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Dehydroemetine hydrochloride(Ro 1-9334)에 依한 肺吸蟲症 臨床治療 成績

        영찬,柳浩濬,金應瑞,金元一,李炫,朴柄宰,蘇鎭卓 中央醫學社 1964 中央醫學 Vol.6 No.2

        44 cases of paragonimiasis were admitted in 121 Army Hospital for the clinical trial with the drug, dehydroemetine hydrochloride. Dehydroenietine hydrochloride was administered to 19 cases with the doses of 1 mg/kg of body weight/day for 10 days, and second course of 13 day administration was followed after 12 day rest. The remain of cases were applied as control group for emetine-HCI, astiban, and 5% glucose solution. The result of the trial are summarized as follows; 1) 15 out of 19 cases showed decrease of E.P.D. (egg per day) after the second course. 3 converted. to egg negative and 5 showed complete disappearance of blood sputum. 2) Three cases showed radiological improvement in X-ray picture. 3) Blood pressure, red cell sedimentation rate, and white blood cell count became worse at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drug in several cases with short duration, then continued to be with in the normal range of their values until after the second course. 4) Electrocardiographic changes were very slight in several cases, but recovered to normal in 1-'2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second course. 5) Systemic side effects were practically absent. 6) No improvement of symptoms was observed in 2 cases administered with astiban, 3 cases with emetine-HCI, and 20 cases with 5% glucose as control.

      • 나노유체 : 초기 직경 변화에 따른 Toluene 액적의 연소 특성

        영찬 ( Young Chan Lim ),서현규 ( Hyun Kyu Suh )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5 한국액체미립화학회 학술강연회 논문집 Vol.2015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soot generation of toluene fuel droplet. To achieve this, this paper provide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different initial diameter of toluene droplet combustion characteristics conducted under equivalent ambient pressure(P(amb)) and oxygen concentration(O2) conditions. Visualization of single fuel droplet was performed with high resolution CCD camera and visualization system. At the same time, ambient pressure(P(amb)) and oxygen concentration(O2) was maintained by ambient condition control system. Soot volume fraction(f(v)) was analyzed and compared on the basis of intensity ratio(I/I0) of background image. The result of soot generation was almost the same regardless of initial droplet diameter since thermophoretic flux is not much changed under the same ambient conditions. Soot standoff ratio(SSR) of 2mm diameter showed unstable variation characteristics due to the short available measuring time.

      • KCI등재

        알케인계 단일 연료 액적의 Soot 생성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영찬 ( Young Chan Lim ),서현규 ( Hyun Kyu Suh ) 한국액체미립화학회 2017 한국액체미립화학회지 Vol.22 No.2

        The soot formation characteristics of various alkane-based single fuel droplets were studied in this work. Als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database of the soot behavior and formation of alkane-based single fuel droplet.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set to 1.0 atm of ambient pressure (P<sub>amb</sub>), 21% of oxygen concentration (O<sub>2</sub>) and 79% of nitrogen concentration (N<sub>2</sub>). Combustion and soot formation of single fuel droplet was visualized by visualization system with high speed camera. At the same time, ambient pressure, oxygen concentration and nitrogen concentration were maintained by ambient condition control system. Soot formation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and compared on the basis of intensity ratio (I/I<sub>0</sub>) of background image. The results of toluene fuel droplet showed the largest soot generation. Soot volume fraction (f<sub>v</sub>) was almost the same under the identical fuel types regardless of various initial droplet diameter (d<sub>0</sub>) since thermophoretic flux was not much changed under the same ambient conditions.

      • KCI등재

        분위기 조건이 Decane 액적의 Soot 생성에 미치는 영향

        영찬 ( Young Chan Lim ),서현규 ( Hyun Kyu Suh ) 한국분무공학회 2014 한국액체미립화학회지 Vol.19 No.4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droplet soot generation of decane fuel. To achieve this, this paper pres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on the decane droplet combustion conducted under various ambient pressure(Pamb), and oxygen concentration(O2) conditions. At the same time,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in terms of soot volume fraction(fv) and its maximum value. Also, visualization of single fuel droplet was conducted by high resolution CCD camera and ambient pressure(Pamb) and oxygen concentration(O2) was changed by control system. It was revealed that higher ambient pressure(Pamb), and oxygen concentration(O2) enhanced the soot generation and improved the maximum soot volume fraction(fv).

