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North Korean Unification Policy in the Early 1970s(as documented in East German Archives)

        Bernd Schaefer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3 No.-

        Reconciliation between the leaders of China and North Korea in 1969/70 was followed by rapprochement between Beijing in Washington in 1971/72. For Kim Il Sung this offered an opportunity to propagate Korean unification by peaceful means without foreign interference. After the Joint Declaration of North and South on 4th of July 1972, North Korea hoped to achieve reunification with the help of the Southern population in free elections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a Korean confederation. Overestimating the Northern attractiveness to the South, Pyongyang had to concede miscalculations when Park-Chung Hee elevated himself to an absolute ruler in Seoul capitalizing on the pretext of Korean unification. The Soviet Union and the Eastern European socialist allies of North Korea were relieved about this failure, as they harbored grave concerns against the reunification concepts of Kim Il Sung. 1969에서 1970년에까지 이른 중국과 북한 지도간의 화해는 1971년에서 1972년에 베이징과 워싱턴간에 진행이 된 친교회복을 통해 가능했다. 김일성에게 있어서, 이러한 상황은 외국의 간섭 없는 평화적 수단을 통한 한반도 통일을 선전하는 기회를 제공했다 할 수 있다. 1972년 7월 4일에 발표된 남북 공동 성명 이후에 북한은 대한민국이 건설 된 이후 진행이 된 자유 선거에서 남한의 도움을 받아 재통일을 실현시키기를 원했다. 남한에 대해 북한이 가지고 있던 유인요소들을 과소 평가 했기 때문에, 평양은 박정희가 그 자신을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구실로 이용한 서울의 절대적 통치자로 급부상 했을 때, 자신들의 계산 착오를 인정해야 했다. 북한 내에서 활동하고 있던 소련과 동유럽 계통의 사회주의자들은 김일성의 재통일이라는 개념에 대해 심각한 수준의 걱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실패에 대해 안도해 했다.

      • KCI등재

        Weathering Moscow and Beijing

        Bernd Schaefer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4 역사문화연구 Vol.21 No.-

        1950년대부터 1989년 사이의 독일민주공화국과 북한의 양자관계는 모스크바와 베이징에 의해 영향을 받아왔다. 넓은 의미로 보면, 양 공산국가들은 1945년 이후 양분되어 온 독일과 한반도의 긴장을 반감시키며 견고한 상호관계를 유지해 왔다. 1986년까지 독일민주공화국은 모스크바의 영향을 받는 사이 북한은 소련으로부터의 군사적 원조 없이 주로 중국에 의존하고 있었다. 한국전 이후 독일민주공화국은 함흥시 재건을 위한 경제적 원조를 지원하였다. 이러한 관계가 정치적으로 발전되면서 1977년, 1984년, 1986년에는 호네커와 김일성 사이의 개별회담이 성사되기도 하였다. 평양에서의 이러한 만남이 이루어진 이후에 소련 고르바초프의 개혁으로 말미암아 1989년 동독이 멸망하기까지 양국 간에는 유례 없는 군사적 동맹관계가 형성된다. Bilateral relations betwee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GDR)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DPRK) between the 1950s and 1989 were contingent on respective relationships of East Berlin and Pyongyang with Moscow and Beijing. To a large degree, both communist halves of the post-1945 divided states of Germany and Korea weathered those overriding tensions and developed a mutually solid working relationship. Until 1986 the GDR followed Moscow’s course whereas the DPRK mostly tilted towards China without forsaking essential Soviet support in military terms. After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GDR provided substantial economic aid and organized the reconstruction of the city of Hamhung. Gradually closer in a political sense became relations with personal meetings of leaders Erich Honecker and Kim Il Sung in 1977, 1984, and 1986. After this last encounter in Pyongyang, mutual distrust of Gorbachev’s reforms in the Soviet Union led to unprecedented military and intelligence cooperation between the DPRK and the GDR all the way through 1989 until the fall of the East German communists from pow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