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무속과 불교의 세계관 및 죽음에 대한 관점 비교

        홍태한 한국불교학회 2015 韓國佛敎學 Vol.76 No.-

        이 글은 한국 무속과 불교의 세계관, 죽음 형상의 인식을 비교한 글이다. 한국 무속에는 불교의 영향을 받은 요소가 매우 많다. 무당들은 자신의 개인신당을 절집으로 인식하기도 하고, 사명대사, 서산대사, 무학대사와 같은 승려를 신령으로 모신다. 불교 의례로 수륙재가 있지만, 서남해안에서는 무당이주재하는 수륙재가 진작에 있어 불교와 무속이 오랫동안 영향을 주고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감로탱>과 수륙재의 세계관, <바리공주>의 세계관을 살펴보았다. 주목할 것은 수륙재에 보이는 상중하단의 의미망이 <바리공주>의세계관과 상통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중하단의 관계망을 <바리공주>와 연결한다면 수륙재의 상단은 바리공주의 천상계와 상통하고, 수륙재의 중단과하단은 일상세계와 지옥에 대응된다. 바리공주가 서천서역에 가서 약수를 구해와 부모를 살렸듯이 수륙재에서는 중단의 여러 성중들이 재를 통해 하단의고혼을 천도하고 있다. 바리공주가 지옥과 서천을 수평으로 이동했다는 것은, <감로탱>의 중단과 하단이 연속적으로 그려진 것과 일치한다. 다음으로 죽음 양상에 대한 인식을 비교했다. 수륙재와 <감로탱>에 나타난불교식 죽음 형상과 뒷전류에 보이는 무속의 죽음 형상에 공통으로 보이는죽음이 한국인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죽음이고, 이는 곧 가장 두려운 죽음이라고 보았다. 이를 통해 무속과 불교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이 드러난다. 아울러 죽음을 바라보는 인식이 보편적이었고, 불교의례와 무속의례가 상관성이 있다 했다. 죽음의 형상에서 종류나 죽음의 숫자는 차이가 있지만, 공통된 몇 가지 죽음이 등장하고 있음에서 친연성이 보인다. 다만 불교가 무속보다 고정체계를 지향하고, 사회변화나 수용층의 욕구를 반영하는 정도가 더디다. 무당굿이 이러한 흐름에 민감하게 반영하여 변화하는 반면 수륙재는 21 세기 현재에 설행되어도 과거의 죽음 형상이 그려질 뿐이다. 이를 통해 불교가 무속에 또는 무속이 불교에 영향을 주었다는 단선적인결론을 내리려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쉽게 결론 내릴 수 없는 부분이고 상당한 분석과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한국 무속을 연구하는 입장에서는 불교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무속의 다양한 의미망을 도출하는 데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현실은 녹록하지 않다. 불교의례에 대한 다양한한국 무속과 불교의 세계관 및 죽음에 대한 관점 비교 / 홍태한 489 연구 성과가 이루어질 때 이 글에서 찾아본 의미망이 보다 명확하게 밝혀질걸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mpare the world view and death form between Korean shamanism and Buddhism. Shamanism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Buddhism. Shamans often consider their personal shrine as a temple house while dedicating their shrine to reverend Buddhist monks such as Samyeong Daesa, Seosan Daesa and Muhak Daesa. There is a Buddhist ceremony called ‘Suryukje’ but it has been a long while since Suryukje was hosted by shamans in the southwest coast region of Korea, which indicates Buddhism and shamanism have long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This paper has looked into the world view of <Gamnotaeng> and Suryukjjae, followed by that of <Princess Bari>. What’s noticeable is that the semantic network of the top, middle and the bottom seen in Suryukjjae is aligned with the world view of <Princess Bari>. Connecting this relation network of the top, middle and the bottom with <Princess Bari> creates the result of the top in line with the celestial world of Princess Bari with the middle and the bottom in line with the ordinary world and the hell, respectively. As Princess Bari saved her parents by bringing mineral water from the west of Seocheon, Suryukjjae has had several monks in the middle of the stairs help lone spirits of the deceased on the bottom attain rebirth in the heavenly realm by redemption of their sin. The movement of Princess Bari to and from the hell and the western heaven horizontally coincides with the middle and the bottom of <Gamnotaeng> drawn in succession. Next, a comparison has been made on the awareness of death form. The Buddhistic death demonstrated in Suryukjjae and <Gamnotaeng> and the shamanistic death form shown in 524 한국불교학 76 Duitjeonryu are the most common and familiar image of death to Koreans, which was also deemed the most dreadful death. It also indicates that shamanism and Buddhism are closely interrelated.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death was universal with the existence of correlations between Buddhistic and shamanistic rituals. Despite the difference in type of death forms and the number of deaths, there is closeness between them in that there are several deaths that have something in common, except that Buddhism tends to adhere to fixed systems more strongly than shamanism while being slower than shamanism in the extent of incorporating the social change and the demand of the congregation. Shaman rituals, or gut, have changed in line with this flow while Suryukjjae depicts death forms in the past even when performed in the 21st century. I do not intend to use this as a means to draw a unilinear conclusion that Buddhism and shamanism have influenced each other. This is more complicated than this and requires further analysis and studies. However, I would like to note that a proper understanding and research into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studying Korean shamanism is necessary to draw a variety of semantic networks. Reality is no fairy tale. Further and deeper research into Buddhistic rituals from various perspectives only will shed light on the semantic network dealt with in this paper more clearly.

