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 비구순 보존술을 통한 관절경적 처치 후 최소 5년 추시 결과

        함동훈(Dong Hun Ham),정우철(Woo Chull Chung),허순호(Soon Ho Hun),정명철(Myung Cheol J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2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7 No.2

        목적: 본 연구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에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 후 중기 추시 환자 보고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구순 파열에 대하여 진행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되었다. 이 중 61명의 고관절 이형성증으로 분류된 환자들에서 단순 방사선 검사상 Tönnis 2등급 이상의 관절염이 있는 환자들은 제외되었으며, 또한 Tönnis 1등급의 관절염을 가진 환자이더라도 관절경상 연골하골 노출이 있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측면 중앙 모서리 각도(lateral center edge angle, LCEA)가 18° 이상, 25° 이하인 환자를 기준으로 하여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설문지를 통하여 변형 Harris 고관절 점수(modified Harris hip score, mHHS), 고관절 결과 점수-일상생활 활동(hip outcome score-activities of daily living, HOS-ADL), 고관절 결과 점수-스포츠별 하위 척도(hip outcome score-sportspecific subscale, HOS-SSS), 시각통증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을 술 전, 술 후 1년 및 술 후 5년에 시행한 환자 분석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기간은 64.8개월(범위, 60–84개월) 이였으며 평균 LCEA는 20.9° (범위, 18°–25°), Tönnis 각은 6.3° (범위, 0°–18°) 였다. mHHS는 수술 전 평균 73.5에서 5년 추시 후 86.2로 증가하였으며(p<0.01), HOS-ADL는 평균 70.5%에서 84.9%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HOS-SSS는 평균 51.4에서 69.4으로 증가하였으며(p<0.01), VAS는 평균 6.3에서 1.5으로 감소하였다(p<0.01). 결론: 적절하게 선별된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 환자들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은 중기 추시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골관절염이 진행되지 않았고, 연골하골 노출이 없는 경계성 고관절 이형성증에서는 관절경적 비구순 보존술이 덜 침습적인, 좋은 선택 사항으로 고려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patient-reported outcome scores at mid-term follow-up after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hip dysplasia. Materials and Methods: Data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from patients who underwent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Among the 61 patients classified with hip dysplasia, patients with arthritis beyond Tönnis grade II were excluded, Patients with subchondral bony exposure were excluded even if they had arthritis of Tönnis grade I. Forty-two patients with borderline hip dysplasia were enrolled among patients whose lateral center edge angle (LCEA) was between 18° and 25°. The PRO scores including the modified Harris hip score (mHHS), hip outcome sco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HOS-ADL), hip outcome score sport-specific subscale (HOS-SSS) and visual analog scale (VAS), were collected and compared preoperatively, and then at one year and a minimum of five year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preoperative LCEA and Tönnis angle were 20.9° (range, 18° to 25°) and 6.3° (range, 0° to 18°), respectively. The mean follow-up was 64.8 (range, 60 to 84) months. The mean mHHS increased from 73.5 before surgery to 86.2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the mean HOS-ADL from 70.5% before surgery to 84.9%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and the mean HOS-SSS from 51.4 before surgery to 69.4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The mean VAS score improved from 6.3 before surgery to 1.5 in the fifth year after surgery (p<0.01). Conclusion: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performed in appropriately selected patients with borderline dysplasia showed good results at mid-term follow-up. In borderline hip dysplasia without the progress of osteoarthritis and subchondral bone exposure, arthroscopic labral preservation may be considered a good and less invasive option.

      •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in a Young Patient with a Chronic Radial Tear of the Incomplete Discoid Lateral Meniscus

        송지훈,임영진,박진영,허순호,Song, Ji Hun,Lim, Young Jin,Park, Jin Yeong,Huh, Soon Ho Korean Arthroscopy Society 2012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6 No.2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외측 불완전 원판형 연골판의 만성 방사상 파열이 있는 젊은 환자에서 시행한 봉합술의 결과를 보고자 한다. 원판형 연골판의 전위된 방사상 파열을 배형 성형술과 봉합술로 치료하였다. 술 후 6개월에 시행한 2차 관절경 검사에서 봉합된 연골판은 연속성을 유지한 상태로 치유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만성 방사상 파열이라 하더라도 젊은 환자의 경우 봉합술이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objective of this case report was to evaluate meniscal suturing for a young patient with a chronic radial tear of the incomplete discoid lateral meniscus. The patient underwent saucerization in conjunction with repair of the displaced radial tear of the discoid meniscus. Six-months after surgery, arthroscopic examination showed the repaired meniscus to be healed well with good continuity. Repair of radial tears, even chronic tears, should be considered for young patients with torn discoid lateral menisc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