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별노인의 경제적 수준별 독거여부 분석, 2004-2017: 소득 및 자산을 중심으로

        황선재(Hwang, Sun-Jae),임훈민(Lim, Hoonmin) 한국인구학회 2020 한국인구학 Vol.43 No.3

        오늘날 한국 사회는 전례 없는 속도의 인구고령화를 경험하면서, 이에 파생된 다양한 잠재적 사회문제와 갈등의 요소들을 안고 있다. 그중 본 연구는 최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독거노인 문제에 집중하면서, 그간 선행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누가 독거노인이 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보다 직접적이고 실증적인 대답을 시도하였다. 자료는 2004년부터 2017년까지 수집된 노인실태조사 다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개념적 명료성과 분석적 정치함을 높이기 위해 전체 노인 중 사별노인만을 대상으로 독거와 자녀동거 여부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특히 사별노인의 소득 및 자산과 같은 경제적 요인을 독거여부에 대한 주요 독립변수로 다루었는데, 분석결과에 따르면 한국 노인의 경우 서양과는 달리 경제적 수준별 독거 비율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일관되게 역U자형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과 자녀와의 동거패턴이 노인 당사자 및 자녀의 상호 필요에 따라 복합적으로 나타난다는 기존 연구의 연장선상에서 해석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측면의 경우 저소득·저자산층 노인의 경우 본인의 필요에 의해, 그리고 고소득·고자산층 노인의 경우 자녀의 필요에 의해 동거 혹은 독거를 선택하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향후 한국 사회의 인구고령화 및 사회변동과 관련하여 다층적 함의를 제시한다. As Korean society experiences the unprecedented level of population aging today, it faces various potential social problems and conflicts derived from the changing demographic phenomena. Among those,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s of rising proportions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aiming to directly and empirically answer to the question, ‘who lives alone among the elderly.’ Based on the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data between 2004 and 2017, we implemented multifaceted analysis on the widowed elderly only in order to improve conceptual clarity and analytic coherence. In particular, we focused on the impacts of economic factors such as income and assets on elderly widows living alone,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unlike the cases of the Western societies in which the relationship is linearly increasing, it consistently shows the inverted U-shapes in Korean society.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literature that the living arrangement of the elderly with their children is affected by the joint needs of both parties, and we were able to infer that the low-income-low-asset elderly tend to co-reside with their children due to their own economic conditions whereas the high-income-high-asset elderly do so due to their children’s economic needs. This major finding has multiple implications for the ongoing population aging and social change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노년기 소득불평등 분해 분석

        황선재(Sun-Jae Hwang),김정석(Cheong-Seok Kim)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4

        노년기 소득불평등 문제는 현재진행형인 인구고령화 문제와 맞물려 오늘날 한국 노년층의 핵심적인 문제 중 하나이며, 다른 제 영역에의 파급효과와 향후 지속적으로 증가할 노인인구의 비율을 고려했을 때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집단에 존재하는 전반적인 소득불평등 수준을 측정하고, 그 소득불평등이 어디서 기인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체 소득불평등을 소득원천별(예: 근로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 등), 그리고 주요 인구학적 변수별(예: 연령, 성, 교육수준등)로 분해하여 분석해본다. 또한 노년기 소득의 큰 부분을 차지하면서 정책적으로도 중요한 함의를 갖는 사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의 불평등 완화/강화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반사실적 가정 관점에 입각하여 그 정도를 추정해본다. 분석방법으로는 소득불평등 분해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지니계수 분해 분석과 타일지수 분해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노년층 소득의 대부분은 사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른 소득원천에 비해 이 두 이전소득의 전체 불평등 완화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소득불평등을 특정 사회인구학적 변수의 하위 집단 간 불평등과 하위 집단 내 불평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노인들 사이에 존재하는 소득불평등의 대부분은 집단 간 불평등이 아니라 집단내 불평등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반사실적가정 관점에서 볼 때 사적이전소득과 공적이전소득 모두 전체불평등을 완화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었으나, 그 영향력에 있어서는 사적이전소득의 완화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어지는 결론 및 토론에서는 본 연구의 사회정책적 함의 및 노년기 소득불평등의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위해 향후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할 연구에 대해 논의한다. Old-age income inequality is one of the critical issues of rapidly aging Korean society, and it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both individuals and society given its ripple effects to other socioeconomic arenas and a continually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Based on these premises, this study measures the overall level of income inequality among Korean elders aged 65 or above and decomposes the total income inequality into income sources (e.g. labor incomes, asset incomes, and transfer incomes etc.) and by primary demographic variables (e.g. age, sex, and education etc), using 2011 National Survey on the Living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In addition, in order to explore the impact of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s on inequality alleviation/ intensification, which are the two primary sources of old-age income, its magnitudes are estimated based on the counterfactual framework. Gini coefficient decomposition and Theil Index decomposition, the two widely used income inequality decomposition methods, have been utilized as an analytic strategy,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jority of Korean elders? income is comprised of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s, and they both have significant inequality-alleviating effects compared with other income sources. Second, when the total income inequality is decomposed into between-group inequality and within-group inequality of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most of the inequality among the elderly lies in within-groups. Lastly, although both private and public transfer incomes have significant inequality-alleviating effects, the impact of the private transfer income is found to be larger than the other from the counterfactual perspective. In the conclusion and discussion section, the socioeconomic and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long with additional research to be conducted in order to have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old-age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불평등과 사회적 위험: 건강·사회문제지수를 중심으로

