로서 트윗 데이터가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바탕으로 시간대별로 공간분포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부산시 지역의 트윗 데이터를 수집하고, 시간대별 공간분석을 통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여, 그 지역의 토지이용 특성과 비교하였다. 부산시 지역의 트윗 데이터를 시간대에 따라 평일 주간, 평일 야간, 휴일 주간, 휴일 야간으로 구분하고, 각 시간대별로 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적으로 집중된 지역의 토지이용 특성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트윗 데이터는 시간대에 따라 공간분포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그 지역의 일상생활 패턴과 토지이용 특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분야에서 트윗 데이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자료의 분석을 통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토지 계획이나 도시 계획 등의 분야에서 다양한 소셜 미디어 자료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The process of spatial big data, such as social media, is being paid more attention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n recent years. This study, as an example of spatial big data analysis, analyzed th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Tweet data based on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its spatial pattern by times were identified. Tweet data in Busan city are collected, process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l and spatial pattern. Then, the results of Tweet data analysis wer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type. This study found that spatial pattern of tweeting in the city was associated with given time periods such as daytime and nighttime in both weekdays and weekends.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individual time periods wer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nd for the spatially concentrated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weeted data would be related to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time, which potentially reflects the daily pattern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nd type of urban area to some extent. This study presented the possible incorporation of social media data, e. g. Tweet data, into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more advantage to use a variety of social media data in areas such as land planning and urban planning.

      • KCI등재

        12 소예언서의 이방 민족들

        구자용(Cha-Yong Ku) 한국구약학회 2019 구약논단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escriptions of the foreign nations` in the Book of the Twelve by using a new methodology which is currently applied in this field, that is, ‘a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 In particular, it tries to find out how the descriptions of the foreign nations in the compositional aspect are arranged in the Book of the Twelve and which role they play there. The word of judgment against the foreign nations there, whether it is related to the judgment or salvation of Israel, or to their salvation itself, is first referred to in the frame of ‘Amos-Obadiah-Jonah’/‘Micah-Nahum-Habakkuk’ and also in the frame of the consecutive order of Jonah-Nahum in the LXX. The remaining six books are separately analysed into pre-exilic and post-exilic books, namely ‘Hosea-Joel and Zephaniah’ and ‘Haggai-Zechariah-Malachi.’ When we consider the meaning of the descriptions of the foreign nations, firstly, we recognize that there is the repeated pattern of ‘Israel-nations-nations’ in the frame of `Amos-Obadiah-Jonah`/`Micah-Nahum-Habakkuk,` and that the messages focus much on Israel. Secondly, we know that the judgment and salvation of God goes beyond not only the national dimension but also the periodical one and encompasses the whole nations of the world. Besides, the intentional arrangement of the ‘Jonah-Nahum’ in the LXX is seen as an expression of God"s absolute freedom of sovereignty in judgment and salvation. In the pre-exilic and post-exilic books, Hosea as the introduction to the Book of the Twelve shows the Israel-centric character, and all the other books contain the motif of ‘the day of YHWH.’ This motif confirms not only that both Israel and the nations are the object of YHWH`s judgment and salvation, but also that the last part of the Book of the Twelve more strongly emphasizes YHWH’s eschatological dominance. This study is an academic try to keep pace with current trends in the research on the Book of the Twelve. God"s attitude toward the foreigners shown in the Book of the Twelve may teach us how we should behave toward them under the social situation rapidly changing toward a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갈라디아서 4장 21-31절의 하갈과 사라의 비유에 대한 선교적 읽기

        구자용(Cha-Yong K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1 신학사상 Vol.- No.195