      • KCI등재
      • KCI등재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

        홍태한 한국무속학회 2019 한국무속학 Vol.0 No.39

        이 글은 무당굿춤의 전형으로 굿춤 명칭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무당굿춤은 지역별, 개인별, 계보별로 편차가 있어 특정 지역 굿의 전형을 도출하기는 쉽지 않다. 무당은 장단에 맞춰 몸짓으로 의미를 표현한다. 그리고 그 의미는 신령과 인간의 소통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무당굿춤은 장단과 필수적으로 연계되며 그에 따른 몸짓이 규정되어 있다. 하지만 그 몸짓의 규정은 대단히 가변적이어서 용인의 범주가 점점 커지고 있다. 과거에 존재하던 춤의 방향, 동작의 숫자 제한은 사라지게 되고 이제는 단순하게 동작만 부합하면 인정하는 것이다. 신령과 인간을 매개하던 무당의 연행은 굿 연행 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신령의 표현으로 존재하는 춤은 인정되지만 신령과 인간을 매개하는 춤은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에 따라 가장 중요한 것은 무당굿춤의 명칭이다. 무당굿춤의 전형은 무당굿의 연행 양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무당굿춤은 현재 굿 연행에서 사라지고 있어 이는 무당굿춤의 전형이라 할 수 없다. 무당굿춤은 개인의 즉흥적인 변개와 고정된 전승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제의로서의 굿춤과 놀이로서의 굿춤으로 존재한다. 이중 전형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변개가 쉽지 않은 제의로서의 굿춤과 고정된 전승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인식 아래에 서울굿, 황해도굿, 경기도당굿, 호남굿, 남해안별신굿, 동해안별신굿의 굿춤 양상을 살핀 후 각 지역별로 무당굿춤의 전형 몇 가지를 제시했다. 이러한 굿춤 전형의 확립은 무형문화재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고유한 무당굿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한 일임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is on taking a look at the implication of the name in Gut-Chum as the model of the Mudang-Gut-Chum (Shaman-Exorcism- Dance). The Mudang-Gut-Chum has certain deviation for each region, for each individual and for each pedigree that it is not easy to formulate the model of Gut in specific regions. A mudang (shaman) expresses the implication with bodily motion with the rhythm. And, the implication is presupposed with the communication of deity and human. The Mudang-Gut-Chum is essentially connected with the rhythm, and the bodily gesture thereof is defined accordingly. However, definition of the bodily gesture is extremely variable that the category of its acceptance has been expanding. Any restriction of dance direction and number of motions existed in the part would disappear, and it is acknowledged if the simple motion is conforming. The performance of shaman that mediates deity and human would recognize the dance existing with the expression of deity due to shortening of the performance time of the gut (exorcism), but the dance to mediate deity and human is gradually disappeared.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name of the Mudang-Gut-Chum. The model of the Mudang-Gut-Chum is close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trend of Mudang-Gut. Any Mudang-Gut-Chum not granted with implication has been disappeared now that it cannot be classified as the model of the Mudang-Gut-Chum. The Mudang-Gut-Chum is based on the impromptu mediation and fixed succession of individual and it exists as the Gut-Chum as the ritual ceremony and Gut-Chum as play. From the foregoing, the one that can be classified as the model would be the ritual ceremony not so easily mediate on the basis of the Gut-Chum and fixed succession. Under such perception, the tendency of Gut-Chum of Seoul-Gut, Hwanghaedo-Gut, Gyeonggido-Danggut, Honam-Gut, South Coast Byeolsin-Gut, and East Coast Byeolsin-Gut is taken a look, and then a few models of the Mudang-Gut-Chums for each region are presented. Establishment of such Gut-Chum model is presented as a necessary in order to maintain consistency of the policies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enhance the unique value Mudang-Gut.

