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좋은 행정 구현을 위한 청문절차 개선과제

        황창근 한국행정법학회 2023 행정법학 Vol.25 No.1

        청문제도는 유럽 기본권헌장에서 천명한 ‘좋은 행정’을 실천하기 위한 핵심적인 제도로 우리나라도 이를 도입하고 있지만 행정실무상 활발하게 운영되는 것 같지는 않다. 이는 운영상의 문제에서도 기인하지만 제도 자체의 문제점이 더 큰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는 현행 청문제도를 좋은 행정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제도상 문제점과 개선과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첫째 현행 청문주재자는 소속 공무원이 우선적으로 선정되는 등 전문성, 공정성을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개선방안으로는 비교법적으로 미국 행정법판사제도를 참조하여 변호사 자격을 필수요건으로 하고, 운영상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청문위원회나 청문기관 구성을 제안한다. 둘째 청문실시 요건을 확대하는 문제이다. 임의적 청문의 경우에는 행정청이 그 필요성을 판단하는 규정상 활용이 저조한 점을 감안하여 당사자등에게 청문신청권을 부여하고, 수익적 행정행위의 거부처분에 대하여도 청문을 인정하는 방향으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청문절차와 관련하여, 청문주재자의견서는 당사자의 이익을 위하여 공개하는 것이 타당하고, 당사자의 자료열람권을 확대하며, 청문은 공개를 원칙으로 하여 투명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청문결과의 효력과 관련하여, 먼저 청문결과의 법적인 구속력을 부여하는 것은 행정현실상 타당하지 않고 사실상 구속력이 인정되는 정도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다섯째 최근 행정기본법에 규정된 이의신청의 실효성을 보장하기 위하여는 이의신청에서 청문을 도입하는 것이 타당하고, 행정심판과의 관계에서는 청문제도의 실질화를 위하여 동 결과를 행정심판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 hearing system in the context of the European Charter of Fundamental Rights is crucial in achieving ‘Good Administration.’ While recognized as a fundamental component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South Korea, its practical utility appears to be limited. This article aims to emphasize the institutional problems and propose improvements in the current administrative review system, particularly focusing on realizing good administration. Firstly, the current selection process of hearing panelists does not ensure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ten prioritizing government officials. It is suggested to adopt a comparative approach, akin to the U.S. Administrative Law Judge system, where a lawyer's qualification is a prerequisite. Additionally, establishing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review body to guarantee operational independence is recommended. Secondly, there is a concern regarding the expansion of criteria for conducting hearings. For discretionary reviews, granting individuals the right to request a review is vital, rather than relying solely on the judgment of administrative agencies. Also, recognizing the need for a review in cases of refusals of profitable administrative actions is essential. Thirdly, concerning the hearing process itself, it is reasonable to publish the panelists' opinions in the interest of the involved parties, expand their rights to access information, and generally open up hearings to enhance transparency. Fourthly, concerning the effectiveness of hearing outcomes, it is deemed more suitable to operate with an acknowledgment of practical enforceability rather than bestowing legal binding force upon hearing outcomes. Lastly,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objections in alignment with recent amendments to the Administrative Basic Act, it is reasonable to introduce hearings within the objection process. Considering ways to link hearings with the results of administrative appeals is also necessary for the substantive realization of the hearing system.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실험을 위한 입법동향 – 일본을 중심으로 -

