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체면’의 개념화 양상

        許春花 한중인문학회 2017 한중인문학연구 Vol.55 No.-

        본고는 인지언어학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나타난 ‘체면’의 개념화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체면’은 추상적이고 낯설며 개념 화자가 인지하려는 목표영역으로서 구체적이고익숙한 근원영역에 의해서 개념화된다. 개념화과정은 은유에 의하여 실현된다. 인지언어학의관점에서 은유는 단순히 언어의 수사적 장식 표현이 아니라, 인간의 사고나 개념 자체가 본질에 있어서 은유적이다. 그러므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의 ‘체면’의 개념화 양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사실 한국어 언중과 중국어 언중들의 사고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자문화권에 처하는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인 인접성과 공통된 유교 문화의 뿌리 깊은 영향 때문에 ‘체면’을 개념화하는 데 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그런데 어느 민족이든 특유한 민족문화가 있으며 그 특유한 문화는 그 문화권에 처하는 개념 화자에게 어떤 경험영역을 인지할때 특유한 생각을 가지게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체면’의 개념화 양상에 나름대로의 차이점을 보이기도 한다. The purpose of the essay aims to illustrate the Conceptualization of ‘face’ in Korean and Chinese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Linguistics. ‘Face’, as a target domain, is very abstract, strange, which concept speakers wish to recognize. It is conceptualized through source domain which is specific and known to people. Conceptualization is realized through Metaphor. Cognitive Linguistics considers that Metaphor is not merely a genuine rhetoric method of a language, for that the thinking and concepts of mankind are metaphorical in essence. As a result, the Conceptualization of ‘face’ in Korean and Chinese is different which reflects the cognitive difference of Korean and Chinese speakers. Since China and Korea are in the same Chinese characters cultural circle, they both have similar geographical conditions and are affected by Confucian culture. Thus, the Conceptualization of “face” has many things in common. However, any ethnic group has their own special culture which enables the speakers in this cultural circle to bring about exclusive ideas when they recognize certain domains of experience. Therefore, the Conceptualization of “face” in Chinese and Korean has many differences as well.

      • KCI등재

        일개 도농복합시 응급의료센터 방문 노인의 특성과 사망 위험요인

        황주희,신동수,백한나,원명희,허춘화,한혜선,손은진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18 대한보건연구 Vol.44 No.1

        This retrospective study aim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and mortality risk factors among 3,190 adults aged 65 and over who visited an emergency departments (ED) located in an urban and rural complex city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16. Data were collected through electronic medical records between May 1 and July 30, 2017. Chi 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applied using SPSS 22.0. Study participants aged 75 and over comprised 61.9% and women comprised 52.9% of the total. Among the participants, 80% lived with their family members, 10.5% resided in a long-term care (LTC) facility and 9.5% lived alone. Those who visited the ED during the daytime were 59.9% and 37.8% of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s non-emergent while 7% were as urgent. Among the older adults visiting the ED, those who visited the ED by ambulance (OR=3.287), those aged 85 and over (OR=3.168), those who were transferred from a LTC facility (OR=2.897), those without hypertension (OR=2.536) and those who lived in Chuncheon (OR=2.377) represented higher risk of mortality than their counterparts. As older adults living alone or transferred from a LTC facility visit a ED more often than now, strategies will be needed to reduce non-emergent ED visits and intervene their prevalent health problems. 본 연구는 2016년 겨울 동안 도농복합시 2개 종합병원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 65세 이상 노인 3,190명의 특성과 사망위험요인을 파악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5월 1일에서 7월 30일까지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 검정 및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한노인은 75세 이상이 61.9%를 차지하였고, 여성노인이 52.9%이며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이 80%이나 요양시설에서 전원 온경우도 10.5%, 독거 9.5%로 나타났다. 낮 시간에 방문한 경우가 59.9%이며 긴급 상태는 7.0%인 반면 비 응급 상태도37.8%를 차지하였다. 응급의료센터 방문 노인 중 구급차로 방문한 경우(OR=3.287), 85세 이상 고령군(OR=3.168), 장기요양시설에서 전원 온 경우(OR=2.897), 고혈압이 없는 노인(OR=2.536)과 춘천에 거주하는 노인(OR=2.377)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사망 위험이 높았다. 앞으로 응급의료센터에 장기요양시설에서 전원 되거나 독거노인의 방문이 증가할 것이며 따라서 환자정보파악을 위한 대책과 비 응급과 낮 시간 응급의료센터 방문, 빈도 높은 질환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어 노인응급환자에게 시의적절한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