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PE 프로그램이 전방머리자세 여성의 자세교정과 경부통 완화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윤지유,최중기,윤소미,황재구,이윤빈,이대택 한국웰니스학회 2020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5 No.2

        This study has been experiencing neck pain for more than 3 months, and the total score of the Neck Disorder Index Questionnaire (NDI) translated into Korean is 5-14 (severe disability), which corresponds to the forward head posture (CVA = 52 ° or l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postural correction and neck pain relief by applying the SNPE (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program to 20 women in their 20s and 30s (exercise group: n = 10, non-exercise group: n = 10). The exercise group (SNPEG) performed 12 weeks, twice a week, 6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non-exercise group (NG) did not participate in any exercise program. Paired t-test and ANCOVA were performed to verify pre- and post-group differences and differences between groups. As a result of posture evaluation, SNPEG showed a significant effect in part of the CVA, shoulder balance, and body alignment (p <.05),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 <.05), and the largest difference in SNPEG. Showed. As a result of pain evaluation, SNPEG had a significant effect in all measured sites (p <.05),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p <.05), and SNPEG showed the largest differe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NPE program can be presented as an effective exercise to correct posture and relieve neck pain in women in their 20s and 30s. 본 연구는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자세교정 및 경부통 완화 효과를 확인하고자 3개월 이상 경부통을 겪고 있으며, 한글판 경추 장애 지수 설문지(NDI) 총점이 5-14점(경증장애)에 해당하고, 전방머리자세(CVA= 52°이하)에 해당하는 20-30대 여성 20명(운동군 : n=10, 비운동군 : n=10)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운동군(SNPEG)은 12주간, 주 2회, 회당 60분의 운동을 수행하였고, 비운동군(NG)은 어떤 운동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그룹 내 사전·사후 차이와 그룹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Paired t-test와 ANCOVA를 실시하였다. 자세평가결과 두개척추각, 어깨밸런스, 신체정렬 일부에서 SNPEG가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p<.05),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SNPEG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통증평가결과 측정된 모든 부위에서 SNPEG가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고(p<.05),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SNPEG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SNPE 프로그램이 20-30대 전방머리자세 여성의 자세교정 및 경부통 완화에 효과적인 운동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우수등재

        SNPE(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프로그램이 경추와 어깨의 만성 근골격계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윤지유 ( Yoon Jiyoo ),이희진 ( Lee Heejin ),윤소미 ( Yun Somi ),임다혜 ( Lim Dahye ),황재구 ( Hwang Jae Gu ),최중기 ( Choi Jungki ),이대택 ( Lee Dae Taek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본 연구는 SNPE 프로그램이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가지고 있는 성인 여성의 경추와 어깨의 통증 및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겪고 있으며 경추장애지수(NDI) 총점이 5점 이상인 20-30대여성 39명(28.7±6.1 yrs, 23.1±3.5 kg/m<sup>2</sup>)을 SNPE운동그룹(SNPEG, n=17), 스트레칭운동그룹(SG, n=10), 비운동그룹(NG, n=12)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SNPEG와 SG는 12주간, 주 2회, 회당 60분의 운동을 수행하였고, NG는 어떤 운동 프로그램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모든 그룹의 대상자는 통증과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그룹 내 사전·사후 차이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 그룹 간 차이는 ANCOVA를 실시하였다. 모든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그 결과 통증의 변화는 경추와 어깨의 모든 측정 부위에서 SNPEG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p<.01).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는 경추 굴곡과 회전(좌), 어깨가동성에서 SNPEG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p<.05), 경추 회전(우)에서는 SG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다(p<.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SNPE 프로그램이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가진 20-30대 여성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는 SNPE가 경추 및 어깨 부위의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겪고 있는 성인 여성들에게 효과적인 개선 프로그램으로 제시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SNPE program on the neck and shoulder pain and range of motion of adult women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irty nine women in their 20s and 30s(28.7±6.1 yrs, 23.1±3.5 kg/m<sup>2</sup>) with a NDI total score of 5 or more were divided into 3 groups; SNPEG (n=17), SG (n=10), NG (n=12). SNPEG and SG performed 60 minutes of exercise per session, at twice a week, for 12 weeks, and NG did not participate in any exercise program. All subjects in all groups were measured for pain and range of motion. Preand post-group differences were conducted with Paired t-test and ANCOVA for differences between groups. All significant levels are α=.05. As a result, the SNPEG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all measurement areas of the neck vertebrae and shoulder (p<.01). The changes of range of motion indicat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neck flexion and rotation (left), and in shoulder mobility (p<.05), SG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p<.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NPE program was helpful for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and for improving the range of mo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NPE can be presented as an effective improvement program for adult women suffering from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in the neck and shoulder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