      • KCI등재

        강원 태백굿의 양상과 특징

        홍태한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the status of the shamanism in the Taebaek, Gwangwon area, focusing on Jinogi-gut. Gut(shaman ritual ceremony) nationwide has become more unilateral that there is a need of studies on unique shamanism remaining in each region. With respect to shamanism in inner areas of Gangwon, Youngnam and Honam, as well as Chungcheong, there has yet to have full- scale studies that it may have interests on this topic. In this article, the status of Taebaek-gut has been presented around type of gut, rhythm, shaman attire, shaman devices, Sangcharim (table setting for shaman ritual) and so forth, and it has presented the status of Jinogi-gut unique in Taebaek. Jinogi-gut of Taebaek- gut is classified into Jin-jinogi-gut and Jinogi-gut depending on the time lapsed after the deceased passed away and these two-gut have slightly different direction. Jin-jinogi-gut focuses on the way-of-heaven of the living deceased around <Chohonmangja- gut>, <Ehonmangja-gut> and <Samhonmangja-gut> while Jinogi- gut focuses on praying for good fortune of living people by adding <Chilseong, Yongwang-gut>, <Seongju-gut> and others. Unlike other regions, the composition of the gut-geori (shaman song) is succinct and the structure of the gut is also simple with only one ghost to enter into a street and so forth. The method of facilitating the rhythm is simple and the Sangcharim is not complicated that the focus is set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gut. This Taebaek- gut is related to the socio-cultural status of Taebaek. Under the characteristics of Taebaek where it has been a remotely rural area in Gangwon-do, it is the result of focusing thoroughly on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gut by refraining from complicated Sangcharim, use of rhythm, or structure of gut-geori. Furthermore, there are traditional songs still remained, such as, Jeongseon Arirang, but succession of traditional art combining with instrument, singing and dancing is reflected with the feeble characteristics of Taebaek to have the gut to display simple performance type. Currently, Taebaek attracts all types of shamans from all around the country that the traditional gut has been gradually disappear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urvey and summarize the shamanism unique in Taebaek. 이 글은 강원도 태백지역 무속의 실상을 진오기굿을 중심으로 살핀 것이다. 전국의 굿이 획일화되고 있어 지역별로 남아있는 고유한 무속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강원 내륙, 영호남 내륙, 충청 내륙의 무속에 대해서는 아직 본격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관심을 가질 만하다. 이 글에서는 먼저 태백굿의 실상을 굿 종류, 장단, 무복, 무구, 상차림 등을 중심으로 제시하였고, 현재에도 남아있는 태백 고유의 진오기굿의 실상을 제시하였다. 태백굿의 진오기굿은 망자가 죽은 지 경과한 시간에 따라 진진오기굿과 진오기굿으로 나누는데 두 굿은 지향점이 조금 다르다. 진진오기굿은 <초혼망자굿>, <이혼망자굿>, <삼혼망자굿>을 중심으로 망자의 천도에 초점을 맞추고, 진오기굿은 <칠성, 용왕굿>, <성주굿> 등을 더하여 산 자들의 재수 소망도 빌어준다. 다른 지역과 달리 굿거리 구성이 단출하고 한 거리에는 한 신령만 들어오는 등 굿의 구조 또한 간략하다. 장단의 활용방식도 단순하고 상차림도 복잡하지 않아 단순하게 굿의 목적 달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태백굿은 태백의 사회문화적 위상과 관련이 있다. 과거에 강원도 오지였던 태백의 특성상 복잡한 상차림이나 장단 활용, 굿거리 구성을 지양하고 철저하게 굿의 목적 달성에만 초점을 맞춘 결과이다. 아울러 정선아라리와 같은 전통적인 노래는 남아있지만 악가무가 결합된 전통예술의 전승은 미약한 태백의 특성이 반영되어 무당굿도 단순한 연행 방식을 보인다. 현재 태백에는 전국 가지의 무속인이 모여들면서 전통적인 굿이 점차 사라지고 있다. 이럴수록 태백 고유의 무속을 조사 정리할 필요가 있다.

