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규모 의원의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인증: 사례보고

        황연수 ( Yeon-soo Hwang ),이혜원 ( Hae Won Lee ),김은희 ( Eun Hee Kim ),민복기 ( Pok-kee Min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21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6 No.2

        목적: 환자의 안전과 의료의 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병원 인증이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제의료기관평가위원회(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 인증이 가장 대표적인 병원 국제인증이다. JCI 인증기준에 속하는 광범위한 척도들은 실제적으로 큰 기관들에게 더 유리하다. 그러나, 소규모 의원의 역량에 적합한 JCI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사례 보고는 소규모 의원에서의 인증 관련 업무 경험을 요약하고, JCI 인증 전후 기간 동안 외래 환자 진료시에 이러한 인증에서 얻은 교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6년에 성공적으로 JCI 인증을 받은 한 소규모 의원을 3년 동안 관찰하였다. JCI 인증 업무를 담당한 직원과의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JCI 인증 전후 기간 동안 외래 환자 진료시에 이러한 인증에서 얻은 교훈과 함께, 국제 환자 안전 목표 및 투약관리에 집중하여 연관 경험을 요약하였다. 결과: 인증을 위한 업무과정에 참여하고 3년 동안 후속 관찰한 결과, 이 의원의 환자의 안전 및 의료의 질 개선을 위한 기준 만족 수준이 초기에는 낮았고, 이후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이 사례 보고에 따르면, 소규모 의원에서의 JCI 인증으로 관심과 역량이 고취되어 의료의 질을 성공적으로 개선하였다. Objectives: The increased focus on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health care has continually led hospital accreditation to grow internationally.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JCI) accreditation is the most representative entity in the international context. The extensive parameters used in JCI accreditation standards make bigger facilities have a greater advantage in practical terms. However, it is possible to establish the JCI framework into a more suitable form for the capacity of smaller medical facilities. This case report aimed to summarize its relevant experiences in a small-scale clinic whilst working on the accreditation, and to discuss the lessons from such interventions in outpatient care during the period of before and after JCI accreditation. Methods: This study with a three-year follow up was conducted in a small-scale local clinic in which JCI accreditation was successfully passed in 2016.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the staff in charge of handling JCI accreditation, and the relevant experiences focusing on inter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and medication management were summarized, with the lessons from such interventions in outpatient care during the period of before and after JCI accreditation. Results: Participating in the accreditation process and the three-year follow-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initial low levels of compliance with standards to improve patient safety and quality of healthcare in this clinic have been much improved. Conclusions: Based on finding of the case report, JCI accreditation in small-scale clinic may enhance its awareness and capacity to achieve successful quality improvement.

      • KCI등재

        뇌졸중이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술 후 예후에 미치는 영향

        황연수(Youn Soo Hwang),문규필(Kyu Pill Moon),김경택(Kyung Taek Kim),박원석(Won Seok Park),송준연(Joon Yeon Song),채정훈(Jeong Hoon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1 No.4

        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 발생한 대퇴골 전자간 골절에서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고, 뇌졸중이 술 후 1년 사망률 및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 중에서 근위 대퇴골 골수정 삽입술을 시행하고 수술 1년 후 추시가 가능하였던 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 후 1년 사망률과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뇌졸중, 나이, 성별, 동반 기저 질환,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등급, 골절의 불안정성, 치매 유무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술 후 1년 사망률은 28.8%였으며, 뇌졸중을 동반한 경우 술 후 1년 사망률은 42.9%였다. 뇌졸중, 높은 ASA 등급, 불안정 골절에서 술 후 1년 사망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술 후 1년 보행 악화는 50.9%였으며, ASA 등급이 III 이상인 경우 술 후 1년 보행 악화 비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뇌졸중은 보행 악화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술 후 1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뇌졸중, 높은 ASA 등급, 골절의 불안정성이며,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ASA 등급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prognosis and evaluate the influence of stroke on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and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ld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80 patients who were followed-up for one year after proximal femoral nailing for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 between January 2008 and December 2013.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nd the associated factors (age, gender,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grade, comminution of the fracture, dementia). Results: The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in all patients and patients with stroke was 28.8% and 42.9%, respectively. The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stroke, high ASA grade, and unstable fracture. Decrease of the one-year postoperative ambulatory status was 50.9% in all patients an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rade III or IV ASA rating.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the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nd stroke. Conclusion: Stroke, ASA grade, and unstable fracture wer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one-year postoperative mortality following intertrochanteric fracture. ASA rating was the only prognostic factor affecting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 KCI등재

