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침입 복구 및 대응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파일 무결성 검사 (pp.703-705)

        허진영(Jinyoung Hur),전상훈(Sanghoon Jeun),최재영(Jaeyoung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3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Ⅰ

        파일 무결성 검사는 시스템 자원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감사가 이루어질 때마다 매번 모든 데이터를 검사해야 하며, 관리자의 역량에 많은 부분을 의존하였다. 이는 최대한 빠른 대응을 용하는 침입 복구 시스템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손상 자원의 복구에 필요한 자원의 상태 정보는 수집 가능하지만,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서 침입 행위 주체에 대한 정보는 수집할 수 없다. 위의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일 무결성 검사와 시스템 호출 감시 기법을 연동한다. 시스템 호출 감시를 통해서 자원에 대한 침입 행위 주체의 정보를 수집하고 파일 무결성 검사를 하여, 침입 차단 및 복구를 위한 감사 자료를 수집한다.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침입을 탐지하고 복구하기 위하여 여러 침입 탐지 시스템과 연동하여 침입 복구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도록 탐지 메시지를 IDMEF 형식으로 보고한다.

      • 침입 복구 및 대응 시스템을 위한 실시간 파일 무결성 검사 (pp.279-287)

        허진영(Jinyoung Hur),최종선(Jongsun Choi),최재영(Jaeyoung Choi),전상훈(Sanghoon Jeun) 한국정보과학회 2005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2 No.5·6

        파일 무결성 검사는 시스템 자원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지만, 관리자의 경험과 능력에 따라 검사 시간과 효과에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빠른 대응을 필요로 하는 침입 복구 및 대응 시스템에 바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또한 손상 자원의 복구에 필요한 자원의 상태 정보는 수집 가능하지만 침입을 차단하기 위해 필요한 침입 행위 주체에 대한 정보는 수집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호출 감시와 파일 무결성 검사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파일의 무결성을 검사하는 rtIntegrit을 제안한다. rtIntegrit은 SysWatcher라는 시스템 호출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요청된 행위를 항상 감시한다. 만약 지정된 파일에 이상 동작이 나타나면 이의 변화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무결성 검사를 수행하도록 하고, 해당 관련된 프로세스의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함으로서 침입 차단에 활용하게 한다. 또한 IDMEF 형식의 표준으로 감사 자료를 생성하여, 침입 대응 및 복구 시스템들과 쉽게 연계할 수 있다. File integrity checking is the most reliable method to examine integrity and stability of system resources. It is required to examine the whole data whenever auditing system's integrity, and its process and result depends on administrator's experience and ability. Therefore the existing method is not appropriate to intrusion response and recovery systems, which require a fast response time. Moreover file integrity checking is able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the damaged resources, without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who generated the action, which would be very useful for intrusion iso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rtIntegrit, which combines system call auditing functions, it is called SysWatcher, with file integrity checking. The rtIntegrit can detect many activities on files or file system in real-time by combining with SysWatcher. The SysWatcher audit file I/O relative system call that is specified on configuration. And it can be easily cooperated with intrusion response and recovery systems since it generates assessment data in the standard IDMEF format.

      • KCI등재

        피로인산동욕의 무기첨가제에 의한 전해동박의 특성에 관한 연구

        구석본(Seokbon Koo),허진영(Jinyoung Hur),이홍기(Hongkee Lee) 한국표면공학회 2014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7 No.1

        The copper deposit on steel plate was prepared by pyrophosphate copper plating solution made with variation of inorganic additive. NH₄OH and NH₄NO₃ were used as inorganic additives. The copper layer characteristics - tensile strength, crystallite size and crystal orientation - were evaluated by X-ray diffraction and Universal Test Machine. The presence of ammonium nitrate results in reduction of average roughness value from 0.08 μm to 0.03 μm. In pyrophosphate copper plating solution without Inorganic additive, tensile strength of electrodeposit copper foil was reduced from 600 MPa to 180 MPa after 7 days aging. However, when adding ammonium nitrate, there was almost no change of tensile strength, intensity of crystal orientation - (111), (200) and (220) - and crystallite size (2~30 nm).

