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용』의 중(中)과 하이데거에서 존재

        황경선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This article tries to compare Jungyong/ Zhongyong(『中庸』; the doctrine of the Mean) with Heidegger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middle path'(中) and seek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them. This comparability is established within the framework of phenomenological ontology. In other words, this article begins by understanding that 'the middle path' in Jungyong as Being is a phenomenon that shows itself. The two self-assertions in the order of their wri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eing and 'the middle path' turns out to be Ereignis(the event of appropriation). 2. Being or the middle path and human beings belong together in a way which the former opens up brightly to humans and the latter, constantly gathering his heart, accepts Being or the middle path. During the process, each of them acquires their own truth or essence. 3. In this Belong together, so to speak, in 'the Betwe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en, all other things, including Being and human beings return to their own essence and rest still. Jungyong refers to this time/place as 'the middle path and harmony'[치중화] and Heidegger calls it "home" or "another origin". In the end, it was the following question that led to this discussion. “Could Zhongyong and Heidegger see the one and same Ereignis(the event; the event of appropriation) on the different paths of thought?” 이 글은 중(中)의 관점에서 『중용』과 하이데거를 비교하며 대화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비교 가능성은 현상학적인 존재론의 틀 안에서 성립한다. 즉 이글은 『중용』에서 중(中)은 존재자의 존재로서 스스로 그 자체를 내보이는 현상이라고 이해하는 데서 출발한다. 또 두 사유가 가능한 자기 고유의 관점과 전체 틀 안에서 서로를 진술하도록 했다. 이글의 의도상 양자가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우선 모색되고 양자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침묵 속에 있었다. 양자의 자기주장을 글의 순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존재와 중은 발현의 사건이다. 2. 존재 또는 중과 인간은, 존재가 인간을 향해 밝게 트이고 인간은 중을 향해 끊임없이 마음을 모아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함께 속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둘은 각자의 저의 참됨을 얻는다. 3. 이 공속성, 말하자면 천인지제의 ‘제’에서 존재와 인간을 비롯한 다른 모든 것들이 각자의 본질로 돌아가 고요히 머문다. 중용은 이 때/곳을 “치중화”라 하고, 하이데거는 “고향”또는 “또 다른 시원”이라 부른다. 결국 이 논의를 이끌었던 것은 다음의 물음이다. 『중용』과 하이데거는 다른 시간, 다른 장소, 말하자면 다른 사유의 길에서 동일한 존재 발현을 본 건 아닐까?

      • KCI등재
      • 數種의 生長調節物質處理가 복숭아 綠枝揷苗의 發根에 미치는 影響

        黃慶善 경희대학교 부설 식량자원개발연구소 1985 硏究論文集 Vol.6 No.-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veral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rooting of softwood cuttings in peach tree. NAA (naphthaleneacetic aci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IAA (indoleacetic acid) or IBA (indolebutyric acid) was more effective than IAA, IBA, or IAA plus IBA in promoting rooting. Among the tested treatments, NAA 1500 ppm plus IBA 500ppm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in promoting rooting.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number of roots per cutting, length of the longest root, and root fresh weight.

      • KCI등재

        존재론적 관점으로 본 『중용中庸』의 중中 개념

        황경선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19 철학탐구 Vol.55 No.-

        The article is an attempt to interpret the middle path(中) in Jungyong(『中庸』; the doctrine of the Mean) based on ontology more firmly. The ontology here takes phenomenology as a method. This refers to the following facts. We regard the middle path or the sincerity(誠) as Being of the all beings and understand it as a phenomenon which shows itself in itself. Accordingly the middle path in the Jungyong is represented as follows. The middle path as Being of the all beings is neither existence nor nothing. The ordinary(庸) is a being which is brought into existence by the Being. To come to be is not something like producing or making, but an event that lets everything be authentic. As long as the middle path in the Jungyong is brightness from darkness, it and man belong together, who constantly gathers in his heart and dedicates himself as time and space where brightness stays. And there the middle path as the way of Heaven, human being and everything else belong together and be in their own essence. This harmonious world is nothing new, but where the middle path's idea itself is realized. We recall salvation and homeland here where everything exists as it is and freely. 이 글은 보다 확고하게 존재론에 기반을 두고 『중용中庸』의 중中을 해석하려는 시도다. 여기서 말하는 존재론은 현상학을 방법으로 하는 것이다. 이는 다음의 사실을 의미한다. 우리는 중 혹은 성誠을 존재자의 존재로서 자리 매긴다. 그리고 그것을 스스로부터 자신을 열어 밝히는 현상으로서 이해한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 『중용』의 중은 이렇게 나타난다. 존재자의 존재인 중은 무정체無定體한 것으로서 유도 무도 아니다. 용庸은 중에 의해 존재하게 된 존재자다. 중의 존재하게 함은 산출이나 제작과 같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발현 안에서 그것을 통해 모든 것을 그 자체로 있도록 하는 존재 사건이다. 중이 발현인 한, 중은 끊임없이 마음으로 모아 그 발현의 장場으로써 자신을 바치는 인간과 함께 속한다. 이 천인합일의 시공간에서 천도인 중도 인간도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들도 비로소 하나로 어울리며 각자의 본질로 있게 된다. 치중화로 불리는 이 경계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라 중 자체의 발현이다. 우리는 모든 것이 참되게 있는 ‘또 다른 시원’, 치중화에서 구원과 고향을 회상回想한다.

