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풍압 형성에 따른 옥상광고판 크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홍지완(Ji-Wan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옥외광고탑의 강풍피해 경감을 위하여, 중저층의 건축물 옥상에 설치되는 광고판에 작용하는 최대풍압력 분포에 따른 광고판의 변형을 CFD 수치해석을 통하여 고찰한 연구이다. 수치해석을 위하여 (b)20m × (d)10m × (h) 30m의 건물에 광고판이 설치되는 것을 가정하여 기본모델과 광고판의 크기를 변경한 3개의 모델을 사용하여 최대 풍압 형성에 대한 변형을 고찰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광고판의 모양이 장방형에 가까울수록 수평적인 변형이 지배적으로 발생하며 양단부의 모서리 부분에서 높은 풍압력과 변형이 발생한다. 그리고 광고판의 높이가 클수록 수직적인 변형이 지배적으로 발생하고, 배면에 정압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광고판의 폭보다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최대 풍압은 중앙부 상부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높이와 너비의 비가 1에 가까울수록 최대 풍압의 분포가 안정적이고 풍압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낮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바람의 영향을 막는 구조적인 보강과 높이와 너비의 비가 1에 가까운 여러 개의 광고판으로 전체 광고판을 구성하는 등의 풍압력 발생에 대해 유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This study numerically examined the maximum wind pressure distribution of a billboard on the roof of a middle-rise building.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maximum wind pressure was examined. For the numerical analysis, the signboard was assumed to be installed on (b) 20m × (d) 10m × (h) buildings. The maximum wind pressure was measured using four models with the standard model and different sizes of the signboard. The nume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horizontal deformation predominantly occurs as the shape of the signboard becomes closer to a rectangle, and high wind pressure and deformation occur at the corners of both ends. As the height of the signboard increases, vertical deformation predominantly occurs, and static pressure forms on the backside. When the height is lower than the width of the signboard, the wind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center of the roof. Therefore, the distribution of the maximum wind pressure is stable, and the effect of the wind pressure is relatively low as the height-to-width ratio approaches 1.

      • 시각장애인을 위한 과채류 수확 및 배달 로봇

        홍지완 ( Ji-whan Hong ),이상호 ( Sang-ho Lee ),박현진 ( Hyun-jin Park ),김인수 ( In-so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시각 장애인들은 식품의 영양 정보 표시 부재로 인해 식품 섭취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며, 전국 등록 장애인 수는 고령화와 함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른 돌봄 인력 부족 및 돌봄 예산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시각 장애인들에게 영양을 고려한 식자재를 제공하기 위한 과채류 수확 로봇을 개발하고 제공함으로써, 과채류 섭취 부족 문제와 돌봄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본 제품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음성 인식 기능을 도입하고, 사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권장 섭취량을 기반으로 수확 및 자율주행 배달 서비스를 제공한다.

      • SCOPUSKCI등재

        절식이 마우스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홍지완 ( Jiwan Hong ),조혜준 ( Hyejun Jo ),운노타쯔야 ( Tatsuya Unno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9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2 No.4

        본 연구에서는 절식이 일반사료 및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장내미생물생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사료 및 고지방사료를 마우스에 16주 동안 무한급이 형태로 섭취하게 하여 실험종료 직전에 1일(24시간) 간 절식시켰으며, 절식 전 후의 분변 샘플을 채집하고 MiSeq을 이용하여 장내미생 물생태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절식 전후 장내미생물생태 내의 종 풍부성과 균등성이 감소한 반면,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장내미생물생태에서는 절식 후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절식 전후 변화가 없었다. Difference abundance analysis는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절식 이후S24-7로 분류되는 OTU는 증가하고, Ruminococcaceae로 분류되는 OTU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는 절식 이후 10OTUs가 감소하고, 3OTUs가 증가하였는데, 대부분 Ruminococcaceae로 분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마우스에서의 절식이 장내미생물생태 중 Ruminococcaceae의 abundance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해 고지방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에서 절식에 대한 효과가 더 명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시사한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asting on gut microbiota of mice fed normal (CTL) or high-fat diets (HF). Mice were raised for 16 weeks and fasted for a day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one day before and after fasting, which were analyzed using MiSeq.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pecies richness and evenness were decreased in fasted HF group, whereas no difference was observed for CTL groups. Moreover, HF fed mice gut microbiota showed different microbial communities after fasting, while CTL groups did not show microbiota shifts. Differential abundance analysis showed that fasting CTL group mice increased and decreased one operational taxonomic unit (OTU) in S24_7 and one OTU in Ruminococcaceae,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fasting HF group mice decreased 10 OTUs and increased 3 OTUs most of which were classified to Ruminococcaceae. Our results suggest that fasting mice may affect the abundance of Ruminococcaceae species and effects of fasting seem to be more obvious for HF-fed mice compared to those of mice fed CTL-diet.