        황선재 ( Hwang Sun-j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각종 사회문제 혹은 사회적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들과의 관계를 이론적, 경험적, 그리고 비교사회적인 관점에서 분석한다. 소득불평등의 증가는 사회적 통합과 응집성을 낮추고 개인 간의 지속적인 지위경쟁을 유발하여 각종 병리 및 사회해체적 현상을 낳는다는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오늘날 한국사회, 나아가 국제 사회에서 발견되고 있는 사회위험 요소들의 증가를 소득불평등의 증가와 연결 지어 설명한다.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Wilkinson과 Pickett이 고안한 건강·사회문제지수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득불평등도가 높을수록 건강·사회문제지수로 측정된 사회문제와 사회적 위험의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22개국을 대상으로 한 횡단자료 분석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났으며, 한국만을 대상으로 한 시계열분석에서도 소득불평등도와 사회적 위험 수준은 전반적으로 그 궤적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많은 사회문제와 위험현상의 본질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에 대한 진지한 관심과 해결에의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various social problems or social risks from a theoretical, empi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rising income inequality not only lowers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and cohesion but also increases status competition among individuals, leading into various pathological and disintegrative social phenomena, I explain the increasing social risks in Korea and across the globe in relation to rising income inequality.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is hypothesis, I used the Index of Health and Social Problems developed by Wilkinson and Pickett,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as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is higher, so is the level of social risks measured by the Index. This result was particularly supported by a strong association found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wenty-two countries, including Korea, but a similar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a 20-year time-series analysis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what is required to effectively approach to various social problems and risks recently found in Korean society is to make an earnest effort to tackle the problem of rising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 KCI등재

        재산상속대상 결정요인 분석

        황선재(Sun-Jae Hwang),김현식(Hyun Sik Kim) 한국인구학회 2014 한국인구학 Vol.37 No.1

        본 연구는 고령화시대 65세 이상 노인들이 재산상속대상으로 고려하고 있는 상속대상과 이들을 재산상속대상으로 결정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한다. 2011년 전국노인실태조사의 “재산 처리방식으로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입니까”라는 설문문항에 대한 노인들의 응답을 기초로 재산상속대상을 크게 자녀, 본인/배우자, 그리고 사회로 재분류한 뒤, 순차로짓모형(sequential logit model)을 통해 재산상속대상의 결정과정과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다수의 노인들은 전통적인 아들중심상속(24.82%)보다 자녀균분상속(51.03%) 의도를 보이고 있으나, 노인들의 개인적인 특성(사회경제적 지위, 인구학적·건강상태, 세대관계특성 변수)에 따라 재산의 사회환원, 본인/배우자를 위한 사용, 그리고 자녀상속의 가능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가 상정하고 있는 재산상속대상 선정의 의사결정단계에 따라 동일한 변수도 그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노인들의 상속대상 결정과정 및 결정요인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방법론적 시도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며, 전통적인 재산상속방식이 해체되고 상속대상의 다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In the age of population aging,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inheritors for those aged 65 or above. Based on the question of “What do you believe is the best way to dispose of your properties?” in the 2011 National Survey on the Living Status of Korean Elders, we reclassify the types of inheritors into three groups (children, me/spouse, society) and examin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inheritance decision process with sequential logit model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ults, most Korean elders show the intention of equal inheritance between children (51.03%) over traditional son-oriented inheritance(24.82%). The preference among society, me/spouse or children is influenced by the elderly’s characteristics such as socioeconomic status, demographics/health status,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same variable turns out to vary depending on the steps of the inheritance decision process, a finding new to this field.

