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임하진(Hajin Lim),안현진(Hyunjin Ahn),김주환(Juhwan Kim),이중식(Joong-Seek Lee),최희경(Heekyung Choi)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대리운전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함께 진화하고 있다. 특히 대리운전 기사들은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받을 뿐만 아니라, 중앙 콜센터, 대리운전 시스템, 네비게이션, 인터넷 커뮤니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대리 운전 관련 연구가 시스템 개발 측면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고, 대리운전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대리운전기사’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리운전서비스를 수행하는 대리운전기사를 중심으로 그들이 겪는 문제 상황 (Pain points)를 인터뷰, 관찰등의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들의 Pain points를 중심으로 대리운전기사 중심의 시스템을 제언해보고자 한다. substitute drivers not only receive service-related information from smartphone applications, but also have to deal with various information sources, for example, call-center, substitute driver system, navigation system and online community. However, the recent studies about substitute driver service only have focused on the system development, not on the "substitute drivers" who are the main agents offering the services to customers. Thus, in this research, we explored the pain points of substitute drivers by adopting various methods ; interviews and online/offline observations. Also, we proposed several substitute driver-centered system designs which could be helpful to solve drivers" dissatisfaction and enhance the overall service quality.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성인매체몰입의 상호영향관계: 부모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
임하진(Lim, Hajin),고한솔(Ko, Hansol),김보영(Kim, Boyou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3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과 성인매체몰입 간의 발달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확인하고, 이러한 발달 관계가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 태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아동청소년패널(KCYPS 2010) 중1 패널의 2차년도와 3차년도 데이터 중 성인매체 이용 경험이 있는 778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분석 결과,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과 성인매체몰입의 자기회귀 효과가 유의하였고 이를 통해 사회적 위축과 성인매체몰입이 시간에 따라 안정적으로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해당 시기의 사회적 위축은 성인매체몰입에 대한 유의미한 교차지연 효과를 보였으나, 성인매체몰입은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교차지연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사회적 위축의 교차지연 효과가 부모의 학대적 양육 태도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학대 경험 집단에서 사회적 위축의 교차지연 효과가 유의미하였고, 비경험 집단에서는 이러한 교차지연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중학교 2∼3학년 시기에 이전 시점의 사회적 위축이 이후 시점의 성인매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학대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성인매체몰입 간의 시간적 선후 관계를 조절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of social withdrawal and pornography addiction among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role of parental abuse with respect to this relationship. The second and third wave data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analysis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comprised 778 middle school students with experience of using sexually explicit media. The results based on multivariat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indicated that social withdrawal and pornography addiction had an autoregressive effect, confirming that social withdrawal and pornography addiction were stably sustained over time. Social withdrawal had also a significant cross-lagged effect on pornography addiction, but pornography addic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cross-lagged effect on social withdrawal. Results from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cross-lagged effect of social withdrawal was moderated via parental abuse: that is, the effect remained significant among the abused group, in contrast to the non-abused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ied that the problem of social withdrawal in grades 8 and 9 may contribute to pornography addiction. It also implied that parental abuse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pornography addic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findings,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ContActive : 최적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선택을 위한 스마트폰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제안
임하진(Hajin Lim),이제석(Je Seok Lee),이준환(Joonhwan Lee)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사용자 간 소통 가능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은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기존의 음성통화, 단문 메시지를 넘어 VoIP, MIM, SNS 등으로 다변화되었다. 가용 가능한 채널이 확장된 지금, 상대방과의 관계 및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적합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선택하고 운용하는 대인 커뮤니케이션 채널 전략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스마트폰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은 기존의 전화번호부가 제공하는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본 연구는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스마트폰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의 의미를 최적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선택을 위한 관리, 통합하는 툴로써 확장시키고자 한다. In-depth 인터뷰를 통해 채널 선택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상황을 발굴하고, 상대방의 Context의 이해를 통해 최적 채널 선택을 돕는 인터페이스 디자인 Implication을 도출한다. 다매체, 다채널 시대의 도래와 함께, 진화된 형태의 스마트폰의 연락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연구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매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모색해본다. In the growing prevalence of Smartphone, communication channels among users have been widely diversified beyond general phone calls and SMS to VoIP, MIM, SNS, and so on. Since available channels have been expanded, necessity of choosing and managing adequate channel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relational and situational factors has arisen as well. The interface and function of contacts application in Smartphones, however, have not been differentiated from what conventional phonebooks provide.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meaning of contacts application to a cast which manages and integrates the optimal selection of channel in the sense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problematic situations while selecting a channel could be excavated first, and they induce to obtain implication in designing interface to help users choose an optimal channel. With the advent of era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s, this study seeks for the efficient method of mediated communication.