      • KCI우수등재

        항구도시 근대 도시공간 형성에 관한 연구

        홍지완(Hong, Ji-Wan),김준(Kim, Jun),유재우(Yoo, Jae-Woo)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4

        This study is change of the street space of the port city of Yokohama and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canal. modern port city Yokohama is a region that wa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East-West maritime transport routes in Japan in the 17th century and the inland transportation through fishing villages and ports. it has also grown rapidly as a regional port and new port. In particular, through the revitalization of trade between foreign settlements and Japanese residents in the port area, the existing fishing area became a modern port city space. Yokohama went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and grew into a modern port city. The construction of the port harbor and the maintenance of existing logistics functions, the formation of the central horizontal axis through maintenance of the fishing village,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movement route to the inland area through the construction of the canal, the expansion of the horizon for fire prevention and fire restoration, The formation of a new settlement space according to the movement, the transformation of the existing religious axis by the combination of the elabor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modern transportation, and the spatial connection between the inland cities.

      • KCI등재

        식물공장의 LED 광강도 변화에 따른 식물성장 변화에 관한 연구

        홍지완(Ji Wan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식물공장 요소 기술의 표준화를 위하여 LED 광원의 광강도에 따른 식물의 성장변화와 최적 LED 광강도 범위를 확인하였다. 1400 lx와 1600 lx 영역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을 확인하였고 광강도 증가에 따라 성장과 둔화가 반복되며 성장을 지속하지만, 잎의 성장이 없으면 웃자라는 현상과 함께 성장은 둔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400 lx에서 800 lx까지의 성장 특징은 실험 기간 어느 정도 성장이 지속하였지만, 웃자라는 현상은 7일까지 유지되었고, 잎이 성장하지 않아 일간 평균 성장차가 현저히 낮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0 lx에서 1,400 lx까지의 성장은 광강도가 높아짐에 따라 잎의 성장과 일별 성장이 확인되었고 성장증가와 성장둔화가 반복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1,600 lx와 1,800 lx는 1,400 lx 영역과 유사한 성장을 보였지만, 잎의 성장은 높았다. 그러나 1,800 lx에서는 1,400 lx보다 높은 성장을 보였고, 시간 경과에 따라 성장이 둔화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광강도가 강할수록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열로 인하여 식물 주변의 온도상승이 수반되어 잎의 열화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토대로 식물의 성장에 따른 재배 트레이의 공간설정과 재배용 광원과의 거리 조절이 필요하며, 광원의 최대강도 사용에 따른 재배공간의 능동적인 공기조화 계획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nge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light quantity of LED light source and to standardize plant factories technology according to the optimal LED light range. Growth was relatively stable at the 1,400 lx and 1,600 lx intensities, and growth continued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but growth slowed down with growth without leaves (Ed- I don"t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at 400 lx to 800 lx were sustained to some exten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but the growth of the larvae was maintained until the 7th day and the growth of leaves was not developed. From 1,000 lx to 1,400 lx, brightness, leaf growth and daily growth increased, and the growth cycle exhibited a repeating cycle of growth and slowdown. In addition, 1,600 lx and 1,800 lx showed similar growth to that at 1,400 lx, but leaf growth was high. However, at 1,800 lx, the growth was slightly higher than at 1,400lx and it slowed down over time. In addition, the stronger the light, the higher the temperature around the plant and the greater the dryness of the leaves due to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 일본 건축학 전공 여성의 경력단절 원인에 관한 연구