      • 일반논문 : 서울 마을굿의 전승 현황과 유형 구분

        홍태한 중앙대학교 한국문화유산연구소(구 중앙대학교 한국민속학연구소) 2008 중앙민속학 Vol.- No.13

        이 글에서는 현재 전승되는 서울 마을신앙의 전승 현황을 살펴본 후 이를 바탕으로 유형을 구분해보기로 한다. 서울의 마을 신앙은 대체적으로 세 갈래로 나뉜다. 하나는 한강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부군당신앙으로. 구체적인 신당이 있으며 부군을 주신으로 모신다, 다른 하나는 한강 변에서 떨어져 있는 마을에서 언덕이나 산록에 있는 일정한 장소를 중심으로 숭배하는 것으로 대개 도당이라 한다. 마지막으로는 북한산. 관악산 등 산간 지역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산신제가 있다. 산신제는 대개 유교식 제의로 마을 신을 모시고 있어서 부군당.도당처럼 무당이 제의의 담당자로 나서지 않아 양상이 다르다. 가장 큰 차이는 부군당굿에서는 부군신을 주신으로 부정청배 굿거리가 한번이지만 반면 도당굿은 부점청배의 성격을 가진 굿거리가 두 차례에 걸쳐 연행된다는 것이다. 부정을 두 번 모신다는 것은 당긋을 연행하는 장소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 부군당굿과 도당굿은 무당이 주재하는 공통된 특성을 가지고 있지만. 부정청배의 존재 앙상과 신성장소와 연행 장소에 따라 굿의 유형이 달라진다. 이밖에도 부군신과 도당신의 성격이 달라 두 굿은 변별력을 가진다. 따라서 현재 서울지역의 마을굿온 유식제의 중심의 산신제. 무당이 주재하지만 성격이 다른 부군당굿과 도당굿 등 세 계통이 존재하는 것이다. 마을신앙은 행정구역을 넘어서서 존재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행정구역을 중심으로 하여 마을신앙이 거론되는 바람에 동일 구역인 봉화산도당굿과 갈매도당굿이 별개의 권역에 속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문화의 특성을 저버린 행정 편의주의의 발상이다. 이에 따라 서울에 전승되는 마을 신앙은 모두 서울의 마을신앙으로 인식한다. This is a research paper about three types of village exorcisms of Seoul. First three exorcisms are different in the place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s. Bugundanggut mainly distributed along Han Riverside.while Dodanggut was mostly around the foot of a mountain, not near to riverside. sansinjae maiinly distributed along Bukhansan, Gwanaksan etc mountain. Bugundanggut is a village exorcism handed down around central Seoul, but Dodanggut was popular in Kyeonggi area where were near Seoul and became Seoul district by administrative change. And Sansinjae was popular in the Mountain area wher were near BuKhansan, Gwanaksan. As being different also in a shaman song organization, Bugundanggut has one time of Bujeong cheongbae and enshrines Bugunsin mainly while Dodanggut has two times of Bujeongcheongbae and enshrines Bugunsin mainly while Dodanggut has two times of Bujeong cheong bae and the shaman song setting up a private room which ascertains a miracle has developed in Dodang According to this, the discrimination of Bugundanggut, Dodanggut and Sansinjae, the representative village exorcisms of Seoul region, is ascertained definitely. Recently, as Sansinjae is expanding the influence after entering Dodanggut region bydegrees, Seoul village exorcism shows the picture stereotyping into one gradually.

