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Simvastatin이 UMR-106 세포의 조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

        황의관(Eui-Kwan Hwang),류동목(Dong-Mok Ryu),지유진(Yu-Jin Jee),이덕원(Deok-Won Lee),이현우(Hyun-Woo Lee) 대한치과의사협회 2008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6 No.9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mvastatin, which is HMG-CoA reductase inhibitor,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 Materials & Methods: Twenty-four cell culture plates containing essential medium were seeded with UMR-106 cell lines, at density of 5 × 10⁴ cells per plate. Each plates were incubated with 5% CO² incubator at 37℃. Starting from 2 days after incubation, cell culture medias were replaced with Osteogenesis induction media every 2 days, for 12 days. In some plates, 0.01, 0.1, 1, 10, 100μM of Simvastatin were added with Osteogenesis induction media, and classified as “test group”. Those not added with Simvastatin were classified as “control group”. Results: 1. When Alrizarin Red staining was observed with naked eye, control group showed normal deep red color, but test group show rapid decrease of red color as Simvastatin concentration increased more than 0.1μM. 2, When observed with microscope, compared to control group, amount of osteo matrix stained with Alrizarin Red decreased rapidly in Simvastatin concentration more than 0.1uM. 3. In optical density analysis, regarding control group as a basis, mineral deposition decreased rapidly when Simvastatin concentration increased more than 0.1μM. 4. In flow cytometry analysis, survival rate of UMR-106 cell showed no changes in both control group and test group. Conclusion: From the above results, we were able to identify that Simvastatin inhibited osteogenesis without effecting survival or cell number of osteoblasts.

      • KCI우수등재

        미국 연방준비제도에 관한 공법적 고찰

        黃義官 ( Hwang Eui-kwan ) 법조협회 2024 法曹 Vol.73 No.3

        본 연구는 미국의 중앙은행으로 기능하는 연방준비제도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고 공법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법제적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제2장은 연방준비제도에 관한 연혁적 연구를 수행한다. 연방준비제도가 어떠한 정치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설립되어 운영되어 왔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미국의 중앙은행제도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13년 연방준비제도법의 입법과정, 제정 이후 주요 개정사항을 정리한다. 제3장은 연방준비제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하여, 3개 주요 기관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와 연방준비은행, 그리고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 대하여 고찰한다. 연방준비제도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고 각 기관의 구성·운영방식, 역할과 주요 권한을 법령과 문헌자료를 통해 고찰한다. 특히 기관의 조직방식과 연방준비제도 내에서의 위상과 역할에 관한 법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제4장은 연방준비제도에 관한 공법적 분석을 통해 법적 특성을 도출한다. 공법적 분석은 연방준비제도에 관한 법제를 대상으로 주요 기관의 구성과 권한 배분, 조직방식에 초점을 둔 법적 분석을 의미한다. 이에, 연방준비제도의 분산형 구조와 독립성, 통화정책의 목표 그리고 연방준비은행의 법적 성격을 쟁점으로 논의한다. 분산형 구조와 독립성, 연방준비은행의 법적 성격은 주로 조직법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고 통화정책의 목표 규정에 대한 분석은 중앙은행의 핵심적 기능에 대한 법제와 이의 해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연방준비제도가 정책결정 기관으로서 독립행정청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를 설치하고 미국정부와 별개의 법인인 연방준비은행을 집행기관으로 설립하고, 이 둘로 구성된 통화정책 기관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를 독립행정청으로 설치한 분산형 구조임을 분석한다. 그리고 연방준비은행의 법적 성격을 판례와 법률 규정을 분석하여 사법인이 아닌 공법인임을 도출한다. 마지막 제5장은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연방준비제도의 법적 특성이 가지는 의미를 논의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which functions as the central bank of the United States, and analyze it from a public law perspective to derive its legal characteristics. To this aim, Chapter 2 conducts a historical study on the Federal Reserve System. It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U.S. central banking system to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social background under which the Federal Reserve System was established and operated. In addition, it examines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Federal Reserve Act of 1913, which established the Federal Reserve System, and briefly summarize the major amendments and background since the Act enactment. Chapter 3 examines the three major institution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the Board of the Governors of Federal Reserve System, the Federal Reserve Banks, and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To this purpose, this article studies an overview of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and examines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method of each institution, as well as its role and major authority in the Federal Reserve System, through related laws and literature. In particular, this article reviews the organization of the institution and the legislation regarding its status and role within the Federal Reserve System. And Chapter 4 derives its legal characteristics through analysis from a public law perspectiv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In this article, public law analysis refers to a legal analysis that focuses on the composition of major institutions, distribution of authority, and organizational method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Accordingly, the issues discussed include the decentralized structure and independence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the goals of monetary policy, and the legal nature of the Federal Reserve Bank. The decentralized structure, independence, and legal nature of the Federal Reserve Bank main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law aspect, and the analysis of the goal provision of monetary policy examines the legal system and interpretation of the core functions of the central bank. Through this analysis, the Federal Reserve System established the Board of Governor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agency of the U.S. government, as a policy-making institution, and the Federal Reserve Bank, a separate corporation from the U.S. government, as an executive institution, and the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a monetary policy institution composed of these two. It was analyzed that it was a decentralized structure established as an independent administrative agency. And, by analyzing the precedents of the Circuit Court of Appeals and the provisions of related laws, the legal nature of the Federal Reserve Bank was determined to be a public legal entity, not a private legal entity. Finally, Chapter 5 is a conclusion that summarize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nd the meaning of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the Federal Reserve System.