        홍지완(Hong, Ji-Wan) 신라대학교 여성문제연구소 2018 젠더와 사회 Vol.29 No.-

        많은 여자 졸업생이 전공과 관련 있는 일에 구애하면서 미래의 경력 지속을 의식한 취업 선택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많은 여성들이 첫 직장을 은퇴한 결과로 경력 지속을 포기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 먼저 은퇴 이유를 분석한 이후 취업지속 저속 저해 요인에 대해 정리하면 남녀 차별의 존재, 건강, 가사와 일의 양립 어려움이 가장 큰 요인이 되고 있다. 건축계열 여자 졸업생의 특징은 은퇴하고도 많은 전직을 거듭하면서 전공 관련이 있는 일에 종사 손에 일자리를 달고 있기 때문에 전직 경력 지속적 수단이 되고 있다. 그러나 복직후 경력을 계속할지 여부는 은퇴 이유에 규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가장 큰 요인으로 일반적인 직장여성이 격는 임신·출산, 부부의 성별 역할 분업 의식 결여, 건강상의 이유가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한 복직과 재취업을 망설이는 경향이 강하고,‘전업주부형’에 건강을 해친 것을 이유로 퇴직 한 사람의 비율이 높은 이유로 인하여 건강상의 피해는 심각한 경력단절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건축학계열 여자 졸업생이 각각 가지고 있는 능력을 충분히 살리기 위해서는 먼저 본의 아니게 퇴직해야하는 상황을 개선하고 취업 지속 가능한 조건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직장 내 남녀 차별의 철폐, 건강을 해치는 일하는 방식의 개선, 출산 육아의 양립 지원의 충실이 필요하다. 어쩔 수없이 퇴직 한 경우도 대부분이 복직 의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재고용 제도의 도입 등 복귀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여성이 일에 직장과 가정 모두의 이해와 협력도 큰 과제이다. Although many female graduates wrestle with work related to their majors and choose to pursue a job that is conscious of their future career, many people actually abandon their career as a result of the retirement of their first job. First, after analyzing the reasons for retirement,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presence of gender discrimination, health, housework and work difficulty. The characteristic of female graduates in architecture is retirement, and many previous jobs have been repeated, so career work is a continuing means because they are putting jobs in professional jobs. However, it was found that whether or not to continue career after reinstatement was prescribed for reasons of retirement. The most common factors are general pregnancy and childbirth, lack of gender roles division of consciousness, and health reasons. Also, because of this reason, there is a strong tendency to hesitate for reinstatement and re - employment, and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retired people because of the full – time housewife. Therefore, in order to fully utilize the abilities possessed by female graduates in architecture,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must retire unintentionally and to establish sustainable employment conditions.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ing methods to harm the health and to enhance the support for the compatibility of childbirth and childcare. Most of the retirees who are inevitably have a willingness to reinstate it, so it is necessary to support reinstatement, such as the introduction of the reuse system.

      • KCI등재

        빈집제도의 역할과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홍지완(Ji-Wan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는 국내 빈집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일본의 제도와 비교하여, 국내의 빈집제도의 개선 방향을 고찰하였다. 빈집을 억제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농어촌 정비법’, ‘건축법’, ‘빈집 및 소규모 정비에 관한 특례법’을 기반으로 하는 제도를 포괄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영국은 강제적인 빈집개량을 시작으로 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빈집 재활용 프로그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프랑스는 빈집세를 시작으로 빈집 및 유휴 부동산을 재이용하여 주택시장에 공급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독일은 빈집을 자원으로 인식하여 재이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다. 미국은 민간 부동산 정보망을 활용한 감정 평가 시스템과 커뮤니티 랜드 트러스트, 랜드뱅크 등의 제도를 통한 부동산 시장의 조정을 기본으로 한다. 일본은 행정명령, 빈집뱅크를 통한 빈집관리, 지자체의 빈집상담과 진단, 수리비 지원으로 빈집을 관리하고 있다. 빈집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빈집의 현황과 주변 환경을 고려한 세분화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자체가 빈집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 할 수 있는 제도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며, 빈집의 재이용을 위한 세제 및 비용지원을 위한 제도가 되어야 한다. 빈집정보의 지자체간 공유를 위한 정보공유 시스템 또한 필요하다. 그리고 빈집이 주택시장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주민, 도시·건축 전문가, 민간사업자로 구성된 협의체 구축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mpty house problem" in Korea.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ystems in Korea was considered and compared with empty house systems in the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Korea"s system is based on comprehensive regulations centered on the demolition of empty houses. To actively solve the problem of unoccupied houses, detailed guidelines are needed, which must consider the current status and surrounding environment of empty houses. There should be institutional grounds for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intervene in the issue of empty houses, and there should be a system that enables tax and cost support for the reuse of such houses. 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is also needed for sharing empty house inform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o utilize empty houses as resources for the housing marke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sultative system consisting of residents, urban and architectural experts, and private businesses.

      • KCI우수등재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홍지완(Hong, Ji-Wan) 대한건축학회 2018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4 No.9

        This study aims for improving the system in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e overall disaster management system was compar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reliability,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were derive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has a structure that promptly investigates and restores damage by a simple procedure. Korea disaster management system manages information on top-down structural disasters through the flow of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The process from disaster response to recover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disaster safety headquarters is simplified. Disaster management tasks are dispersed among departments,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uch as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and recovery, are carried out. The disaster managemen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focusing on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budget to operate the organization - centered disaster management budget and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The disaster response manual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disaster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plan. In order to utilize disaste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information system such as integrate and streamline of the private resource database and NDMS.

