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습공동체 참여가 대학생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지인(Hong, Jiin),배상훈(Bae, Sangh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With an ever-growing concern over learning outcomes, an increasing number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adopting learning communities as one of their high impact practic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se activ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his study investigated empirical evid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outcome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differ by socio-economic status of students. The samples consisted of 72,893 students from 100 Korean universities across the nation.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 writing skills, b) critical thinking, c) problem solving skills, d)statistical analysis skills, e) collaborative competencies, f) attitude about openness to diversity, g) citizenship, and h) values and ethics development of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tudent s SES and whether to participate in learning communities. The student s SES were also included as the moder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and learning outcom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2015 K-NSSE(Korean 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 database and the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data, the study employed a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statistical technique. To reduce the sample selection bias and estimate the effects of treatment by accounting for the covariates that predict receiving the treatment, the study employed the Propensity Scoring Matching (PSM) metho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 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we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Second, in most cases,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ES an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on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Exceptions were that high SES participants showed greater increase in critical thinking and development of values and ethics. The study results provide two implications. First, to enhance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the universities may have to develop and implement effective learning communities on campus. Second, the universities may have to pay special attentionto low income students who may hav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these educational practice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공동체 참여가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그 영향의 정도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와 학부교육선도대학 협의회가 공동으로 수행한「2015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표본은 100개 대학에 재학 중인 72,893명의 학생이다. 종속 변인은 대학생의 학습 성과이며, 학생들이 대학에 다님으로써 향상되었다고 인식한 글쓰기, 비판적 사고, 문제 해결력, 통계적 분 석 등 인지적 학습 성과와 협동 역량, 다양성 이해, 교양 시민, 가치관 및 윤리관 형성 등 사회․정서적 학습 성과로 구성되었다. 연구 변인은 학습공동체 참여, 조절 변인은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이다. 학습공동체 참여 효과를 엄밀히 추정하기 위해 경향점수매칭을 활용하였으며, 분석에는 다층모형 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습공동체 참여는 학생의 개인 특성과 학습참여 행동, 대학 특성 등의 영향을 통제한 후에도 대학생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습공동체 참여가 비판적 사고력 향상 및 가치관 및 윤리관 확립에 미치는 효과는 고소득층 학생에게 크게나타났다. 이를 제외하면 나머지 학습 성과에 대해서는 대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학습공동체 참여의 조건적 효과는 대체로 유의하지 않았다. 즉 학습공동체 참여는 취약계층 학생들에게도 학습 성과 향상에 있어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저소득층 대학생들이 학습공동체 참여가 저조하고 학습성과도 대체로 낮다는 결과를 함께 고려하면, 현재로서의 학습공동체는 사회계층에 따른 학습 성과 의 격차를 보완하는 역할에 있어 한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심층 학습(deep learnin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개 대학 사례 연구

        배상훈(Bae Sanghoon),전수빈(Jeon Suebin),홍지인(Hong Ji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7 열린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국내 대학 맥락에서 탐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어떤 개인적 특성을 가진 학생이 심층 학습을 활발히 하는지와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learning context)은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심층 학습(deep learning)이란 단순 암기를 특징으로 하는 표면적 학습(surface learning)과 대조되는 개념으로 지식의 통합, 반성, 재구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심층적인 학습 접근(deep approach to learning)을 지칭한다. 양적 조사(K-NSSE) 결과, 재학생의 심층 학습 수준이 우 수한 것으로 나타난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93명과 교수 37명에 대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고, 전사 한 자료를 주제 분류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의 심층 학습을 유도하는 학습 환경으로는 심층 학습 촉진자로서 교수의 역할, 문제해결 학습 상황, 협동 학습과 다양성 기반 학습 환경, 융합교육 환경, 기숙사 생활 등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관 특성으로는 대학의 규모와 교육 및 연구중심 등 대학기관 의 특성이 학생의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인 특성으로는 개인의 성향, 학년이 심층 학습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에 대한 기대 및 동기와 전공 계열이 대학의 학습 환경과 상호작용하면서 심층 학습 경험을 촉진하고 있었다. 결론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대학생의 심층 학습을 이 끌어 내고자 하는 대학들이 실천적 차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Previous studies have claimed deep learning is highly associated with college students’ engagement as well as their academic achievement. With its importance in mi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ep learning. To investigate the research purpose, the study conducted multi-case analysis on three universities. The three universities have been in the upper ranks of the K-NSSE for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participation.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0 professors and students at the subject universities. The analysis followed a stric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rocedure. Two major factors on college students’ adopting deep learning strategies were noted by analyzing the interviews: personal and contextual. Once the research results were deliberated, the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policies whic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may adopt to improve and facilitate their students’ deep learning.

      • EmoBridge: 장애학생과 필기 지원 인력 간의 소통 증진을 위한 협동 필기 프로그램 디자인

        송형우(Hyungwoo Song),신민정(Minjeong Shin),주혜현(Hyehyun Chu),홍지인(Jiin Hong),이재찬(Jaechan Lee),은진수(Jinsu Eun),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해 장애학생은 교육적 성취에 상당한 제약을 받고 있다. 따라서 많은 고등교육기관에서는 장애학생의 학습 지원을 위해 필기 지원인력 (Peer Notetaker)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비장애 학생이 장애학생이 수강하는 수업의 필기를 대신 작성할 수 있게 하는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기 지원인력 프로그램 이용 경험이 있는 장애학생과 지원인력 총 16 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이들이 경험하는 필기 상황 및 학습적, 관계적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장애학생과 지원인력이 필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이모지로 소통할 수 있는 협동 필기 프로그램인 ‘EmoBridge’ 프로토타입을 개발 및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필기 지원인력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다층적인 어려움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협동 필기 프로그램의 디자인을 제시한데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