        황창근,이중기,김경석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4

        This paper looks at the recent trends of autonomous vehicles policy and legal system such as guidelines for road test of autonomous vehicles in Japan and searched for implications in Korea.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the Japanese government pushes the government’s policies on high-tech industries. The Strategic Headquarters announced the “Government and Citizen ITS Initiative․Roadmap” three times from June 2014, and announced on May 30, The autonomous driving roadmap was announced for the fourth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latest trends. In addition, the criteria that autonomous vehicles must comply with in order to conduct experiments on the road include the “Guidelines for Road Demonstration Experiments on Automatic Driving Systems” publish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 2016 and there is 「standard of handling of application for road use permission related to road demonstration experiment」. In Korea,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defines the temporary operation permit system and the test driving requirements for autonomous vehicles for testing and research purposes. However,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and the Road Traffic Legislation have legislative purposes of guaranteeing the safety standards of vehicles and road traffic of vehicles, respectively. This regulates the management and traffic of ordinary cars, not the law to deal with unusual situations such as autonomous vehicles. However, regarding the operation of self-propelled vehicles for testing and research purposes,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provides some operational standards including safety standards for vehicles. On the other hand, the road traffic legislation does not legislate for th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or for the test purposes. The driving standards for the test purposes of the current Automobile Management Act are subject to the provisions of the Road Traffic Act. Since the road use relationship of a general automobile is permitted to be registered under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of the automobile, the Road Traffic Act falls under the free use relationship in which no separate permission is required. because the safety of the vehicle is assured, so that no additional condition is required. However, since autonomous vehicles for test and research purposes are not yet secured,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e operation of road traffic is completely guaranteed by obtaining permission for temporary operation under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This is the reason for the need for discipline in terms of protecting the users of road traffic and the automobile industry. Therefore, the current attitude of the legislative system on the operation of autonomous vehicles for testing purposes will be difficult to deny the inadequacy or error of legislation as a whole. 이 논문은 일본에서의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실험을 위한 가이드라인 등 자율주행자동차 정책 및 법제도에 대한 최근 흐름을 조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일본정부는 2014년 6월부터 3차례에 걸쳐서 「관민ITS구상․로드맵」을 발표하고, 2017년 5월 30일에 최신동향을 고려하여 4번째로 자율주행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특히 경찰청이 2016년 발표한 「자동주행시스템에 관한 공도실증실험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2017년 발표한 「원격형자동운전시스템의 공도실증실험에 관련한 도로사용 허가신청에 대한 취급기준」은 자율주행자동차의 도로 실험을 위한 준수기준으로 의미가 깊다. 우리나라는 자동차관리법령에서 시험․연구목적의 자율주행차량의 임시운행허가제도 및 그 시험운행요건을 정하고 있다. 그런데, 자동차관리법제와 도로교통법제는 각각 차량의 안전기준 및 차량의 도로교통(운행)의 보장이라는 입법목적을 띠고 있고, 한편 보통의 차량의 관리와 교통을 규정한 것이지, 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이례적인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법제가 아니다. 그런데,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연구목적의 운행과 관련하여 자동차관리법제는 차량의 안전기준을 포함하여 일부 운행기준까지 마련하고 있음에 비하여, 도로교통법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또는 시험목적의 운행에 대한 어떠한 입법도 하지 않은 상태이다. 현행 「자동차관리법」이 가지고 있는 시험 목적의 운행기준은 성격상 「도로교통법」이 규정할 내용에 해당된다. 일반자동차의 도로이용관계는 자동차의 「자동차관리법」상 등록으로 운행이 허용되므로, 도로교통법상 별도의 허가 등의 조치가 필요하지 않는 자유사용관계에 해당된다. 이는 차량의 안전성이 담보되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조건 부여가 필요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시험․연구목적의 자율주행차량은 아직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것이므로, 「자동차관리법」상 임시운행허가를 받았다고 하여, 도로교통상의 운행이 완전히 보장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도로교통의 이용자 보호의 관점, 자동차산업의 관점에서 규율이 필요한 이유이다. 그렇다면 전체적으로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 목적의 운행에 대한 현행 법제의 태도는 입법의 미비 내지 오류를 부인하기 어렵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자율주행차 운행을 위한 자동차관리법의 개정 방향

        황창근,이중기 중앙법학회 2018 中央法學 Vol.20 No.2

        The definition of an autonomous vehicle prescribed by the current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is only for provisional operation for the purpose of test and research, not a provision for commercialization. On the other hand, Germany recently completed the legislation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nd Michigan has completed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by autonomous driving function, not the human driver. In Korea, there is a need for legislation for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It is desirable and realistic to revise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Law. The key to the revision is how to ensure the safety of cars and other cars, passengers and pedestrians by ensuring the safety of autonomous vehicles. It was discuss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autonomous vehicles was redefined by adding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as a concept factor, referring to foreign legislation. Second, it discusses the revision of safety standards for automobiles. for example discussion of independent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the necessity of the provision of the prohibition of voluntary replacement of the autonomous vehicle driving program and submission of related materials, in addition, the discussion on the conversion of self-certification system. Third, the promotion policy discussed the issue of subsidies for purchasing and taxes, the obligation to purchase autonomous vehicles for public institutions, and the introduction of special zones and the Basic Plan for Promotion. Fourth, it was discussed the legislation to partially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nd legislation to secure cyber security. 현행 자동차관리법이 규정하고 있는 자율주행차의 정의는 시험 연구 목적의 임시운행을 위한 것일 뿐, 상용화에 대비한 규정이 아니다. 이에 비하여 최근 독일은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비한 입법을 완료하였으며, 미국의 미시간주도 인간 운전자가 아닌 자율주행기능에 의한 자율주행차의 상용화 입법을 완비하였다. 우리나라도 자율주행차의 상용화에 대비한 입법의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자동차관리법을 중심으로 개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현실적이라고 할 것이다. 개정방향의 핵심은 자율주행차의 안전을 보장함으로써 자동차나 타차, 승객이나 보행자 등의 안전을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의 문제로서 다음 사항에 대하여 논의를 하였다. 첫째 자율주행차의 개념을 재정의하였는데, 외국의 입법례를 참고하여 자율주행시스템을 개념요소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규정하였다. 둘째 자동차의 안전기준에 관한 개정논의로는, 자율주행차의 독자적인 안전기준에 대한 논의 필요성, 운행기록장치 등의 설치 의무화와 관련 자료제공의 필요성, 자율주행차 운행 프로그램의 임의적 교체 금지 등의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아울러 자기인증제도의 전환 논의를 소개하였다. 셋째, 진흥정책으로 구매보조금이나 세제 지원, 공공기관의 자율주행차 구매의무는 물론이고 특구의 도입문제, 진흥 기본계획 도입문제를 논의하였다. 넷째, 개인정보보호법의 적용을 일부 배제하기 위한 입법과 사이버보안을 확보하기 위한 입법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율주행차 운행과 개인정보의 보호 및 활용의 법적 쟁점

