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지형 환경과 입지적 특징 −백제 왕릉 입지와의 비교를 통한 검토−

        허의행(Heo Ui-haeng),이창호(Lee Chang-ho)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0 고문화 Vol.96 No.-

        송산리 고분군은 왕릉 조성 지역으로서 인근 왕성(공산성)과의 관계로 보아 백제 웅진 시기에 조영된 능원과 능역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는 곳이다. 하지만 일제 강점기 이후 송산리 고분군과 주변 지형은 산림 벌목과 경작지 개간, 건물 축조 등으로 인해 지형 훼손이 많이 이루어졌다. 하지만 관련한 고고학적 조사가 미미하여 송산리 고분군이 지닌 왕릉으로서의 입지 특성을 명확히 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과거 지형의 모습을 파악하고 여기에 현재의 지리 지형적 환경 연구, 한성과 사비시기 왕릉 입지 지형 자료와 입지 연구성과 등을 검토하여 송산리 고분군의 입지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송산리 고분군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풍수지리적 모습을 갖춘 지형을 우선 선택하였고, 송산의 여러 분지된 지형을 적절하게 공간적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백제 각 시기의 왕릉급 고분 입지, 인근의 왕도로서 공산성과 추정 대통사지 지역과의 관계를 종합비교해 보면 그 입지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게 볼 수 있다. 즉 송산리 고분군은 송산이라는 지형 자체를 묘역 전체로 구성하였고 능원의 성격으로서 능침과 제향, 진입 공간 등의 공간 배치를 지형에 맞추어 조성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송산리 고분군은 한성기와 사비기의 왕릉 입지로 변화하는 과정에 나타나는 과도기적 형태의 풍수지리적 지형 모습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인근의 왕도와 추정 대통사지 지역 모두를 아우를 수 있는 도성 공간의 장소로서 현재의 위치를 선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당연 이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면서 경관의 장소적 의미가 확립되어 갔을 것이다. The Songsan-ri tomb is considered to be a place wher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the existence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tombs built during the Woongjin period of Baekje, due to the existence of the royal tombs of Baekje and surrounding ruins such as the communist castle. However,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rrain surrounding Songsan Rigogun was a constant loss of terrain due to deforestation, cultivation of farmland, and construction of buildings. Therefore, by analyzing the topographical approach and the current geographic topographical environment and comparing it with the various data left behind,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ongsan-ri Tumulus Cluster were materialized. Songsan-ri’s burial mound was selected from the viewpoint of Feng Shui geography influenced by Namjo, and it seems that it utilizes several branched terrains centered around Songsa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Songsan-ri’s burial mounds become clearer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ruins of the nearby royal roads and Gongju city, especially the estimated Daetongsaji. The arrangement of ridges, scents, and entry spaces as ridges was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terrain. In other words, Songsan Rigobungun selected the current location as a terrain that could encompass both the nearby royal roads and the estimated Daetongsa Temple along with the selection of Feng Shui geographic location, and they are thought to have formed a landscape that is organ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KCI등재