      • KCI등재

        소비자권리의 기본권적 성격과 헌법상 규범화 문제에 관한 연구

        황의관(Whwang, Eui-Kwan) 한국비교공법학회 2021 공법학연구 Vol.22 No.3

        현행 헌법은 경제질서를 규정하는 장에서 소비자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으나, 규정내용에서도 ‘소비자권리’란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소비자보호운동’을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보장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헌법규정 때문에 소비자권리가 헌법상 기본권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지속적인 논의가 있어왔다. 이에,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소비자권리가 현행 헌법상 기본권적 성격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비교법 연구를 통해 소비자권리의 헌법규범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최근의 헌법개정논의와 개정안을 살펴보고 비교법 연구에서 도출한 시사점을 통해 고찰하며, 소비자권리의 헌법규범화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을 논의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제2장에서는 학설과 헌법재판소 판례를 통해 현행 헌법상 소비자권리의 기본적 성격과 특성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각 국가의 소비자에 대한 헌법규정을 조사 및 분석하여 유형화하고, 각각의 범주가 가지는 특성을 고찰하여 소비자권리의 헌법규범화에 있어서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4장에서는 최근의 헌법개정논의와 소비자권리에 대한 개정안을 검토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소비자권리의 헌법규범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헌법규범화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을 살펴본다. Although the current Constitution has provisions on consumers in the chapter stipulating the economic order, it does not use the term ‘consumer rights’ in the content of the regulations and stipulates that the ‘consumer protection movement’ is guaranteed as provided by law. Because of these constitutional provisions, there has been a continuous debate as to whether consumer rights fall under the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s.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consumer rights are fundamental rights in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constitutional normalization of consumer rights through comparative law studies. In addition, recent discussions on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proposed constitution amendments are reviewed, and the implications drawn from comparative law studies are reviewed, and matters to be considered in the constitutional normalization of consumer rights are discus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 rights as a fundamental right under the current constitution through academic theories and preced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Chapter 3 examines, analyzes, and categorizes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for consumers in each country,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constitutional normalization of consumer rights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Chapter 4 reviews the recent discussion on constitutional amendment and amendments to consumer rights. The last chapter summarizes the existing discussion, emphasizes the need for constitutional normalization of consumer rights, and examines matters to be considered in constitutional normalization process.