        봉합 나사못을 이용한 대퇴직근 견열 손상의 치료

        김진완 ( Jin Wan Kim ),황연수 ( Youn Soo Hwang ),문규필 ( Kyu Pill Moon ),김경택 ( Kyung Taek Kim ),송준연 ( Joon Yeon Song ),강민수 ( Min Soo Kang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6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4 No.1

        Avulsion injuries of the 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which is the origin of the rectus femoris muscle, are sometimes repor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ut acute avulsion injuries with complete rupture of the rectus femoris are very rare in adults. We treated a case of avulsion fracture of the anterior inferior iliac spine with suture anchors in an adult and achieved a favorable outcome. Thus, we report the case with a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지상 LiDAR 자료의 절토량 산정 실험

        김종화(Kim Jong Hwa),편무욱(Pyeon Mu Wook),김상국(Kim Sang Kuk),황연수(Hwang Yeon Soo),강남기(Kang Nam Gi) 대한공간정보학회 200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7 No.2

        지상라이다는 대용량 3차원 지형좌표의 획득이 가능하여 이를 활용한 터널계측, 시설물 변위 측정 등 각종 토목공사에서의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토목 공사 공정 중 많은 시간과 자본은 필요로 하는 토공 과정 중지상 라이다를 이용하여 절토량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었다. 실험방법은 절토지역에 대하여 지상라이다 측량을 실시하고, 현황도, 계획평면도의 3D Cad 데이터와 획득한 라이다 자료를 비교하여 절토현황을 계산하였다. 사용된 라이다가 보유한 해상도별 절토량 계산 값들을 실험을 통해 비교하였다. Terrestrial LiDAR can measure high capacity 3D-topography coordinates and try to apply to various public works such as tunnel surveying, facility deformation surveying. This experiment is about how to calculate ground cutting volume because the stage of the earth work spend lots of money and time among civil engineering works. Surveying cutting area using Terrestrial LiDAR and then calculating cutting area in planned area comparing sectional plan before construction and planned section and LiDAR data. Also, the values of the calculating ground cutting volume by three different resolution LiDAR has are compared and analyzed.

      • KCI등재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보행 회복에 미치는 인자

        김진완(Jin Wan Kim),문규필(Kyu Pill Moon),황연수(Youn Soo Hwang),송준연(Joon Yeon Song),채정훈(Jeong Hoon Ch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5

        목적: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9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동의의료원에 내원하여 대퇴 전자간 골절을 진단받은 총 152명의 환자 중 7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로 수상 전 보행 능력, 성별, 연령, 골절 양상, 동반 기저 질환,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등급, 치매, 술 후 합병증 여부를 조사하여 다변량 선형회귀분석 및 단계 선택법을 통해 유의한 예측 인자를 연구하였다. 결과: 술 후 1년 보행 악화는 68%, 보행 유지는 32%였고, 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대하여 수상 전 보행 능력이 가장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SA 등급, 술 후 합병증 또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에서 발생한 대퇴 전자간 골절의 대퇴 골수정 삽입술 후 1년 보행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수상 전 보행 능력, ASA 등급, 술 후 합병증과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ffecting ambulatory recovery at one-year after the fixation of intertrochanteric fracture with proximal femoral nail (PFN) of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September 2008 and September 2015, 152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Dong-Eui Medical Center. Of these patients, 75 were available in this retrospective study.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a stepwise selection method,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rognostic factors affecting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such as pre-injury ambulatory status, gender, age, fracture type, associated underlying diseas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grade, dementia, and complication. Results: A decrease in the one-year postoperative ambulatory status was 68% and pre-injury ambulatory status was regained in 32% of patients. The pre-injury ambulatory status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of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The ASA grade and complication were also predictors of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Conclusion: Pre-injury ambulatory status, ASA grade and complication wer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one-year postoperative recovery of ambulatory status after fixating the intertrochanteric fracture using PFN in elderly patients over the age of 65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