      • KCI등재

        Differential Roles of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Old-Age Support among Korean Elderly

        Hwang, Sun-Jae(황선재),Kim, Cheong-Seok(김정석) 한국인구학회 2017 한국인구학 Vol.40 No.4

        고령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노인들이 자신의 노후에 대해 어떠한 기대와 규범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핵심적인 사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기대와 규범 중에서도 본 연구는 노인들이 가지고 있는 노후부양 주체(본인, 자녀, 정부)에 대한 생각과 그러한 생각과 태도가 노인 본인의 교육수준과 맺고 있는 관계를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한국노인을 대표하는 자료라고 볼 수 있는 전국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노후부양주체와 노인교육수준 간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두 가지 가설, 즉 1)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이 본인의 노후를 보다 자립적으로 준비해야한다고 생각하는지, 만약 그렇다면 2) 그러한 자립성의 근거가 교육수준이라는 지표가 함축하고 있는 물질적인 측면(material dimension)에 근거한 것인지 아니면 태도적인 측면(attitudinal dimension)을 반영하는 것인지를 경험적으로 검토한다.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한 분석결과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교육수준이 높은 노인일수록 노후부양의 주체가 자녀나 정부보다는 본인 스스로가 되어야한다는 자립적인 성향을 보여주고 있었으나, 노후부양 주체의 비교대상에 따라 "교육수준"이 의미하는 바가 상이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노후부양의 주체를 노인 본인과 자녀를 비교대상으로 삼을 때는 교육수준이라는 변수가 함의하는 물질적인 차원과 태도적인 측면의 두 기제가 모두 작동한다고 볼 수 있으나, 노인 본인과 정부를 비교 대상으로 삼을 경우에는 오직 전자만이 핵심적인 기제로 작동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교육수준과 노후부양 주체에 대한 태도 간의 단순한 관계만을 상정하고 있는 기존의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연구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진전이 고령화 문제를 겪고 있는 사회에 갖는 차별적인 정책적 함의 역시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In an aging society,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norms and expectations of the elderly for their old age. Among the important dimensions of their expecta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elderly"s attitude toward potential sources for their old-age financial support (i.e., self-reliance, children, or the government) and how this attitude varies by one"s education level. Using a national survey data of South Korean elderly, we empirically tested two hypotheses: 1) the elderly"s attitude systematically varies by their education level with highly educated elderly being more independent for their old age, but 2) the sense of independence derived from one"s education has two distinguishable dimensions that could be separated into what we call an attitudinal and material dimension of education.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educated elders in general are more likely to support the idea of self-reliance for their old age, but what education actually implies in the decision process was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who they compare themselves to for the desirable sources of old-age support. In other words, both the attitudinal and material dimensions of education seem to operate when the elderly compare themselves to their children as a source of financial support, but only the latter tend to work when comparing themselves to the government. The consequences and implications of the differential roles of education on the attitude are further discussed in a conclusion section, particularly in light of aging pop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이질성과 복지 영역 선호

        채병주 ( Chae Byungju ),황선재 ( Hwang Sun-j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保健社會硏究 Vol.41 No.3

