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인삼 유청음료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기해진(Hae-Jin Kee),홍윤호(Youn-H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2

        인삼 유청음료를 렌넷유청, 인삼, 감미료, 꿀, 매실 등에 종류가 다른 유산균주들을 접종하여 제조한 후, 일부는 발효시키고 일부는 비발효 상태로 4℃ 및 30±1℃에 저장하여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유청의 수율은 78.8%였고 저장기간 동안 pH는 감소하였으며 적정산도는 증가하였다. 인삼 유청음료의 고형성분, 회분, 지방질 함량은 각각 7.90~8.20%, 0.62~0.66%, 0.16%이었고 단백질 함량은 0.42~0.56%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라서 큰 변화가 없었다. 유당함량은 유산균 발효시킨 시료가 발효시키지 않은 시료보다 높았다. D(-) - 및 L(+) - 젖산함량은 저장 기간 (1~5주)중에 유산균 발효 인삼 유청 음료(17.3~156.1㎎/100g, 347.3~1894.2㎎/100g)는 비발효 인삼 유청음료(6.2~82.8㎎/100g, 7.1~885.5㎎/100g)보다 높았다. 유산균으로 발효시키지 않은 시료와 Lac. casei sub-sp. casei와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시료의 총 saponin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였으나 Lac. acidophilus와 Lac. delbrueckii sub-sp. bulgaricus를 접종한 시료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인삼 유청음료의 전기영동 결과 모든 시료에서 α-la과 β-lg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에 따라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저장기간(제 1, 3주) 동안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총세균수와 저온성 세균군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Ginseng-whey beverages were prepared with rennet whey, ginseng, sweetener, honey and Japanese apricot, inoculated with different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or unfermented partly. The samples were stored at 4℃ or 30±1℃ and the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The yield of whey was 78.8%. The pH-values reduced and acidities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contents of solid-substances, ash and lipid in ginseng-whey beverages were 7.90~8.20%, 0.62~0.66% and 0.16%, respectively. The protein contents of ginseng-whey beverages were 0.42~0.56% and the contents were not changed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lactose contents of fermented beverages were higher than those of unfermented beverages. During the storage period (1~5 weeks), the ranges of D(-) - and L(+)-lactic acid contents in fermented ginseng-whey beverages (17.3~156.1㎎/100g, 347.3~1894.2㎎/100g) were higher than those of unfermented ginseng-whey beverages (6.2~82.8㎎/100g, 7.1~885.5~/100g). The contents of total saponin in unfermented sample and fermented sample (Lac. casei sub-sp. casei+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 were increased during the storage period. But, those of the fermented sample(Lac. acidophilus+Lac.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were reduced. In the electrophoretic results of ginseng-whey beverages, an α-lactalbumin and a β-lactoglobulin bands were shown apparently and there were no changes observed during the storage period. During the storage period (1~3 week) the coliform was not detected and total plate counts and psychrotroph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 SCOPUSKCI등재

        인삼 유청음료의 제조 및 관능적 특성

        기해진(Hae-Jin Kee),홍윤호(Youn-Ho H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2 No.2

        렌넷유청, 인삼, 감미료, 꿀, 매실 등에 종류가 다른 유산균주들을 접종하여 인삼 유청음료를 제조한 후, 일부는 발효시키고 일부는 비발효 상태로 4℃ 및 30±1℃에 저장하여 1, 3, 5주에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감미료와 꿀을 첨가하여 냉장보관한 유산균 비발효 인삼 유청음료(A)는 단맛이 강하고 신맛, 쓴맛, 떫은맛, 뒷맛이 적어서 전체적인 평가에서 8.64~8.86으로 가장 높은평가를 받았고 Lac. casei sub-sp. casei와 Str. salivarius sub-sp. thermophilus를 접종하여 냉장보관한 인상 유청음료(C)와 감미료, 꿀 및 매실을 첨가하여 실온보관한 인삼 유청음료(D)가 대체로 좋은 평가를 받았으나 실온보관한 유산균 발효 음료(E, F)는 2.92~3.58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으므로 이의 개선이 요구된다. Ginseng-whey beverages were prepared with rennet whey, ginseng extract, sweetener, honey and Japanese apricot, inoculated with different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unfermented partly. The samples were stored at 4℃ or 30±1℃ and the sensor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at 1st, 3rd and 5th week. As a result of sensory test, unfermented ginseng-whey beverage(A) with sweetener and honey (storage at cold temp.) in<br/> overall eating quality obtained the best score (8.64~8.86) due to stronger sweetness and weaker sourness, bitterness, astringent taste and aftertaste. The fermented ginseng-whey beverage(C) which was stored at 4℃ with inoculation of Lac. acidophilus and Lac.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and the unfermented samples stored at room temperature with sweetener, honey and Japanese apricot received a good evaluation. But, the fermented beverages (E, F) stored at room temperature obtained the lowest score (2.92~3.5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