      • 화학반응 기반의 균질 연소 특성 조사를 통한 가연한계 경향성 추적

        영찬(Young Chan Lim),서현규(Hyun Kyu Suh)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세계적으로 환경오염물질 배출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차량에서 배출되는 배기 배출물을 저감 하고자 다양한 선행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특히, 탄화수소 연료 연소 시 저온과 고온 영역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연소 생성물인 일산화탄소(CO)와 질소산화물(NO<sub>X</sub>)의 저감이 필수 사항이기 때문에, 직분사 엔진 연소 과정에서 이와 같은 배기 배출물 저감을 목표로 HCCI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연소 기법을 적용한 많은 선행 연구가 수행되었고, HCCI 연소를 통한 배기 배출물 저감 가능성이 보고되었다. 일반적으로 HCCI 연소를 적용하기 위해 배기가스 재순환(EGR)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나, HCCI 연소 한계가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균질 연소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열·화학적인 비교 분석 연구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소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분위기 온도, 분위기 압력, 당량비 변화에 따른 기상 연료의 균질 연소 특성을 연소 및 배기, 화학반응 특성 비교 분석을 통해 균질 연소 특성 파악이 가능한 맵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연한계 경향성을 추적하여 가연한계를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적 연소 및 엔진 연소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상 연료의 균질 연소 특성과 화학반응 분석을 연소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연소 생성물 및 반응물의 몰분율, 화학반응 경로 분석, 연소 온도 비교 분석 연구를 통해 수행하였다. 또한, CVCC (Constant volume combustion camber) 및 다중 구역 HCCI 엔진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위기 조건 변화에 따른 기상 연료의 가연한계 경향성을 추적하고 화학반응 경로를 정리하여 비교하였다. 연소 해석에 적용된 메커니즘은 상세화학반응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수정 보완된 연소 메커니즘을 사용하였고, 기상 연료의 모사 화학종은 CH<sub>3</sub>OCH<sub>3</sub>, n-C<sub>7</sub>H<sub>16</sub>, C<sub>11</sub>H<sub>22</sub>O<sub>2</sub>, C<sub>11</sub>H<sub>20</sub>O<sub>2</sub> 화학종을 사용하여 DME, 디젤, 바이오디젤 모사 연료로서 각각 적용하였다. 해석에 적용된 메커니즘 및 해석 검증 연구는 균질 연소를 유도하기 위해 조기 분사 전략을 적용한 단기통 압축착화 엔진 실험 결과와 비교분석 하였다. 연소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계산된 HCCI 엔진의 실린더 압력 결과는 균질 연소를 유도하기 위해 분사 시기가 BTDC 60 deg, BTDC 25 deg로 적용된 엔진 실험 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점화지연 특성 및 모사 연료의 기본적인 연소 데이터와 해석 연구에 적용된 연소 메커니즘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HCCI 엔진 연소 특성에서 나타난 최대 연소 온도 결과 분포는 분위기 온도 900 K, 분위기 압력 25 ~ 40 atm 조건에서 맵 데이터와 유사한 연소 거동 경향성을 보이는 가연한계 추적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소 온도 결과는 분위기 온도 및 당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연료 반응성이 향상되어 연소 온도가 증가하였고, 연소 기간 동안 높은 연소 온도를 바탕으로 충분한 산소 농도를 유지하는 당량비 0.3 ~ 0.7 조건에서 연소 온도 증가와 함께 NO<sub>X</sub> 배출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전주비빔밥의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영찬 한국관광정보학회 1999 觀光情報硏究 Vol.- No.3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ransportation which enables products of a region to spread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food, Our traditional foods are disappearing. We in the Chon-ju city must try to revive a flavor for traditional food and commercialize regional tourism products. Besides we have to develop the Chon-ju Bibimbab, we also must Spotlight Native Local food museums and exposition sites where foreigners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hon-ju. We car expect social and economic effects through commercialiging the Chon-ju Bibimbab. Methods to Commercialize Chon-ju Bibimbab ·Improving and promoting the Chon-ju Bibimbab ·Supporting and designating the Chon-ju Bibimbab restaurant ·Developing tourism products connecting the Chon-ju Bibimbab with sighteeing sites ·Franchising Chon-ju Bibimbab ·Publishing coupons of the Chon-ju Bibimbab In order to effectirely commercialize the Chon-ju Bibimbab, we need to need to make efforts to encourage coopetition between companies,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 스크린 필터 형상 설계 변경에 따른 관내 유동 및 차압 개선 연구

