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립선암의 방사선치료 시 직장풍선의 유용성 평가

        이상규,백종걸,김주호,전병철,조정희,김동욱,나수경,송태수,조재호,Lee Sang-Kyu,Beak Jong-Geal,Kim Joo-Ho,Jeon Byong-Chul,Cho Jeong-Hee,Kim Dong-Wook,Na Soo-Kyong,Song Tae-Soo,Cho Jae-Ho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05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17 No.2

        Purpose : The using of endo-rectal balloon has proposed as optimal method that minimized the motion of prostate and the dose of rectum wall volume for treated prostate cancer patients, so we make the customized rectal balloon devi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iciency of the Self-customized rectal balloon in the aspects of its reproducibility. Materials and Methods : In 5 patients, for treatment planning, each patient was acquired CT slice images in state of with and without rectal balloon. Also they had CT scanning samely repeated third times in during radiation treatment (IMRT). In each case, we analyzed the deviation of rectal ballon position and verified the isodose distribution of rectum wall at closed prostate. Results : Using the rectal balloon, we minimized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by decreased the internal motion of prostate and overcome the dose limit of radiation therapy in prostate cancer by increased the gap between the rectum wall and high dose region. Conclusion : The using of rectal balloon, although, was reluctant to treat by patients. View a point of immobilization of prostate internal motion and dose escalation of GTV (gross tumor volume), its using consider large efficients for treated prostate cancer patients.

      • 복부압박장치를 이용한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호흡에 따른 폐암 용적의 동적변이 양상에 대한 연구

        박광순,김주호,박효국,백종걸,이상규,윤종원,조정희,Park, Kwang Soon,Kim, Joo Ho,Park, Hyo Kook,Beak, Jong Geal,Lee, Sang Kyoo,Yoon, Jong Won,Cho, Jeong Hee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3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5 No.2

        목적: 복부압박장치를 적용한 정위적방사선치료 시 환자 호흡에 기인하는 내부종양용적의 동적변이 양상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4월부터 2013년 4월까지 복부압박장치를 이용하여 정위적방사선치료를 받은 폐암 환자 20명(상엽 7명, 중엽 4명, 하엽 9명), 총 67건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자세의 변동과 호흡에 의해 움직이는 종양 위치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4차원 cone- beam CT (4D-CBCT)를 사용하여 좌표 이동 값을 얻었다. 각 부위별로 LR (좌우), SI (상하), AP (전후) 방향의 벡터의 95%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95% CI), 최대값, 그리고 최소값을 통하여 비교하였으며 자세변동 보정 값과 호흡변동 보정 값 간의 피어슨 곱 상관계수를 통하여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호흡에 의한 종양용적의 각 부위별로 변동은 폐 상엽에서 1.8~2.9 mm, 중엽과 하엽에서 2.3~5.4 mm, 2.2~4.0 mm로 분석되었다(95%CI, P<0.001). 자세변동 보정 값과 호흡변동 보정 값 간의 일치도($R^2$)를 살펴보면 상엽은 LR방향, SI방향, AP 방향에서 각각 0.75, 0.68, 0.63으로 나타났고, 중엽은 각각 0.82, 0.51, 0.92로 나타났으며, 하엽은 각각 0.63, 0.50, 0.34로 나타났다. 결론: 폐암의 정위적방사선 치료 시 복부압박장치의 사용으로 폐에 위치하는 종양은 환자 호흡에 의해 각 부위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치료 자세에 대한 보정뿐만 아니라 호흡에 의한 변동을 보정해야만 한다. 또한 이러한 각기 다른 동적변이로 인한 오차의 보정 시 4D-CBCT의 사용은 매우 유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Abdominal compressor is used to control breathing in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for lung tumors frequently. We evaluated the dynamic variation aspect of internal tumor volume by breathing. Materials and Methods: We reviewed 20 lung cancer patients (7 upper lung patients, 4 middle lung patients, 9 lower lung patients) who received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using abdominal compressor between April 2012 to April 2013. Coordinate shift values were obtained by using four-dimensional cone-beam CT (4D-CBCT) to investigate treatment set-up error and moving tumor position error. To investigate how much difference of each part, we compared 95% confidence interval, maximum values and minimum values of three-dimensional vector value and analyzed conformity degree through the Pearson square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95% confidence interval of three-dimensional vector value of each part is 1.8~2.9 mm in upper lobe, 2.3~5.4 mm in middle lobe and 2.2~4.0 mm in lower lobe. Conformity degree was the result that respectively is LR direction 0.75, SI direction 0.68 and AP direction 0.63 in upper lobe, LR direction 0.82, SI direction 0.51 and AP direction 0.92 in middle lobe and LR direction 0.63, SI direction 0.50 and AP direction 0.34 in lower lobe. Conclusion: We showed difference by each site in lung tumor due to respiration by using abdominal compressor. Therefore, we must correct treatment set-up error as well as moving tumor position error by breathing. It is also considered to be useful that it is the use of 4D-CBCT when correcting the error due to various dynamic vari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