      • KCI등재후보

        미국행정법상 적법절차원리의 의미와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황의관(Eui-Kwan Hwang) 한국행정법학회 2019 행정법학 Vol.17 No.1

        본 논문은 미국 행정법상 적법절차 원리의 의미와 적용범위를 미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미연방수정헌법 제4조 및 제14조에 규정된 적법절차 조항은 자연적 정의 로서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 공법학의 핵심적 개념으로서 정부행위에 대한 사법적 통제의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해왔다. 적법절차 조항이 미연방수정헌법에 규정되었지 만, 적법절차 원리는 헌법의 해석과 적용의 문제 이면서 동시에 행정법의 문제였다. 다시 말해, 미국 공법학에 있어서 적법절차 원리는 입법부의 법제정행위의 한계에 대한 사법심사의 척도로 기능함과 동시에 집행부의 행정작용에 대한 절차적 통제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 다. 미국 공법학에서 전자를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로 후자를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로 지칭하고 있다. 따라서 적법절차 원리는 이중적 의미를 가지며 적용영역과 논의 영역에 차이를 가지고 있고 동시에 헌법의 해석과 적용문제로서 위헌성 판단의 척도인 것이다. 우선 첫 번째로 본 논문은 미국행정법상 적법절차 원리의 연혁과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미국의 적법절차 원리가 영국의 대헌장까지 뿌리를 두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 며, 미국 헌법의 해석에 관한 역사적 접근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적법절차 원리의 두 가지 측면인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와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의 의미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절차적 적법절차가 적용되기 위한 전제로서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가 적용되는 행정작용인 재결행위와 규칙제정 행위 사이의 구분기준 문제를 다룬다. 이를 통해 개별적 행정행위와 일반적 행정행위에 관한 고전적인 판례를 살펴본다. 그리고 연방대법원의 견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 법제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가 적용되는 요건을 연방대법원의 주요 판례를 통하여 살펴본다. 절차적 적법절차가 적용되는 재산권과 자유권의 의미를 살펴보고, 정부 박탈행위의 의미를 고찰한다. 재산권에 관하여는 고전적인 권리-특혜 구분론부터 이를 대체한 판례의 태도 등을 살펴본다. 자유권은 헌법상 자유권과의 관계와 평판의 이익을 살펴본다. 정부 박탈행위는 고의행위 등 여러 문제를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적정한 절차의 의미를 고찰한다. 여기서는 제공되는 절차의 적정성과 절차의 제공시기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5장에서는 이러한 미국의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가 우리 법제에 제공하는 시사점과 함께 추가적으로 비교법적 연구가 필요한 문제를 살펴본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scope of due process of law principles of U.S. administrative law by means of the case of the US Supreme Court. The due process clause set out in the Constitution of U.S. Amendment have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as a natural justice and serv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of judicial control over government behavior as a core concept of U.S. public law. Although due process clause wer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was a matter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 as well as of administrative law. That is to say,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in American public law serves as a measure of judicial review of the limitations of the legislative acts, as well as a procedural control of the executive functioning. In the United States Public Law, the former is referred to a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due process and the latter as the principle of procedural due process. Therefor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has a dual meaning, has a difference in the fields of application and discu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measure of the judgment of unconstitutionality as a matter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 First of all,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implications of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of the US Administrative Law. As a result of this study,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in the United States has a long tradition, rooted in the British Magna Carta, and studied the historical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Next, this paper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wo aspects of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those are the substantive due process principle and the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 Chapter 3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distinction between adjudication and rulemaking. This is the premise matter for the application of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 in what administrative action is to be applied for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s. This examines is to study the classic case for distinct between individual and general administrative acts. And the implications of our legislation are drawn from a review of the views of the Supreme Court. In Chapter 4, the requirements of the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 are discussed through the significant U.S. supreme court case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property rights and freedoms under procedural due proces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deprivation of government. Regarding property rights,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lassic the Right-Privilege Distinction and the precedents that replaced them. The right to liberty examines the interests of reputation and relation to the freedom of the Bill of Rights. And then, this paper to research the meaning of due procedures in the course of applying the procedural due process of law. This section focuses on the adequacy, due of the procedures provided and when they are provided. Chapter 5(the final chapter of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United States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s to our legislation, as well as issues that require comparative law study.