        영찬(Y. C. Lim),김동선(D. S. Kim),서현규(H. K. Suh)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본 연구는 해수 여과 장치용 스크린 필터의 형상 설계 변경에 따른 관내 유동 및 차압 성능 개선 방안을 실험을 기초로 하여 수치 해석적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해석에 적용된 스크린 필터는 발전기 냉각 장치의 14 인치 해수 이물질 제거용 필터로, 작동 유체 유입 시 스크린 필터 적용에 따라 변화되는 관내 유동 특성과 차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관내 유동 및 차압 특성 분석은 14 인치 관내에 스크린 필터가 존재하지 않는 해석 조건을 기준으로, 스크린 및 필터 형상 설계에 따른 각각의 해석 결과를 정리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관내 유동 영역, 스크린 영역, 필터 영역은 3D 형상 모델링을 통해 실제 14 인치 스크린 필터 형상을 기반으로 설계하였고, Realizable k-epsilon 난류 모델을 적용하여 관내 유동장 및 압력 분포를 계산하였다. 작동 유체는 Water-liquid (H₂O)로 선정하였으며, 초기 입구 유속은 2 m/s 조건을 기준으로 관내 스크린 및 필터 적용에 따른 유동 해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관내 스크린 형상 및 필터 적용에 따라 작동 유체의 유속이 스크린 전단에서 감소하며, 동시에 관내 압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내에 설치된 스크린 필터가 작동 유체의 내부 유동에 대한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유체 저항이 발생하여 관내 유동 속도 감소 및 관내 압력 증가를 야기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필터 형상 특성 변경에 따른 관내 유동 현상과 과도한 압력 증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수행될 예정이다.

      • KCI등재

        n-heptane 연료 혼합비에 따른 n-butanol 연료의 연소 특성

        영찬,서현규 한국연소학회 2015 한국연소학회지 Vol.20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f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n-butanol fuel in accordance with the n-heptane fuel mixing ratio. The closed homogeneous reactor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conditions were set to 800 K of the initial temperature, 20 atm of initial pressure and 1.0 of equivalence ratio.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compared in terms of combustion temperature, combus-tion pressure, CO, Soot and NOX emissions. The results of combustion and exhaust emission characteristics showed that ignition delay was decreased and the combustion temperature was increased as the n-heptane mixing ratio was increased. Also, the carbon monoxide(CO) was slightly decreased however, the soot and nitrogen oxides(NOX) increased a little in accordance with the n-heptane fuel mixing ratio. In addition, the pressure difference was almost the same in any conditions.

      • KCI등재

        압축착화 조건에서 바이오디젤 균질 연소 및 가연한계 예측

        영찬(Young Chan Lim),서현규(Hyun Kyu Suh),윤승현(Seung Hyun Yoon) 대한기계학회 2018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2 No.11

        본 연구에서는 상세화학반응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압축착화 연소 조건에서 바이오디젤 연료와 디젤 연료의 균질 연소 및 가연한계 예측 연구를 수행하였다. 바이오디젤 및 디젤 연료의 균질 연소과정은 n-heptane, methyl decanoate, methyl 9 decenoate 화학종을 적용하여 모사하였고, 균질 연소 검증 연구를 위해 엔진 해석 및 실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 해석 결과, 연소 압력, CO 및 NOX 배출 특성은 엔진 실험의 균질 연소과정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및 수치 해석의 가연한계 데이터 정보와 엔진 실험 결과는 분위기 온도 800-900K 조건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가연한계 정보를 사용하여 바이오디젤의 압축착화과정을 예측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homogeneous combustion and flammability limits of biodiesel fuel and diesel fuel in the compression ignition combustion condition by using the detailed chemical kinetic reaction mechanism. To achieve this, n-heptane, methyl decanoate, and methyl 9-decenoate are applied to simulate the homogeneous combustion process of biodiesel and diesel fuels. In addition, the validation of the homogeneous combus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by comparing the engine simulation and experiment results. Further, the flammability limit data of biodiesel and diesel fuels are compiled to determine the combustion performance (cylinder pressure, IMEP, and ISFC) and exhaust emission (CO and NOX) characteristics. The simulated results, such as the combustion pressure and CO and NOX emissions characteristic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homogeneous combustion process of the engine experiment. Furthermore, the flammability limit information and engine results showed a similar pattern at ambient temperature of 800-900 K.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compression ignition process can be predicted using flammability limit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