        湖西地域 靑銅器時代 灌漑體系와 展開樣相

        허의행 ( Ui Haeng Heo ) 호남고고학회 2012 湖南考古學報 Vol.41 No.-

        청동기시대 논 유적의 급증은 농경방식과 사회경제적 측면의 다양한 연구를 가져오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성과에도 불구하고 아직 관개체계에 대한 접근은 미진하다. 따라서 본고는 호서지역 내 청동기시대 논 유적을 대상으로 관개체계에 대한 검토와 분석을 실시하고, 수리관행적 차원의 사회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관개시설은 논 입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결정되지만 아직 배후습지 등의 저지대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대체적으로 구릉 소곡저에 입지시킨 관개시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관개시설은 각 개별 구성요소간 결합되면서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는데, 대체로 세 유형의 관개체계가 살펴진다. 용수원에서 수로를 이용하여 곧바로 논으로 관개하는 유형(1유형), 저수지(저류지)에 담수한 후 수로를 이용하여 관개하는 유형(2유형), 洑와 수로를 이용하여 관개하는 유형(3유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 유형들은 시기차를 보이며 단계별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Ⅰ단계는 초보적 관개기술의 등장 시기로 관개 1유형에, Ⅱ단계는 관개체계의 전개와 발전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관개 2·3유형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러한 관개체계 성립과 발전은 인구증가에 따른 안정적 식량확보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으며, 이와 함께 관개체계를 담당하는 주체의 모습과 변화양상도 수리관행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즉, 일정 논면을 관리·운용하는 구역은 용수의 공급지점과 관개 논면 범위 등으로 살펴볼 수 있었는데, 대체로 3-4가구가 하나인 세대공동체별 관리와 운용 등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洑와 관련된 관개시설은 관개수 통제를 통해 마을과 사회의 안정을 유지하고자 하는 상위계층(엘리트) 지도자의 모습을 생각할 수 있었다. Increased number of excavated Bronze Age paddy field sites promoted research on several aspects of socio-economy and agricultural practice of that time. Despite numerous studies, there are unresolved issues in understanding irrigation system. Thus, this article addresses irrigation schemes throughout reviewing excavated paddy fields in Hoseo region.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ocial aspects reflected on the irrigation system and practice, are discussed. Irrigation facilities, initially determined by topographic locations of paddy fields, have not been discovered in the low-lying land, so far. A narrow base of valley was the earliest favored place to establish artificial irrigated systems and various irrigation systems were constructed by combining several facilities. They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type is the simplest one by paving a direct way from water resource to the paddy field. The second type is composed of a water pool and irrigation canals to distribute water, once stored in the pool. The third type is one with a constructed reservoir and irrigation canals to supply water. It implies a temporal development from the stage Ⅰ of type 1 simple irrigation system to the stage Ⅱ with advanced irrigation schemes of types 2 and 3. What triggered establishment of such irrigation system and its further development might be the needs to secure stable food procurement corresponding to local demographic increase, In addition, parties controlling irrigation systems and chang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irrigation scheme, Areas where practice of paddy rice and its maintenance took place are zone of water resource and irrigated fields, Each sector appeared to have been managed at the household level by 3-4 families, However, construction of reservoir and related irrigation facilities might indicate the presence of elite group to sustain stability of community through controlling irrigation water.

      • KCI등재

        발굴조사 자료의 3차원 기록화 연구 -익산 광암리·동촌리유적 자료를 대상으로-

        허의행 ( Heo Ui Haeng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60 No.-

        고고학 발굴조사에서 3차원 기록은 현재까지 단순한 방식으로 기록되어 왔는데, 즉 주요 유구, 유물에 대한 3차원 스캐닝 기록이 대부분 이었다. 현재 그 기록은 유적과 유구, 유물 그리고 옛날과 지금의 지형 모두에 적용이 확대되어 가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익산 광암리·동촌리유적의 처음과 마지막의 조사과정을 3차원 기록화하여 그 유용성과 활용의 다양한 논의를 시도하였다. 3차원으로 기록된 자료는 다양한 분석과 활용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유적과 지형에 대해서 는 입지분석 및 GIS를 통한 공간분석 등을 진행할 수 있으며, 유구와 유물에 대해서는 수치적 분석 뿐 아니라 형태와 각각의 속성에 대한 여러 비수치적 분석 등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었다. 이처럼 발굴조사의 3차원 기록 자료는 기존의 2차원으로 제작된 자료보다 활용도 면에서 이점이 매우 크다. 특히 당시 문화와 사회상, 구체적인 유구 유물의 형태 등을 디지털로 복원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며,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및 전시자료로 제공하는 등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3차원 기록 자료를 내포한 디지털 전자보고서의 제작을 같이 진행할 수 있다면 연구와 교육, 2차적 활용의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이웃한 여러 나라들에서는 3차원 기록화에 대한 논의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 우리 학계에서도 고고학 조사와 연구에서 더 이상 보조적 수단으로서 3차원 기록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연구와 활용의 주요한 주제로서 구체적인 논의의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Application of 3D records in archaeological sites is limited to produce scanned records of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Currently, its use has been extended to include documenting ancient and modern landscapes as well as sites, features, artifacts in 3D. This paper presents a study case to apply extensive 3D recording techniques to Gwangamri and Dongchonri excavation cases. Its application and availability to archaeological surveys are addressed. 3D recorded data can be utilized further through various analyses and application methods. It enables to apply a location analysis,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ith the variables of shape and physical components. 3D recorded data has a greater potential for applying various analyses than 2D data. In particular, it provides a base dataset to reconstruct the archaeological features and artifacts to their original forms as well as the past society’s social and cultural features in digitized format. Such digital reconstruction can be used as educational supplementary and display objects. Furthermore, publication of electronic excavation reports including 3D recording data will lead to promote research, education and contents application of excavated data. Development of 3D recording has been intensively discussed in the neighbouring countries. It calls to consider application of 3D recording as a main research subject rather than a simple supplementary data in the field of Korean archaeology.