      • KCI등재

        미국의 IoT기반 소비자제품 안전규제 논의의 법제적 시사점에 관한 연구

        황의관(Eui-Kwan, Whwang) 미국헌법학회 2021 美國憲法硏究 Vol.32 No.2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IoT기반 소비자제품은 그 다양성과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 및 성장하고 있으며 한국은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그러나 IoT기반 소비자제품은 소비자에게 편리성, 제품의 효용성 제고란 이점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소비자안전에 대한 잠재적 위해요인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CPSC)는 2018년 5월에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위해요인에 관한 공개 청문회를 개최하여 연방정부부처, 소비자단체, IT단체 등으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고, 2019년 1월에는 Kaye위원명의의 ‘IoT 안전성 기준에 대한 의견서’를 공표하였다. 본 연구는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의미와 특성을 살펴보고,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위해요인과 이에 대한 법 정책적 대응방안에 관한 미국의 논의동향을 조사한다. 그리고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안전에 관한 국내 법제를 조사 분석하여 소비자안전 강화를 위한 법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4개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장은 서론부분으로 연구의 목적과 범위 등을 다루고 있다. 2장은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의미와 위험, 위해요인의 의미를 다루고 있다. IoT와 소비자제품의 개념을 살펴보고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특성 및 시장규모 등을 분석한다. 3장은 IoT기반 소비자제품의 위해요인과 이에 대한 법정책적 대응방안에 관한 소비자제품안전위원회의 논의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연결성 상실, 데이터 훼손,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의 위해요인을 인식하고 이의 통제를 위한 방안 및 보안과 안전성 확보의 관련성, 재화와 용역의 경계설정의 어려움 등 법 정책적 문제를 확인할 수 있다. 4장은 IoT기반 소비자제품 안전에 관한 법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여기에는 새로운 위해요인에 대한 조사 분석, 기술융합에 따른 안전관리 체계 및 협력체계 구축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해 전기생활용품안전법과 정보통신망법 등 관련 법제의 정비 필요성을 제안한다. 5장은 결론부분으로 전체 연구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미와 한계를 다루고 있다. The IoT-based consumer products utilizing the IoT, the core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re continuously growing the diversity and market size, and Korea is leading this field. However, IoT-based consumer products not only provide consumer with the benefits of convenience and improved utility, but also have potential hazards to consumer safety. The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held a public hearing on the safety hazards for IoT-based consumer products in May 2018, receiving various opinions from federal government agency, consumer groups, and IT organizations. And, in January 2019, U.S. CPSC have published “Statement of Commissioner Elliot F. Kaye Regarding A Framework of Safety for The Internet of Thing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IoT-based consumer products and research the U.S."s debates on the safety hazards of IoT-based consumer products and legal policy countermeasures against these hazard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legal policy improvement measures to strengthen consumer safety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domestic legislation related to the safety of IoT-based consumer products. This study consists of four chapters, and the first chapter deals with the purpose and scope of the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meaning of IoT-based consumer products and the concept of safety, risk, and hazards. This chapter examines the concepts of IoT and consumer products, and analyzes the differential notion of safety, risk and hazards. Chapter 3 examines and analyzes CPSC"s discussions concerning the hazards of IoT-based consumer product safety and it"s countermeasure policy. Through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afety hazards such as loss of connectivity, data corruption, software update, etc., and to identify legal policy implications such as measures for controlling them, relationship between security and product safety, and difficulty in demarcating goods and services. Chapter 4 proposes a legal policy improvement measures for IoT-based consumer product safety. This includes researching and analyzing new safety hazards, establish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cooperation system due to technology convergenc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maintenance of related legislation such as the Electric Appliances and Consumer Product Safety Control Act and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