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iscourses o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ookyung Cho,Hyunjung Seo,Kyungchul Kim,Younchul Choi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6 International Journal of Software Engineering and Vol.10 No.12

        Sustainable Development is a vision for development as a concept includi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for future and current generation.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to SD in various fiel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research trend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draw shared views in topics of SD research. For the foregoing, this study classified 107 Korean researche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published from 2005 to January 2016,and drew out the definitions of SD. In researches related to SD, SD is defined as balanced and equal development considering capacities of environment, society, and economy. Because the notion of development is dominated by the principle of economic-interest-first, fundamental pursuits of SD can be seen as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approach of SD, there are still oppositions and conflicts between sustain ability and development. And without solving those conflicts, it is difficult to achieve SD. To solve the conflicts between sustain ability and development, we have to abstain from man-oriented world views and pursue for respect, harmony and balance in nature-centered-values.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본질과 실천방향 탐색

        조부경(BooKyung Cho),서현정(Hyunjung Se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인류의 발전을 주도해 온 과학기술이 만들어낸 자연고갈과 기후변화, 이로 야기되는 경제적 불평 등과 빈곤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유아기부터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는 과학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 교육의 본질과 유아과학교육의 실천 방향에 대해 고찰하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을 위하여 관련 전문가 18명과 유아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와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과학교육의 실천방향에 대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과학교 육은 ‘유아-교사-생명체간 상호존중’, ‘개별 탐구 기반 공동체 의식 함양’, ‘유아의 눈으로 세상 바라보 기’, ‘관심 주제에 대한 심화와 확장’, ‘지속적 탐구와 몰입’, ‘대화와 공유 중심 탐구’로 범주화 되었 다. 결론적으로 지속가능발전 지향 유아과학교육은 유아가 관심 있는 주제로부터 출발하여 상호 존중 의 탐구 경험을 통해 자신을 둘러싼 자연에 대해 지속적으로 알아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Science and technology have led the development of mankind, but have created problems such as natural depletion, climate change, economic inequality and pover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sci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contribute to the harmony of nature and human being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objectives, 18 experts and 15 teachers were interviewed on the meaning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directions of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was categorized as follows. ‘Mutual respect between child-teacher-organism’, ‘developing individual inquiry-based on community consciousness’, ‘looking at the world with child’s eyes’, ‘deepening and expanding on topics of interest’, ‘continuous inquiry and commitment’, ‘conversation and sharing-centered exploration’. By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hould start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was a meaningful process in which children constantly learn about the nature surrounding themselves based on mutual respect.

      • NAND 플래시 메모리에서 랜덤 로그 버퍼의 가비지 컬렉션 성능 향상을 위한 페이지 이주 기법

        이부경(Bookyung Lee),하병민(Byungmin Ha),조현진(Hyunjin Cho),엄영익(Young Ik Eom) 한국정보과학회 2009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6 No.2B

        플래시 메모리는 빠른 속도, 낮은 전력 소모, 휴대성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저장장치로서 급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하드디스크와 달리 덮어쓰기가 불가능하여, 쓰기 전에 미리 지워야하는 물리적 특성을 가진다. 이로 인해 가비지 컬렉션(garbage collection)이라는 블록을 재활용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기존에 존재하던 방식은 가비지 컬렉션 수행 시 병합(merge) 연산만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주(migration) 연산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도입하면, 상황에 따라 두 연산 중 비용이 낮은 연산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가비지 컬렉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을 위해서는 병합 연산 비용과 이주 연산 비용을 계산하여 비교하기 위한 비용 모델이 필요하다. 그런데 기존의 모델은 로그 블록 하나에 한 개의 데이터 블록만 연관되는 경우만을 고려하고 있다. 때문에 로그 블록 하나에 여러 개의 데이터 블록이 연관 될 수 있는 완전 연관(fully associative) 매핑 방식의 로그 버퍼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위한 적절한 비용 모델의 수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비용 모델에 완전 연관 개념을 고려한 이주/병합 연산 선택을 위한 비용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핫/콜드 파티션으로 나뉜 랜덤 로그 버퍼에 적용하는 방법을 보인다.

      •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and Environment in Places near Kindergarten

        ( Myungha Choi ),( Bookyung Ch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and environment at places near kindergarten. For this purpose, data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 researcher’s journal, and photos on the young children’s walk and free play process were collected for 10 weeks at a place near the S kindergarten for 28 5-year-old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tudy, young children exhibited the following. First, they made the nearby place into their own place for a continuous stay. Second, the children communicated with the environment in familiar places and developed a sense of belonging. Third, they recognized the coexistence relationship with the living things. Fourth, they voluntarily solved environmental problems directly related to th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spects of children’s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in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which can contribute toward finding a direction for the practice of place-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유치원 교사가 생각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