      • KCI등재

        기록화된 고고자료의 복원과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허의행(Ui-Haeng Heo)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7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4

        The restoration of archaeological data was carried out using photographs and drawings left as past records. It can be divided into ruins and artifacts. The restoration of the ruins was performed by modeling the individual parts and parts left by the photographs, aligning them and synthesizing them, and reconstructing them three-dimensionally as one object. Restoration of artifacts was performed on both photographs and drawings. After the modeling work is prioritized through the photographs, there is a method of restoring the original image by modifying the texture image of the damaged part of the modeled artifact, or restoring the original image by modeling and synthesizing the deleted part in the artifact. The restoration of the artifacts through the drawings was carried out by three - dimensional modeling and reconstruction through real mapping of images. The reconstructed archaeological data can be used in various direction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verify and compare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past 2D data, and to provide a more accurate analysis plan in the future.

      • KCI등재

        사비 도성의 고지형과 공간 활용의 검토

        허의행 ( Heo Ui-haeng ) 한국고대학회 2024 先史와 古代 Vol.- No.74

        부여 사비 도성의 내부는 육성과 충적지형이 조화를 이루며 분포한다. 육성지형은 산지와 구릉지형, 여기서 형성된 낮은 미곡부 지형이 존재하고 충적지형은 동쪽과 남쪽 일대에서 그 분포가 뚜렷하다. 동쪽은 곡저평야로 남쪽은 미고지성 평탄지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지형을 바탕으로 사비 도성은 적절한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사비 도성 내에는 다양한 고지형 흔적과 이를 이용한 도성 관련 시설들이 확인된다. 고지형 흔적으로는 저구릉성 지형과 곡부지형의 형태와 범위가 명확히 확인되는데 유적의 적절한 분포와 이용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미고지의 존재도 확인되는데 이곳으로는 유로흔의 모습도 확인된다. 유로흔은 도성의 외부를 지나는 모습이 뚜렷하여 방어 및 경계의 기능을 담당하는 모습이다. 도성 관련 흔적은 제방상 구조물과 연못지 등이 확인된다. 구조물은 부여 시내 외곽에서 제방의 형태를 갖추듯이 둘러싼 모습이며, 일부는 동나성의 성벽으로 추정되는 흔적도 있다. 연못지는 부여 시내 외곽에서 일정의 범위를 갖추듯이 형성되어 있는데, 도심지 배수 장소 및 궁남지로서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상기한 고지형 흔적을 바탕으로 도성의 주요 공간에 대한 범위를 다시금 살펴볼 수 있는데, 부여 시내의 남쪽 궁남지 일대를 넘어선 충적지형까지를 그 대상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다. 동쪽 지역은 동나성의 산지지형을 기준으로 하며, 북쪽과 서쪽은 자연지형으로서 산지와 구릉, 저구릉성 지형이 이를 대신한다. 반면 남서쪽 군수리 일대와 왕포리 일대는 미고지성 대지의 존재와 이곳으로 추정 제방 구조물의 흔적으로 인해 도성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 미고지의 구조물은 도성 공간의 대지를 확보하면서도 금강의 범람을 차단하려는 기능적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처럼 주요한 공간적 범위를 갖춘 사비 도성은 총 5개소의 지형 공간으로 구분되는 모습이 있는데, 아마도 이러한 지형을 적절히 활용하여 도시의 구성을 진행하였을 것이며 그러한 흔적으로서 도로의 배치와 개설은 큰 의미를 갖는다. The interior of Buyeo Sabi Capital City has a harmonious distribution of upland and alluvial terrain. The landforms include mountains and hilly terrain, and the low, uneven terrain formed from them, while the alluvial landforms are more pronounced in the east and south, with low-lying plains in the east and low-lying flat terrain in the south. Based on these terrains, Sabi Capital City is organized in an appropriate space. In addition, various traces of highlands and city-related facilities that utilized them can be found within Sabi Capital City. The upland traces clearly identify the shape and extent of low hilly terrain and curved terrain, showing the proper distribution and use of ruins. The presence of unexplored areas is also confirmed, including the appearance