        이 논문은 갈라디아서 4장 21절 이하의 하갈과 사라에 대한 이야기를 선교적 읽기를 통해서 해석한다. 그것은 바울이 사용한 하나의 개념인 ‘비유’, 즉 알레고리적 표현을 기초로 한 해석이다. 이 해석의 가능성은 이 개념에 대한 이해 외에도 구약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창세기 16장과 21장에서 하갈은 진정한 자유자로, 그리고 사라는 자유자이지만 스스로 자유를 잃어버리는 모습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라의 이 모습은 갈라디아서 5장에서 자유자이지만 스스로 율법의 굴레에 매이고자하는 갈라디아인들과 정확히 일치한다. 이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참된 자유자가 종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할지라도 그리스도로 인해 참된 자유를 누리는 자이며, 바울은 그것을 갈라디아서 4장에서 하갈을 통해 암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갈라디아서 4장에서 바울이 비난하는 갈라디아 교회의 모습은 한국 교회가 보이는 모습과 흡사하다. 진리와 신앙의 순수함을 지키고자 하는 처절한 노력은 어느덧 타자에 대한 사랑과 긍휼의 상실로 나타나고, 스스로 값없이 받은 은혜를 타인에게 적용하는 것을 완강히 거부하며, 이제는 오롯이 정죄의 자리에서 다른 사람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는 바리새인과 같은 처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하나님의 선교 실천을 위해서는 사랑으로써 역사하는 믿음을 회복하고, 복음의 능력인 타자에 대한 포용성을 회복해야만 한다. This paper interprets the story of Hagar and Sarah in Galatians 4:21-31 in terms of a missional reading. It is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allegory, a hermeneutical frame used by Paul.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the allegory, the possibility of the interpretation also comes from the Old Testament background. In Genesis 16 and 21, Hagar turns out to be a truly free person, while Sarah starts as a free person but loses her freedom. And this portrait of Sarah is exactly the same as the plight of the Galatians, who Paul describes as free in Galatians 5 but who want to put themselves under the bridle of the law.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at truly free people are the ones who enjoy true freedom in Christ, even though they have the appearance of servants and that Paul implies this view in his description of Hagar in Galatians 4. The Churches in Galatia as described in Galatians 4 seem to be similar to the Korean Church. Desperate efforts to maintain the purity of faith and truth have instead leaded to the loss of love and compassion for the Other and a stubborn refusal to apply to the Other the grace that was freely received by themselves. They have become like the Pharisees, who judged others. In order to practice God’s mission, we must restore the faith that works through love and restore the inclusion of the Other, that is, the power of the Gospel.

      • GIS를 이용한 경기도의 토지이용 변화특성 분석

        구자용 ( Cha Yong Ku )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21 No.-

        경기도는 우리나라의 수도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지리적 위치로 인하여 다양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경험하였고, 그에 따라 우리나라 국토계획의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목별 토지이용 변화와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경기도의 토지이용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1960년대 이후 경기도의 토지이용 변화의 특성은 크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도시적 토지이용의 증가이다. 경기도의 토지종별 면적의 변화를 살펴보면 전통적 토지이용 방식인 농경지와 산지의 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도시적 토지이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둘째, 경기도의 급속한 도시화에도 불구하고 산림의 면적은 전체 경기도의 56%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의 대부분 지역이 지형기복과 경사가 있는 산악지형이기 때문에 도시적 개발이 어려운 점도 있지만, 1970년대 이후 꾸준히 지속되어 온 개발제한구역 제도의 결과이기도 하다. 셋째는 경기도가 서울, 인천과 함께 대도시권역으로 확대되면서 우리 국토의 중심부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서울, 인천과 근접한 지역에서 급속한 토지이용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경기도는 국토의 중심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위하여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토지이용 계획이 필요하다.

      • 래스터 자료의 해상도 변환기법에 대한 비교분석

        구자용 ( Cha Yong Ku )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21 No.-

        지리정보는 축척에 따라 지리현상이 다르게 표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위성영상과 같은 래스터 자료는 해상도에 따라 표현하는 대상물의 상세한 정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다양한 해상도를 가진 래스터 자료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해상도의 래스터 자료의 구축을 위하여 기초적으로 필요한 해상도 변환기법을 검토하였다. 평균, 가우시안 가중평균, 체계적 표본추출, 최소값, 최대값, 중앙값, 최빈값 등 7가지 해상도 변환기법을 모색하여 실제 자료에 적용하였다. 이들 기법을 실험영상에 적용하고 원자료와의 차이를 측정한 결과 영상의 특성을 가장 잘 유지하는 기법은 평균과 가우시안 가중평균기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적의 해상도 변환을 위해서는 연구자의 목적과 자료의 특성에 맞는 적절한 해상도 변환기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전도서의 지혜가 드라마화된 다윗의 왕위 계승사 : 사무엘하 10:1-5를 중심으로

        구자용(Cha-Yong Ku)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20 신학사상 Vol.0 No.191