        최근 한국 사회에서 청년 1인가구를 위한 복지정책이 도입되고 있지만, 청년층 내부의 사회경제적 이질성에 대한 정책적 고려는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청년 1인가구를 사회경제적 지위별로 유형화하고, 지위 유형에 따른 선호 복지 영역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통계청 사회조사에서 추출한 2,565명의 표본을 활용하였으며, 군집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청년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이질적이었으며, 그 특성에 따라 1차 노동시장에 안착한 ‘성취형’, 고학력 저임금의 ‘불안형’, 저학력 중소득의 ‘정착형’, 다차원적 빈곤을 겪는 ‘소외형’, 대학생 중심의 ‘희망형’ 등의 5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해당 유형별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상이했을 뿐 아니라, 7개의 선호 복지 영역(고용, 소득, 주거, 안전, 보건, 보육, 문화)에서도 차이가 드러났다. 고용 관련 복지는 전 유형에서 선호되었으나, 소외형은 고용복지, 성취형과 불안형은 주거복지, 희망형은 보건복지 영역에서의 선호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 결과는 오늘날 청년 1인가구를 이해하는 데 있어 집단 내 이질성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뿐 아니라, 향후 이들을 위한 정책 입안 및 수행 과정에서도 이러한 특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Recently, welfare policies for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en implemented. However, there policies lack consideration for the socioeconomic heterogeneity of young people. In this context, this study typified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by socioeconomic status and analyzed welfare policies preferred by each type. To this end, this study used a sample from the Social Survey of Statistics Korea and employed various statistical methods. Our analysis found the socioeconomic statu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o be heterogeneou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high-achieving”, “insecure”, “settled”, “alienated,” and “optimistic”. Not only di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y by each type, but they also showed different preferences in seven welfare-policy types (employment, income, housing, safety, health, care, and culture). The findings suggest that not only is it important to consider the heterogeneity within the group in understanding today’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but it also needs to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es in the future.

      • KCI등재

        연구논문 : 지표체계안 개발을 위한 제언: 출산환경 및 행태지표를 중심으로

        김정석 ( Cheong Seok Kim ),황선재 ( Sun Jae Hwang ),송유진 ( Yoo Jean Song ),김혜영 ( Hye Young K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출산환경 및 행태지표체계’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지식과 고민을 공유하면서, 크게는 지표개발연구의 방법론적 정리 및 제언을, 작게는 출산지표체계를 둘러싼 경험적 연구과정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출산환경 및 행태지표체계는 비교적 최근 초저출산 국가로 진입한 2000년대 초반 이후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저출산 현상을 보다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설명 및 예측할 수 있는 지표체계안을 개발하려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우선 국내외 관련 문헌, 전문가 초점집단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저출산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관련지표 리스트를 도출하였고, 후보-예비-최종지표 등의 선별과정을 통해 오늘날 한국의 저출산 현상을 보다 다층적이고 다원적인 관점에서 조망할 수 있는 통합적인 예측 및 평가 지표를 구성하였다. 그 과정에서 가임기 기혼여성의 관점이라는 대표적인 출산주체의 시점을 삽입함으로써 출산과 같이 복잡다단한 사회현상을 일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현상을 이끄는 주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지표체계를 구성하는 것이 유용함을 강조하였으며, 개발된 지표체계안에 근거한 시산(試算)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 지표체계를 활용하고 발전시켜 나갈수 있는지에 대한 청사진 역시 제시하고 있다. 특히,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시연된 시산은 지표체계를 활용하여 지수화 할 때 지수구성 및 사용목적에 따라 다른 시나리오를 적용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고 효과적일 수 있음을 예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제언에서는 이와 같은 일련의 과학적 절차 및 방식을 통해 얻은 경험을 바탕으로 향후 관련 지표체계 작성방안에 대한 제언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Fertility Environment and Behavior Index Study (FEBIS)’ to share the gained knowledge and experience for the development of a general indicator system with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lowest-low fertility experience of South Korea since the early 2000s, the FEBIS aims to develop an indicator system that accurately reflects and explicates the multi-dimensionality and complexity of the low-fertility phenomenon in South Korea. First, fertility-related indicators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focus group interviews. Expert online surveys were then implemented to assess the significance and decide the weights of the indicators before the integrated fertility indicator system (i.e., FEBIS) was finalized through the selective and multiple processes of the ‘candidatepreliminary- final’ indicator lists. In the development of the FEBIS, two factors are noteworthy: First, the study shows the importance and advantages of maintaining a particular viewpoint in the indicator selection and arrangement. Second, in the creation of indexes based on the indicator system, diverse approaches with different ‘scenarios’ could both be useful and more realistic than otherwise. Further practical suggestions and advices of the FEBIS for the development of an indicator system are propo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