of eurocraters. Eurotrails are clearly visible on the outside of the city, indicating that they served a defensive and boundary function. Other traces of the city include structures and ponds that are believed to be traces of the city walls. The structure is a dike-like enclosure on the outskirts of Buyeo City, and some of the traces are believed to be the walls of Dongnara Castle. The ponds are formed in a certain range on the outskirts of Buyeo city, which can be seen as a drainage area for the city center and a gungnamji. Based on these upland traces, the scope of the city's main space can be revisited, extending to the alluvial terrain beyond the Gungnamji area south of downtown Buyeo. The eastern area is based on the mountainous terrain of Dongnaseong, while the north and west are natural terrain, with mountains, hills, and low hilly terrain. On the other hand, the southwestern areas of Gunun-ri and Wangpori-ri can be included in the city range due to the existence of unexplored land and traces of presumed embankment structures. In particular, this unexplored structure is significant because it can be seen to function to block the flooding of the Geum River while securing land for the city space. Sabi Capital City, which has such a major spatial scope, is divided into a total of five terrain spaces, and probably utilized these terrains appropriately to organize the city, and the layout and opening of roads are significant as such traces.

      • KCI등재

        송국리문화 재래기원설에 대한 재검토

        이홍종 ( Hong Jong Lee ),허의행 ( Ui Haeng Heo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9 No.-

        송국리문화의 등장이 기존의 청동기시대 문화와 차별된다는 점은 많은 연구자들이 인정하는 바이다. 따라서 이 시점을 기준으로 연구자에 따라 전기와 후기 또는 중기라는 시대 구분이 이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후기의 시작을 전기문화 계승의 결과로 보는지, 아니면 새로운 문화 요소들의 급작스러운 등장에 의한 것으로 보는지에 대해서 는 여전히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필자들은 아직까지도 송국리문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관개수로 등 완비된 수전농경을 영위했던 외부의 영향에 의하여 출현한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그러나 재래기원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들 의 견해도 여전하며 그에 대한 근거 등도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여기서 다시 그들이 주장하는 논리와 근거에 대해 살펴보고, 새로 추가된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하여 재래기원 설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It becomes a norm that the emergence of Songgukri Culture had fundamentally changed the previously existing Early Bronze Age culture either slowly or rapidly. Thus the commencement of Songgukri Culture has been regarded as a crucial point to distinguish early and late Bronze Age periods. But there has been an resolved controversy over its formation process whether it was in line with gradual succession of early Bronze Age culture or initiated by the external cultural influence with various new cultural traits. In my opinion, it is more plausible that the Songgukri culture was formed, resulting from adoption of external cultural traits. On the other hand scholars favouring the indigenous emergence standpoint have fiercely advocated while suggesting supporting evidence. Thus their assertions on the indigenous emergence and their different interpretative perspectives are reviewed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rgue for the extraneous origin of the Songgukri culture, pointing out serious reasoning faults in their assumptions in the limelight of new excavation dat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