      • KCI등재

        문화재 내진진단과 보수 · 보강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홍지완(Ji-Wan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2

        본 연구는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내진 대책과 보수·보강 개선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이다. 현재 문화재 내진에 관한 규정은 문화재청의 ‘문화재 지진재해 등에 관한 규정’으로 문화재 지진발생 후의 피해 상황 보고체계만을 규정하고 있다. 한국은 2013년 이후, 일본의 ‘중요 문화재(건조물) 내진진단·내진보강 지침’을 참고로 하여 전문가의 내진점수평가 체계를 도입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의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내진은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전문가의 점수평가로 진단되지만, 지진 발생 전, 지진 발생 중, 지진 발생 후로 구분하여 관리되고 있다. 또한 ‘헤리티지 매니저’와 ‘문화재 닥터’를 운용하여 문화재의 상시적인 관리와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복구가 가능한 체계를 갖추고 있다. 우리나라의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지진발생 후의 피해복구 중심의 관리체계를 벗어나 문화재의 상시적인 관리를 위한 전문가의 양성과 문화재 내진기준의 정립, 건축 관련 민간단체의 활용을 통한 상시적인 관리체계의 도입이 필요하다. 그리고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현황을 조사하여 개별 목조 건조물 문화재의 점검을 통한 다양한 내진진단 기법의 개발과 적합한 보수·보강 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of cultural construction assets made of wood and develop seismic countermeasures. The existing regulations for the earthquake proofing of cultural assets are termed "Regulations concerning earthquake disasters affecting cultural assets"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hich only specifies the reporting of damage to cultural assets after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Since 2013, Korea has been studying the introduction of a seismic evaluation system consisting of experts by referring to the "Guideline for the diagnosis and reinforcement of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in Japan. The earthquake proofing of wooden cultural assets in Japan is assessed by experts using a scoring system similar to the one in Korea, but the system in Japan is managed in three steps, viz. before, during and after the occurrence of the earthquake. In order to extend the existing management system by focusing on the repair of the damage after the occurrence of an earthquake, it is necessary for Korea to cultivate experts for the regular management of cultural assets, establish seismic criteria for them, and introduce a regular management system through a civil organization related to construc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wooden cultural asse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seismic diagnosis techniques and produce guidelines for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of individual wooden cultural construction assets following their identification.

      • KCI등재

        식물공장 광원의 색조합에 따른 광합성활성화에 관한 연구

        홍지완(Ji-Wan Ho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11

        본 연구는 식물에 대한 LED 광색별 성장을 실험하여 효율적인 식물공장 광원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은 Red-LED와 Blue-LED, White-LED 광환경에서 식물의 성장과 이산화탄소 감소를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식물의 성장은 Red-LED에서 성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White-LED는 Red-LED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지만, 시간이 경과 할수록 Red-LED의 성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Blue-LED는 가장 낮은 성장을 보였다. 그리고 혼합광과 단색광의 광합성정도를 확인한 결과 Red-LED와 Blue-LED를 조합한 광원에서 이산화탄소 감소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색광이 많을수록 이산화탄소의 감소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 토대로 혼합광과 백색광에서의 성장을 비교 측정한 결과, 적색 4개, 청색 2개의 비율의 광원에서 식물의 성장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식물공장에서 식물의 효율을 높이고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백색의 단색광을 사용하는 것 보다 적색광을 사용하거나, 적색과 청색을 혼합하여 사용하여 파이토크롬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백색광만 사용하는 경우 성장 초기에는 한해서 사용해야 하며 성장이 잎이 커짐에 따라 적생광이 강한 광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riteria for efficient LEDs used throughout the experiment of an LED with another light color growth to be used in a plant factory. The experimen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Red-LED, Blue-LED, plant growth, and amount of carbon reduction in a White-LED environment. The white-LED showed a similar growth trend to the Red-LED. Blue-LED showed the lowest growth. Measurements of the carbon dioxide levels, showed that the Red-LED and blue LED produced the lowest levels. The combination of the ratio of the LED showed four Red-LEDs and one blue LED to be the higher of the two. In addition, three Red-LED and one Blue-LED produced equal growth to that of the white-LED. In addition, as much as possible, red is the light color that obtains the result suitable for plant fact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