        최근 구약 지혜 문학 논의의 핵심 개념은 일관된 경험 신학과 지혜의 담론성이다. 그중에서 먼저 경험 신학은 구약 지혜 문학에 명확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삶의 이야기로 볼 수 있는 다윗의 왕위 계승사에서도 발견된다. 형식적인 면에서 두드러지는 지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담론성은 전도서뿐 아니라, 다윗의 왕위 계승사도 공히 지배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담론성은 특히 다윗의 왕위 계승사에서 지혜를 서술하는 방식에서 현저하게 드러난다. 그것은 ‘지혜가 과연 무엇인가’를 직접적으로 밝히기보다는 드라마화하여 보여주는 방식이다. 그 드라마화는, 첫째, 빈틈 이론의 사용을 통해 독자를 해석에 끌어들이는 것이며, 둘째, 고착화된 규범을 흔들어 ‘과연 무엇이 옳은 것인가’를 독자 스스로하여금 다시 생각하게 하는 것이며, 셋째, 독자로 스스로 그에 대한 답을 찾고, 새로운 규범을 세우게 하는 것이다. 이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첫째, 다윗의 왕위 계승사의 지혜는 이러한 지적 능력의 기반 위에서 독자들 스스로 책임성 있는 삶의 교훈을 정립해 나가게 한다는 것과 둘째, 그것이 곧 전도서의 지혜가 다윗의 왕위 계승사에서 삶의 교훈으로 드라마화되어 나타난 구약의 지혜의 한 모습이라는 것이다. The key concept of the most recent discussions of the Old Testament wisdom literature is a consistent theology of experience and discourse of wisdom. The theology of experience has a clear place in the Old Testament wisdom literature. It is also found in the Succession Narrative (SN) to the Davidic throne, which can be viewed as a life story. Discourse, a formal feature of wisdom, is prominent not only in the Book of Ecclesiastes, but also in the SN. Discourse is conspicuous in the SN, especially in the ways to describe and utilize wisdom. The narrative reveals wisdom through dramatization, instead of explaining what wisdom is. The dramatization yields the following three effects. First, it invites the reader to interpretation which is related to the gap theory; second, it shakes the established norms so that the reader can rethink what is right at all; and finally it allows the reader to find the answer for themselves and create a new norm. This paper asserts, first, that the wisdom of the SN enables the reader to learn the lessons for responsible living based on this intellectual ability; second, that the wisdom of the SN is a form of Old Testament wisdom that dramatized the wisdom of Ecclesiastes as a life lesson.

      • KCI등재후보

        죽음에 대응하는 이성(理性)으로서의 지혜

        구자용(Cha-Yong Ku)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1

        이 논문은 죽음이란 주제를 통해 부각되어 나타나는 ‘하나님 주권의 절대성과 인간의 한계성’이 ‘죽음에 적절히 대응하는 이성으로서의 지혜’로서 소위 다윗의 왕위 계승사와 전도서에서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와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이 된 본문으로 사무엘하 12장과 전도서 9장이 선택되었다. 논문의 제목은 이 두 곳에 언급된 ‘누가 알겠는가?’([dy ym)의 질문과 ‘사람은 알지 못한다!’(~dah [dwy !ya)의 대답의 형식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알다’(d[y)라는 동사의 목적어는 여기서 생략되었다. 누구도 알지 못함의 대상은 하나님의 행하심인데, 이 사실에서 하나님과 인간의 본질적 속성이 제시된다. 이 두 곳은 모두 ‘죽음’이란 주제가 지배하는 문맥 속에서 그 죽음에 적절히 대응하는 이성적 지혜자의 모습을 제시한다. 그것은 곧 행위 화복 관계를 적절한 해명 없이 깨뜨리시고 인간에게 넘을 수 없는 경계선을 그으시는 하나님께 대한 순복과 삶에 대한 기쁨 그리고 적극적인 자세로 삶을 살 것으로 대변되는 매우 고차원적인 지혜라고 할 수 있다. 전도서만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여겨지던 이러한 사상이 소위 다윗의 왕위 계승사에도 두드러지게 표현된다는 사실은 죽음에 적절히 대응하는 이성으로서의 지혜가 비단 늦은 시기에서만 발견되지 않고, 이스라엘의 정신세계에 이미 오래전부터 자리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show how God’s absolute sovereignty and limitedness of human beings, which are magnified through the theme of death as ‘wisdom as the rationality of dealing with death’, are described in the so-called Succession Narrative and Ecclesiastes, and discover the significance of that. 2 Sam 12 and Ecc 9 are selected for the Text to be analyzed. The title is comprised of the question ‘Who knows then?’(ym [dy) and the answer ‘No one knows!’(~dah [dwy !ya), which are mentioned in the two Texts, omitting the object of the verb ‘know’([dy). What no one knows is God’s doing and it implies the true character of God and human being. In the context dominated by the theme of Death, both Texts describe the attitude of the wise man and show how human being can overcome death and scepticism. Such wisdom is characterized as obedience to God who breaks the Tun-Ergehen-Zusammenhang without a cause and sets limits to human being, joie de vivre(joy of life) as well as a positive attitude towards life. It is indeed a highly advanced wisdom. This representative thought in Ecclesiastes is also found in the so-called Succession Narrative. Hence I conclude that ‘wisdom as the rationality of dealing with death’ existed not only in late Israel but also in the Israeli mentality since long ago.