      • KCI등재

        무와 무청의 활성 성분 함량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 비교

        이현희(Hyun Hee L. Lee),허진영(Jinyoung Hur),최상윤(Sang Yoon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4

        본 연구에서는 무와 무청에 함유된 활성 물질인 glucoraphenin과 ferulic acid의 함량을 UPLC TQ-MS system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정량 결과 무청 주정 추출물이 11,971.8 μg/g의 glucoraphenin과 851.7 μg/g의 ferulic acid를 함유하고 있어 무의 주정 추출물과 무와 무청의 물 추출물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3T3-L1 세포를 이용한 지방세포분화 억제 시험에서도 무청 주정 추출물이 100 ppm 농도에서 세포독성 없이 유의적인 지방세포분화 억제효과를 보였고, 이는 무청 물 추출물이나 무 추출물보다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무청 주정 추출물은 향후 활성 성분을 다량 함유한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Radish (Raphanus sativus) has been reported to exert antioxidant, anti-microbial, anti-coagulant, anti-hyperlipidemic,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However, there have been no reports so far on the comparison of active ingredients and adipogenesis inhibitory activity between various parts of the radish.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glucoraphenin and ferulic acid content in radish root and leaf extracts using a UPLC TQ-MS system. Also, their adipogenesis inhibitory effects were examined using 3T3-L1 preadipocy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radish leaf extract has higher glucoraphenin (11,971.8 μg/g in EtOH extract) and ferulic acid (851.7 μg/g in EtOH extract) content than radish root extracts and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suppressing activity was also higher than the radish root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adish leaf is rich in active ingredients and has a higher inhibitory effe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than the radish root. Therefore, radish leaves could be used in the active compound extraction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 for adipogenesis suppression.

      • KCI등재

        착화제를 이용한 치환동 도금층의 밀착력 향상에 관한 연구

        구석본(Seokbon Koo),전준미(Jumi Jeon),허진영(Jinyoung Hur),이홍기(Hongkee Lee) 한국표면공학회 2015 한국표면공학회지 Vol.48 No.1

        Amino-carboxyl acid as a complexing agent in acid copper sulfate solution was utilized to improve the adhesion of immersion copper layer for steel wire. According to the tape test results, regardless of alloy composition of the wire, the adhesion of immersion copper layer was improved with the addition of aminocarboxyl acid. The incorporation of H and Fe in the plating layer was analyzed by TOF-SIMS. The H and Fe were detected at the entire coating layer without any addition of amino-carboxyl acid. However, with addition of amino-carboxyl acid, the H and Fe were scarcely detected at the coating layer.

      • SCOPUSKCI등재

        뽕잎과 꾸지뽕잎의 활성 성분 함량 및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 비교

        최상윤(Sang Yoon Choi),유귀재(Guijae Yoo),허진영(Jinyoung Hur),최인욱(Inwook Choi)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4