      • 어뢰방어체계 현황 및 추세 (2)

        황경선,성일,Hwang, Gyeong-Seon,Seong, Il 한국방위산업진흥회 1994 國防과 技術 Vol.- No.179

        세계각국에서는 어뢰방어체계에 관련된 모든 기술은 매우 신중히 보호하고 노출시키지 않고 있다. 어뢰방어체계 자체는 주문구매도 가능하나, 극비에 속하는 자국 함정의 음향특성을 제작국에 제시해야 되기 때문에 이 분야는 독자개발이 매우 바람직하다.

      • KCI등재

        근현대 생활용구의 수집과 활용에 관한 연구

        황경선 한국박물관학회 2009 博物館學報 Vol.- No.16·17

        최근, 서구 문물의 유입과 경제 활동의 활성화로 인한 생활양식의 변화 등 급격한 사회변동 으로 인해 생활문화는 빠르게 변화되고 있으며 , 근현대 시기의 문화에 대한 가치 펌하 등의 이 유로 인해 가까운 과거에 대한 문화적 배경과 그 시대를 대변하는 생활문화가 담긴 근현대 생 활용구는 새로운 형태로 변화되거나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 따라서 물질문화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보존과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박물관은 근현대 생활용구에 대한 수집 활동과 이를 보존 하고, 시대상을 복원하는 데 앞장서야 하는 시점에 있다 자료 수집 담당자는 구입 기증 등의 과정을 통한 자료 수집에 앞서 자료가 언제, 어디 에서, 누구에 의해, 어떻게 , 언제까지 사용되었으며 어떠한 경로를 통해 전승되었는지 등 자료와 관 련된 문화적 배경에 대한 충실한 조사 활동을 진행해야 한다. 이와 같이 자료의 수집과 등록 과정에서 자료에 대한 해석과 충분한 정보가 기록된다면 자료 의 문화적 맥락이 확보되는 것이며, 이러한 해석 자료를 통해 근현대 시기의 생활상을 효과적 으로 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해당 시기에 대한 연구 활동을 위한 기초 정보로서 기능하고, 전시와 교육 활동을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 고대 사유와 水雲崔濟愚에서 인간관의 문제

        황경선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4 동양문화연구 Vol.19 No.-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much of the view of human being in the korean ancient thoughts is reflected on that of Su-Un Choi-jae-Woo. At the same time, this study tries to discover what is common between them. The ideal beingness as a human, in the Korean ancient thought, is considered as achieving Sun(仙), a life of creation and transformation[造化] and longevity[長生], while serving God. We can find this in the myth of Dan-Gun and the literatures of the Korean Sun-Do(仙道). The Korean ancient thought understands God as Gi(氣)[三神, 至氣], which is an intangible being, and as having a personality[天神, 天主, 上帝]. According to this thought, the man's response to God is as follows. The man recovers his nature, which was given by God, harmonizes with cosmic divine energy, and serves God of the best personality. And to complete the task of Hong-Ik-In-Gan(弘益人間) is an important part of being the ideal human being. In the Korean ancient, the ideal and the original beingness of a human being was to be made from the recovery of human nature[性通] and the completion of heavenly task[功完]. How much the view of Su-Un inherits the ancient view will be decided by how many of the aforementioned factors remain in his theory. Tracing back his life and teachings, the main theme of his Do(道) is as follows. Both I and my neighbors recover 'Shi(侍)', the original nature, following the Heaven. And we harmonize with Ji-Gi(至氣), and pursues Sun, by serving the Lord of Heaven. Here we can clearly see that the Korean ancient view is repeated in the thought of Su-Un. 이글은 한국 고대 사유의 인간관이 수운 최제우에게서 얼마만큼 재현되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시대를 뛰어넘어 둘 사이에 공유되고 있는 것을 찾는 시도이기도 하다. 단군신화와 이른바 선도류 문헌들을 중심으로 살펴 본 고대 인간관에서 이상적 인간됨은 하느님을 섬기는 가운데 조화와 장생의 삶, 즉 선仙을 성취하는 데 있는 것으로 밝혀진다. 신을 무형의 실재인 기氣[三神, 至氣]와 인격신[天神, 天主, 上帝]의 일체로 이해하는 고대 신관에 따라 신에 대한 인간의 응대는 다음과 같이 드러난다. 인간은 신으로부터 품부된 제 본성을 되찾아 우주의 신령한 기운과 하나 되는 가운데 인격적 최상의 신을 섬긴다. 또한 인간 완성의 길에는 천명天命으로 주어진, 홍익인간의 과업을 완수하는 것이 따른다. 한국 고대에서 이상적 혹은 본래적 인간됨은 하느님 신앙과 성통性通과 공완功完의 전일적 조화로부터 성취되는 것이다. 1860년 하늘의 도를 얻어 동학을 연 수운에게서 그러한 인간관이 새롭게 반복된다. 그의 삶과 가르침, 무엇보다도 동학의 요체인 시천주 주문에 대한 그의 풀이를 통해 그 같은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