      • KCI등재

        Imago Dei, dominium terrae, Missio Dei: 창세기의 인간 창조 서술에 대한 선교신학적 고찰

        구자용(Cha Yong Ku) 한국선교신학회 2016 선교신학 Vol.43 No.-

        이 논문은 구약성서의 인간 창조 서술의 핵심으로 볼 수 있는 ‘하나님의 형상’의 구약신학적 의미와 선교신학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하나님의 형상’은 전통적으로 외형적 혹은 내면적 어떤 의미로 해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구약신학의 분야에서는 아래의 두 가지 사실에 근거하여 그것을 ‘땅에 대한 지배권’(dominium terrae)으로 해석한다. 첫째, 창 1:26의 문맥이 이것을 명확히 보여주며, 둘째, ‘형상’의 히브리어 표현인 ‘첼렘’이 어원학상 ‘상/동상’이란 의미를 지니며, 실제로 고대근동 지방에서는 이 개념을 ‘신의 대리자’로서 행세하는 왕들이 ‘왕의 이데올로기’를 가시화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땅에 대한 지배권’의 모습은 구약과 고대근동에서 자연과 동물에 대한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다스림으로 나타나기도 하나, 동시에 ‘보존과 보살핌의 개념’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창세기 1장 28절에도 이두 가지의 모습이 다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을 구약성서 자체가 드러내는 ‘하나님의 행하심’의 모습과 고대근동 지방에서 늦은 시기에 대두된 ‘페르시아의 왕의 이데올로기’와 연관하여 보면 창세기 1장 28절의 ‘땅에 대한 지배권’은 인간에게 주어진 자연에 대한 평화적 통치권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의 권리로서 주어진 ‘땅에 대한 통치권’이 특히 ‘하나님의 형상’과 관련이 있다는 사실은 동시에 그것이 ‘하나님의 행하심’의 모습을 따라 규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인간과 모든 만물의 주로서의 ‘하나님의 행하심’은 모든 인간과 만물에게 은혜를 주시며 돌보실 뿐 아니라 궁극적 구원을 주시고 모든 창조 세계를 새롭게 하시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런 ‘하나님의 행하심’에 참여하도록 부름 받고 보냄을 받은 인간의 사명,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땅에 대한 지배권’은 ‘하나님의 선교’에 참여하도록 부르심과 보내심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he image of God’(imago Dei), which can be seen as the core of the human’s creation narrative of the Old Testament, in terms of both the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theology of Mission. The ‘image of God’ has traditionally been interpreted in an outward or inward sense. However, in the field of theology of the Old Testament it has recently been interpreted as ‘dominion over the earth’ (dominium terrae) based on the following two facts. Firstly, the context of Gen 1:26 shows this clearly. Secondly, the Hebrew word for ‘image,’ ‘zele’,’ etymologically means ‘figure’/‘statue’, and this concept was actually used in Ancient Middle East by the kings, who were posing as God’s representatives, as a means of visualizing the ‘Royal Ideology.’ On the one hand, ‘dominion over the earth’ appears in the Old Testament and in Ancient Middle East as a unilateral, violent reign over nature and animals. On the other hand,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a concept of preservation and care. In Gen 1:28, both these aspects are reflected. However, in regard to ‘actio Dei’ in the Old Testament itself as well as the ‘Persian Royal Ideology,’ which has emerged at a relatively late stage in Ancient Middle East, ‘dominion over the earth’ of Gen 1:28 can be seen as the peaceful dominion over nature. The fact that ‘dominion over the earth’ as a given human right is particularly related to the ‘image of God’ at the same time indicates that it must be characterized in accordance with ‘actio Dei’. As the Lord of all human beings and animals, ‘actio Dei’ reveals itself not only to bestow grace to all people and things and take care of them but also to ultimately give them salvation and to renew all creation. Therefore, the mission of the human being, who is called and sent to participate in ‘actio Dei’, that is the ‘dominion over the earth,’ which is given to all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can also be considered the calling and sending for the participation in the ‘missio Dei.’