      • KCI등재

        서울 마을굿의 존재 양상과 가치

        홍태한 서울역사편찬원 2012 서울과 역사 Vol.- No.82

        This article considers how Seoul maeulgut (the exorcism performed for the peace and richness of the village) remains now and then suggests the value of it. First of all, reporting that presently in Seoul, 22 Bugundang and 20 Dodang remain,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distribution of those differs by regions. Although the kinds are different, Bugundanggut and Dodanggut both have the following common features. First, there are persons in charge of the gut. Second, they have the core symbol. Third, the structure of gutgeori is the same. Fourth, the music and dance are similar. For these common features, Seoul maeulgut belongs to the same category. And the value of that Seoul maeulgut is as written below: first of all, it shows cultural diversity. Since Bugundanggut based on a city’s industrial culture and Dodanggut grounded on a rural area’s agricultural culture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it shows the diversity of Seoul maeulgut. Moreover, because the gut culture centering around the subjugated class and the gut culture centering around the ruling class exist separately, this also shows diversity. Third, Seoul maeulgut combines the divine space with the secular space, and it shows the features of play and ritual at the same time. This can be said to be the feast. Lastly, Seoul maeulgut lets the residents find their own identity with its core symbol. Based on the diverse meanings and value, Seoul maeulgut is still transmitt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traditional culture in Seoul. 이 글은 서울 마을굿이 현재 어떤 모습으로 남아있는지를 고찰한 후 그 가치를 제시한 글이다. 먼저 현재 서울지역에 부군당 22곳 도당 20곳이 남아있음을 보고하면서, 이들의 분포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제시했다. 비록 종류는 다르지만, 부군당굿과 도당굿은 모두 다음과 같은 공통 특징이 있다. 첫째 굿을 맡은 담당층이 존재한다는 점, 둘째 핵심 상징이 있다는 점, 셋째 굿거리 구조가 같다는 점, 넷째 음악과 춤이 유사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공통점으로 인해 서울의 마을굿은 같은 범주에 포함된다. 이러한 서울의 마을굿의 가치는 다음과 같다. 먼저 문화적 다양성을 보여준다. 도시의 상업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부군당굿과 농촌의 농업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도당굿은 서로 다른 성격으로 서울 마을굿의 다양성을 드러낸다. 또한 피지배층 중심의 굿문화와 지배층 중심의 굿문화가 별도로 존재하고 있어 이 역시 다양성을 나타낸다. 다음 서울의 마을굿은 신성공간과 세속공간이 결합되어 있으며 놀이와 제의의 성격을 함께 보여준다. 이는 축제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서울의 마을굿은 핵심적인 상징을 통해 마을 주민들이 자신들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바탕으로 현재에도 서울의 마을굿은 서울 전통문화를 대표하면서 전승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