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칼빈의 개혁 원리와 한국교회 개혁 - 성경의 원천으로 돌아가자! (Ad Scripturae fontes)

        황대우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1

        Korean churches are in need of reformation today. In order to find ways of reforming Korean church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formational principles of Calvin. For Calvin, the Bible is not only the source of the Christian doctrines, but also the touchstone of the Christian life and worship. For reforming the Church, the first principle of Calvin is the God-centered authority in the Church. The Korean churches teach clearly that the supreme authority of the Church is Christ. This teaching is only held in theory. In fact, it is for men to exercise really the supreme authority in the Korean churches today. Secondly, the Korean churches need fundamentally to rebuild so the sound doctrines of Christianity that Calvin asserts is necessary to rectify the doctrinal faults of the Medieval Church. The third principle is to modify correctly the errors of worship according to the biblical ideas. For the all elements of worship have to be originated from the Word of God. Lastly, it is essential to reform the Christian life. Life and worship are never separate from each other, because they, as the glory of God and the salvation of us, are like two sides of the same coin. To conclude, the Church must be God-centered, not Men-centered. She needs always to reform all of the ecclesiastical principles and elements according to the Word of God, the Bible. This way is united with ‘sola Scriptura’, the slogan of the Reformation. This is the time ‘ad Scripturae fontes!’ 오늘날 한국교회는 반드시 개혁되어야 한다. 한국교회 개혁의 길을 찾기 위해, 본 논문은 교회개혁에 관한 칼빈의 종교개혁 원리를 다룬다. 칼빈에게 성경은 단순히 기독교 교리의 원천일 뿐만 아니라, 그리스도인의 삶과 예배의 시금석이 기도 하다. 교회를 개혁하기 위해 칼빈이 제시하는 첫 번째 원리는 교회 안에서 하나님 중심의 권위와 관련된다. 한국교회는 분명 교회의 최고 권위가 그리스도라고 가르치지만, 그것은 단지 이론일 뿐이다. 사실상, 한국교회 안에서 최고의 권력을 실제로 좌지우지하는 것은 사람이다. 두 번째로, 칼빈이 중세교회의 잘못된 교리들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것처럼 한국교회도 역시 건전한 기독교 교리를 재건하는 일이 근본적으로 필요하다. 칼빈이 제시하는 세 번째 원리는 성경의 개념에 따라 예배의 오류들을 바르게 교정하는 것이다. 이유는 예배의 모든 요소들은 하나님의 말씀으로부터 기원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그리스도인의 삶을 개혁하는 것이 근본적이 다. 그리스도인들에게 삶은 결코 예배와 분리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삶과 예배는 하나님의 영광과 우리의 구원처럼 동전의 양면과 같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교회는 하나님 중심적인 것이어야지, 인간 중심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교회는 항상 교회의 모든 원리와 요소들을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따라 개혁해 나가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라는 종교개혁의 원리와 일치하는 것이다. 지금이 바로 한국교회가 말씀의 원천으로 돌아가야 할 때다. Ad Scripturae font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성찬론: 75-82문답을 중심으로

        황대우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This article deals with the the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especially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t is sure that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belongs to the Reformed theology and is in substantial accord with the other Reformed confessions and catechisms. Is it justified for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to be classified as the Reformed theology, especially as the sacramental theology of Calvin? In connection with the sacramental theology, the Heidelberg Catechism is best substantially the same with the Tigurinus Consensus(1549) drafted by Calvin in Geneva and Bullinger in Zurich. But the doctrine of two Reformers is not uniformed in a concrete explanation and stress. Acknowledging the role of the Holy Spririt in the Lord's Supper, Bullinger accentuates the faith to be necessary for eating the bread. Unlike him, Calvin lay most stress on the union with Christ(unio cum Christo) through the Holy Spirit who is his own Spirit, though he highly regards the role of faith for receiving bread and wine. In this article, I emphasized that it is right to attach a Calvinistic label to the doctrine of the Lord's Supper in Heidelberg Catechism. My argument is based on some points, namely Calvin's opinion “extra Calvinisticum” in christology of the Heidelberg Catechism, emphasis on the union with Christ, quotation of Eph. 5:30, and criticism of Friedrich III's Calvinist from the Lutheran theologians and politicians. 본 논문은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성찬론이 신학적으로 어디에 분류될 수 있는지 연구한 것이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 초판은 128개문답으로 작성되었으나, 2판과 3판에 하나가 더 첨가되어 지금의 129문답이 되었다. 첨가된 것은 80문답이며 이것은 하이델베르크 성찬론의 신학적 성격을 분명하게 규정하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성찬론은 개혁파 교리에 속하는 것으로 모든 개혁파 신앙고백서와 신앙교육서의 가르침과 거의 대부분 동일한 내용이다. 특별히 그것은 칼빈과 불링거가 작성한 취리히 일치신조의 성찬 교리와 일치한다. 하지만 성찬론과 관련하여 칼빈과 불링거는 아주 세세한 부분까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불링거 성찬 교리에서는 성령의 역할이나 그리스도와의 연합보다는 믿음의 필요와 역할이 더 강조된다. 반면에 칼빈의 성찬 교리에서는 믿음의 역할과 중요성이 인정됨에도 불구하고 믿음의 요소보다 성령의 역할과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의 연합이 훨씬 더 중요하게 취급된다.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가 기독론에서 ‘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을 가르친다는 점, 성찬론에서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와 그리스도인 사이의 연합을 중시한다는 점, 에베소서 5장 30절의 인용을 인용한다는 점, 팔츠의 선제후 프리드리히 3세가 ‘칼빈주의’라 비난 받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의 성찬론에 칼빈의 성찬론에 가장 가깝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칼빈적’이라는 꼬리표를 붙이는 것은 정당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