      • KCI등재

        아모스서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

        구자용(Cha-Yong Ku)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8 No.-

        이 논문은 아모스서가 가진 독특한 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는 첫 부분에 나오는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이 그 자체뿐 아니라, 아모스서 전체의 구성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연구한다. 이것을 위해 먼저 아모스서의 전체적 형성 과정을 염두에 두고, 아모스 초반부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을 고찰한다. 그리고 통시적 관점에서의 분석에 대해 다르게 생각할 여지는 없는지를 내용적 그리고 구성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나아가 아모스서에는 전체 구성적 관점에서 볼 때 초반부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예언’뿐 아니라 종반부의 ‘이방민족들에 대한 서술들’의 배열을 통해 형성되는 ‘신학적 틀’이 있는데, 그것을 아모스서의 또 다른 독특한 특징 중의 하나로 주목한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대변되는 이스라엘과 이방민족들 간의 관계성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결론으로 그것은 이스라엘이 이방민족들과 함께 여호와 하나님의 엄중한 심판의 동일한 대상일 뿐 아니라 구원에 있어서도 철저하게 상대화된다는 것임을 주장한다. This paper examines what the placement of ‘Amos’s oracles against the nations’ means to say in the first part of the book, which is one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book of Amos in itself as well as its whole composition. For this purpose, I will first look into the ‘oracles against the nations’ in the first part of Amos, with the whole formation process of Amos in mind. In addition, we exa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to think differently about the diachronic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ontent and composition. Furthermore, in Amos, there is a ‘theological frame’ formed by the constructive arrangement of the ‘oracles of the nations’ as an opening frame as well as the ‘descriptions of the nations’ as a closing frame. That is noted as one of the other unique features in Amos. Further I try to find ou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the nations represented by it.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Israel is not only the same object of the severe judgment of JHWH Elohim with the nations, but also thoroughly relativized in salvation.

      • KCI등재

        “우리가 항상 좋은 것을 하나님께로부터 받는데, 악한 것을 또한 받지 못하겠느냐?”(욥 2:10) - 욥기가 말하는 신정론에 대한 성서 신학적 고찰 -

        구자용(Cha-Yong Ku) 한국구약학회 2019 구약논단 Vol.25 No.4

        The problem of theodicy is an important issue to be discussed in the history of human beings over time and space, but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n appropriate answer for it. Nevertheless, the book of Job discusses the problem of theodicy, especially the suffering of a righteous person, as the most important subject. The book of Job has a frame structure composed of the prose section of the front and back and the poetic section of the middle, which is to clarify the debate on the theodicy. Inside this frame structure is a hermeneutic premise that prevents readers from misunderstanding this subject. In other words, Job is a righteous man, and Job"s suffering is determined by God in the heavenly council. At the same time, in the frame structure an answer is implied to the problem of theodicy. The broad spectrum of the poetic dialogue shows what human nature is and what ideal a man can have in front of God, and it especially examines all kinds of possibilities of a suffering righteous. Although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providing the right answer, it can nevertheless recognize the value of being a set of common ideas that mankind can have on the subject. The clear answers and conclusions of the endless discussion are already implied throughout the whole plot, but they are ultimately evident in the utterances of God and in Job’s last confession of 42:1-6. It is that the problem of theodicy is never solved in human knowledge and wisdom. Because the problem of theodicy is the question of God"s work in the human aspect, but the solution can be presented only from God. It is as if this discussion were beyond the wisdom of a two-dimensional human being, and therefore can never be answered here, but can only be solved by expanding the dimension of discussion through the intervention of God as the Creator. It is concluded that human beings can finally achieve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only by acknowledging these f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