        본 연구에서는 뽕잎과 꾸지뽕잎의 성분함량을 비교하기 위해 뽕잎과 꾸지뽕잎을 추출하고 이들의 성분으로 알려진 15개 성분을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rotocatechuic acid, catechin, chlorogenic acid, caffeic acid, epicatechin, umbelliferone, kaempferol 3-β-D-glucopyranoside, resveratrol, oxyresveratrol, isoquercitrin 성분은 뽕잎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p-coumaric acid, quercitrin, quercetin, kaemperol, cryptochlorogenic acid 성분은 꾸지뽕에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뽕잎과 꾸지뽕잎 추출물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두 가지 추출물 모두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뽕잎의 지방세포분화 억제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뽕잎에서 높은 함량을 보인 isoquercitrin, resveratol, protocatechuic acid, chlorogenic acid 성분이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항비만 활성 부분에서는 뽕잎의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Morus alba L.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have been reported to show anti-oxidative, anti-diabetes, and anti-obesity effects. However, no study to date has carried out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hese leaves and their anti-adipogenesis effects. In this study, 15 compounds (caffeic acid, p-coumaric acid, chlorogenic acid, cryptochlorogenic acid, protocatechuic acid, catechin, epicatechin, kaempferol, kaempferol 3-D-glucopyranoside, quercetin, quercitrin, isoquercitrin, resveratrol, oxyresveratrol, and umbelliferone) contained in the extracts of Morus alba L. and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were analyzed,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adipogenesis were examined using 3T3-L1 preadipocy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10 compounds were higher in Morus alba L. leaves extracts compared to Cudrania tricuspidata with the exceptions being p-coumaric acid, quercitrin, quercetin, kaemperol, and cryptochlorogenic acid. Also, Morus alba L. leaves extract had a higher inhibitory activity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compared to that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extra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us alba L. leaves would be useful as an anti-adipogenesis material.

      • KCI등재

        설파민산 니켈-코발트 합금도금 박막 물성에 대한 실험 연구

        구석본(Seokbon Koo),전준미(Junmi Jeon),이창면(Changmyeon Lee),허진영(Jinyoung Hur),이홍기(HongKee Lee) 한국표면공학회 2017 한국표면공학회지 Vol.50 No.1

        The electrodeposition of Ni-Co alloy from a sulfamate bath was investigated. The cobalt content in the Ni-Co deposits is more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r stirring effect than the current density in the process parameters. As cobalt contents in the Ni-Co deposited layer increased from 0 wt.% up to 43 wt.%, hardness value of the layer rised from 400 Hv up to 700 Hv and crystal orientation (111) increased. However, (200) and crystal size significantly reduced. The tensile and yield strength also increased, while the modulus of elasticity showed the maximum value of 10.4 N/㎟ at 29 wt.%.

      • KCI등재

        미역 추출물과 알긴산의 근육손실 억제 효능

        최상윤(Sang Yoon Choi),김미나(Mina Kim),이현희(Hyun Hee L. Lee),허진영(Jinyoung Hur)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2

        근육 위축증은 근섬유의 손상으로 인한 근육세포의 감소에 의해 일어나며 심장질환, 당뇨, 각종 노인성 만성질환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미역 추출물 및 이의 성분인 알긴산의 근육세포보호, 근육감소억제 및 근육재생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분화된 C2C12 myoblast 세포에 처리한 결과 TNF-α에 의한 근육섬유의 감소가 억제하였고murf1과 MaFbx의 발현량도 감소하였다. 또한, 마우스에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을 10주간 급여한 결과 cardiotoxin에 의한 다리부종이 감소하였으며 근육단백질인 MyHC와 PGC-1α의 발현량이 증가 하였다. 따라서 미역 추출물 및 알긴산은 근감소 억제 및 근육재생 효과를 나타내어 기능성소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Muscle atrophy refers to a decrease in muscle cells due to damage to muscle fibers. It is reported that muscle atrophy is caused by heart disease, diabetes, and other chronic diseases related to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hibitory effects of seaweed extracts, which are widely consumed in Korea, and alginic acid on muscle cell damage in muscle atrophy and regeneration models. We found that seaweed extracts (U) and alginic acid (A) attenuated TNF-α-induced muscle atrophy in differentiated C2C12 myoblast cells and inhibited muscle atrophy markers such as MuRF1 and MAFbx. In addition, U and A also regulated ubiquitination marker FoxO1 protein. To confirm the muscle regeneration effect in animal tissue, cardiotoxin (CTX) was used for the regeneration model. Six hours after CTX injection, gastrocnemius muscle volume was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Otherwise, the muscle volume of the U and A treatment groups was not changed. U and A also upregulated regeneration markers MyHC and PGC-1α in a CTX mouse mod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eaweed extracts and alginic acid, a seaweed component, are applicable to senile sarcopenia by inhibiting muscle loss and promoting muscle re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