        권의재 ( Kwon Uijae ),조부경 ( Cho Boo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하여 유치원 교사가 어떠한 생각을 하고 있는지 들여다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에 대한 생각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다고 판단된 공립유치원 교사 6명이었다. 2019년 5월부터 11월까지 교사별로 3회씩 총 18회 심층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이 외에 동료 교사와의 면담, 연구보고서, 출판 서적 등 기타자료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가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의미 있는 진술문을 표시하고 해석적 메모를 작성한 뒤 범주화하는 해석적 분석방법으로 분석되었다. 자료 분석의 적절성을 검증하기 위해 구성원 확인과 관련 분야 대학원생 3명의 동료검증 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첫째, 참여교사들은 교사와 연구자를 분리하기도 하고 동일시하기도 하였다. 일부교사는 교사와 연구자의 역할이 서로 다르다거나 연구자의 삶은 교실을 벗어난 곳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 다른 교사는 교사가 연구자 역할을 해야 하지만 체계적인 연구결과로 교실에 기여해야 한다거나 교사의 교실개선을 위한 모든 노력이 연구이므로 교사는 마땅히 연구자라는 등 다양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 개인의 앎과 삶의 방식에 따라 연구에 대한 생각과 그에 대한 맥락도 다르게 형성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치원 교사들의 연구자적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the concept of teacher as researcher. Six experienced teachers were invited to share their thoughts about the concept of teacher as researcher.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total of 18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three times for each participant from May to November, 2019. The data from interviews were reviewed by peer checks and analyzed as analytical framework to derive common categories and sub-characteristics. The results indicated the disposition as to how teachers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researcher, and how the concept of ‘research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ir own ‘knowledge’ and ‘life experience’.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as a researcher needs to be further understood and examined.

      •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내용 분포 및 연결망 분석

        서현정(Seo, Hyunjung),조부경(Cho, Book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측면에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의 분포 및 연결망을 분석하여 유아기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 중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의 분포를 파악하고 생활주제와 교육내용에 대해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영역의 교육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그 중에 ‘지역문화’를 다룬 활동이 가장 많았다. 생활주제로는 ‘우리 동네’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생활주제와 지속가능발전교육내용과의 사회연결망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지역문화’와 ‘건강과 안전’은 ‘건강’과 높은 연결정도를 나타냈다. 셋째,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지역문화’, ‘민주시민’, ‘건강’이 공동 참여 연결망에서 강한 연결성을 나타내어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핵심내용임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활동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통합적인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실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tents and networks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are reflected and connected in teacher"s manual for 5-year-old"s Nuri curriculum and to propose how to implement ES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is, the research team analyzed contents and networks of teacher"s manual (eleven themes) for 5-year-old"s Nuri curriculum based on ESD. It was found that social sustainability, especially activities that deal with ‘local culture" was the most emphasized contents in teacher"s manual for 5-year-old"s Nuri curriculum. Second,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demonstrated strong connection between ‘our country’ and ‘local culture,’ as well as ‘health and safety’ and ‘health.’ Third, strong connection among ‘sustainable product and consumption,’ ‘local culture,’ ‘democratic citizen,’ and ‘health’ proved their significance within ESD networks. By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lementing ESD in Nuri curriculum and proposed ESD should be integra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국내학술연구 주제 경향 분석

        권의재 ( Kwon Uijae ),조부경 ( Cho Boo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periodic research trend in Korea, from 1976 to 2022, on professionalis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date, frequency analysis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on 5,312 articles published i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First period, 1976∼1990, only few articles exist, but most of them included general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In Second period, 1991∼2000, in the process of realizing educational theory and approach, professionalism was revealed indirectly. In Third period, 2001∼2010, many researchers expressed their interests in teaching profession and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eld. In Forth period, 2011∼2020, researches focused on some factors related to professionalism and personal or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ism. Fanally, in Fifth period, 2021∼2022, initiated new understanding and discussions on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curriculum revision and also due to the emergence of Covid-19 pandemic.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in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ocio-cultural contexts surrounding teachers or teacher groups,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teacher as agency which understand and do professionalism.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현정 ( Seo Hyunjung ),조부경 ( Cho Bookyung ),김경철 ( Kim Kyungchul ),최현주 ( Choi Hyunju ),최연철 ( Choi Younchu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을 목적으로 관련 문헌 고찰을 통해 지속가능발전지향과 창의인성에 대한 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의 이론적 준거를 마련하였다. 구성된 이론적 준거를 토대로 전문가협의회를 통해 실제적 준거를 세워 프로그램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프로그램 1차 시안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 시안은 전문가의 검토를 거쳐 수정한 후 충북 소재 4개 공립 유치원, 만 5세 8개 학급 189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현장 적용을 실시하였다. 현장 적용 모니터링 결과와 현장 적용에 참여한 8명의 교사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프로그램 1차 시안을 수정하여 2차 시안을 구성하였으며, 구성된 2차 시안은 유아교육전문가와 현장전문가의 2차 검증 과정을 거쳐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한 후 지속가능발전지향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 최종안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최종안은 ‘소중해요, 함께해요, 나누어요’ 라는 3가지 주제로 구성하였으며, 각 주제별로 3개의 소주제씩, 총 54개의 활동이 개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ustainable development - oriented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 children. First, theoretical criteria and frame of the program were established by drawing factors relat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creativity and character from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documents. Then direction and draft of the program were settled through professionals’ discussion based on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The draft of the program was revised twice to reflect the opinions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field application conducted onto 189 children from 8 classes in 4 kindergartens in Chungbuk province and the result of program monitoring. Finally, a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for 5-year-old children has been developed after another round of professionals’ and teachers’ review and validation. The program is composed of 3 main categories, where each main category has 3 sub-categories and 54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