20 대 개인의 할 일 관리 맥락에서의 온라인 상호작용 연구: SNS 형 디지털 생산성 도구 ‘투두메이트’의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배정은(Joungeun Bae),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투두메이트’는 유저 개인이 자신의 할 일을 관리하는 동시에 그 달성 여부를 팔로워들과 공유함으로써 생산성 증진과 네트워킹을 함께 도모하는 할 일 관리 (e-PTM: electronic Personal Task Management) 도구가, 동시에 사회 관계망 서비스(SNS: Social Networking Service) 의 역할도 수행하는 특이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유형의 SNS 이자 e-PTM 도구로서의 투두메이트의 사용에 있어 개인적(e-PTM) 측면, 사회적(SNS) 측면, 그리고 복합적 측면의 이용 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총 11명의 20대 투두메이트 사용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투두메이트를 통해 자신의 할 일을 관리하고, 그의 완료 과정을 공유함으로써, ‘열심히 사는’ 자신을 전시하며 이를 통한 사회적 지지, 동기를 부여받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시스템 내 직, 간접적 상호작용은 ‘모방’과 ‘긴장’의 양가적 기제를 유발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e-PTM 및 SNS 요소가 결합된 서비스 디자인에 시사하는 바를 논의한다.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20 대 1 인 가구의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위한 디자인 제언
정지혜(Jihye Jeong),김윤진(Yunjin Kim),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5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5 No.2
대다수의 20 대 1 인 가구가 구조적으로 방음이 어려운 원룸 등의 공동주택에 거주하고 있으며, 이들의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제적, 기술적 대책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 대 1 인 가구의 층간소음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Co-design 방법론을 활용해 20 대 1 인 가구가 층간소음과 관련하여 겪고 있는 문제 상황 및 니즈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수의 연구 참여자들이 빈번한 소음 피해에도 불구하고, 소음원인 이웃과 직접적인 대면을 피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또한 본인이 소음을 발생시킬 때에도, 그것이 이웃에게 피해가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기 어려워했다. 이를 바탕으로, 소음 갈등의 예방과 갈등 발생 시 원만한 해결을 지원하는 '노이즈 캘린더'를 제안하였다. 이는 소음 센서와 연결된 월패드 디바이스 내 애플리케이션으로, 캘린더 UI 를 통해 예정된 소음 발생 가능성을 미리 공유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소음 수준을 쉽게 확인하도록 하였다. 또한, 과도한 소음 발생 시 발신자와 수신자를 특정하지 않는 형태로 소음 주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접근으로 20 대 1 인 가구의 층간소음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SleepTube: 취침 전 영상 시청의 효용 증대를 위한 디지털 자기 통제 도구 제언
정은서(Eunseo Jeong),홍승욱(Seung Wook Hong),송정인(Jeong In Song),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오늘날 많은 현대인들은 수면 부족 문제를 겪고 있다. 그중 취침 전 영상 시청 습관은 수면의 질을 악화시키고 수면 부족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취침 전 영상 시청이 반드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수면의 질을 높이는 것에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 또한 존재한다. 이에 우리는 취침 전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맥락적 요인과 니즈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취침 전 영상 시청 행위를 조절하는 디지털 도구, ‘SleepTube’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취침 전 영상 시청 행위에 대해 다각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개인의 구체적인 시청 상황과 수면 목표에 초점을 둔 디지털 자기 통제 도구의 디자인 방향성을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온라인 기사 문단별 댓글창 인터페이스 ‘Newsmile’의 사용자 경험 연구
김도연(Doyeon Kim),김세민(Semin Kim),장다연(Dayeon Jang),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오늘날 온라인 기사의 댓글창은 무분별한 비난과 본문과는 무관한 내용의 댓글들로 독자들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다. 본고는 온라인 논의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문단별 댓글창 인터페이스인 뉴스마일 (Newsmile)를 제시하고, 실험을 통해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사용자 기사 참여 경험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탐구하였다.
탁상용 컴패니언 로봇의 사용자 모방 행동이 생산성과 과제 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윤서우(Suhwoo Yoon),김수빈(Soobin Kim),박계령(Gyeryeong Park),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탁상용 컴패니언 로봇 (Desktop Companion Robot)은 지식 노동자의 과업 및 업무 경험을 보조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하지만 HRI (Human-Robot Interaction) 측면에서 이러한 로봇의 상호작용적 모방 행동이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 과업 경험, 로봇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식 노동자들의 과업 행동을 모방 혹은 반대로 모방하는 로봇을 디자인하여, 로봇의 상이한 모방 행동이 지식 노동자의 생산성, 과업경험 및 로봇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연구를 통해 탐색했다 (N=36). 이를 통해 과업경험과 로봇 호감도에 있어 사용자의 과업 상태를 모방하는 로봇이 반대로 모방하는 로봇보다 더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탁상용 컴패니언 로봇이 지식 노동자들의 생산성 및 과업 경험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디자인 제안점을 도출했다.
OTT 의 비동시적 드라마 시청환경이 유발하는 단절감 해소 서비스 디자인 제언
김기태(Ki Tae Kim),박지원(Ji Won Park),홍나영(Na Young Hong),임하진(Hajin Lim)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비선형성’과 ‘개인화’를 특징으로 하는 OTT (Over-the-Top Media Service)는 시청자들에게 비동시적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기존의 TV를 중심으로 한 드라마 시청 방식과 비교했을 때 OTT 플랫폼은 개인화되고 단절적인 시청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TT 로 인해 변화된 드라마 시청경험이 시청자들 간의 연결감과 소통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시청경험을 공유할 지인 찾기의 어려움’, ‘동시적인 타인과의 교감 부재’ 그리고 ‘스포일러 노출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이유로 소통의 단절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OTT 드라마 시청자 사이의 연결감을 강화할 수 있는 3 가지의 서비스 아이디어를 도출하였다. 이들 아이디어들에 대한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OTT를 통한 드라마 시청 경험과 소통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