        황창근 중앙법학회 2022 中央法學 Vol.24 No.4

        According to the current strict personal data regulatory system, the operation of automated vehicles has significant obstacles. The basis for processing, such as collection, is not sufficient. Although the existing consent method can be applied to passengers,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onsent method to pedestrians or other vehicle occupants. Then, the requirements of other legal grounds, such as the provisions of the special law or legitimate interests, must be met. First,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current personal data protection principles established in the 1980s to automated vehicles, so change is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legal grounds for processing personal data. It is necessary to add an opt-out method to the existing opt-in method, and ultimately enactment of a special law is a lso necessa r y. Supplementa l ly, it is a lso possible to judge legitimate interests. Third, as a specific problem, various problems related to de-identification were analyzed centering on the current laws, and a legislative proposal was presented. Fourth, amendments to the processing of image data were reviewed. Fifth, as a whole,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most important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personal data manager through ex-ante and ex-post measures such as personal data protection design. 현행법상 엄격한 개인정보 규율체계에 의하면 자율주행차의 운행은 상당한 지장을 받는 것이 사실이다. 사전동의 중심의 처리 근거를 고수할지 문제는 물론이고 수집 중심에서 활용 중심으로 변경하는 개인정보 보호 환경에서 개인정보보호원칙을 어떻게 변경 적용되어야 하는지 문제 등의 이슈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구체적인 대응방 안을 제시하기보다는 자율주행차 운행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몇 가지 개인정보 보호 법상의 쟁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1980년대에 만들어진 현행 개인정보보호원칙을 자율주행차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사정의 변화를 받아들일 때가 되었다. 기존의 수집 중심의 규율체계에서 활용 중심의 규율체계로 전환함에 따라 개인정보보호 원칙도 이에 맞게 수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개인정보 처리의 적법성 근거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데, 기존의 사전동의 기반에서 사후동의가 병행되는 방식이 필요 하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위한 특별법의 제정도 필요하다. 보충적으로 정당한 이익에 대한 판단도 가능하다고 하겠다. 셋째 구체적인 문제로서 비식별처리와 관련한 제문 제를 현행법령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현재는 시험연구 목적의 임시운행에는 적용이 가능할지 모르지만 상용화 시점에서 적용하기에는 구체적인 기준이나 방법이 부족하다. 특히 영상정보의 비식별화등의 기준이 부족하므로 관련 입법을 논의하였다. 넷째 자율주행차의 대표적인 개인정보라고 할 영상정보의 처리에 대하여 개정안 등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다섯째 전체적으로 개인정보처리자의 사전적, 사후적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는데, 사전적 방안으로는 개인정보 중심설계원칙이 중요 하고 사후적인 대응으로는 제재, 손해배상등 구제방안, 자율주행차 사고조사와 연계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방안을 마련하여 개인정보 이슈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목적은 자율주행차에 대한 수용상 제고에도 있다. 탑승자이든 보행자이든 아니면 다른 차량의 이용자이든 간에 정보주체의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수집 등 처리 되는 것을 예방하지 못하는 한 그 누구도 자율주행차를 이용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 이다. 개인정보 보호체계의 개선은 바로 자율주행차 수용성을 제고하는 첩경이 된다. 다량의 데이터, 개인정보를 활용한 자율주행차 운행에 있어서 개인정보의 보호와 활용의 문제는 데이터 활용시대에 있어서의 개인정보 정책의 시금석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