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과 간문화 학습의 대안적 유용성

        허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8 사회과교육연구 Vol.15 No.3

        This thesis analyzes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rms of teacher, learner, textbook and teaching-learning method and considers the value of Inter-cultural learning as an alternative for those problems. The term 'intercultural learning' is used in this thesis discriminatingly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to emphasize the reciprocity, the exchange and the contact between cultures and to stress the point that 'intercultural learning' considers the cognitive process of learner who interprets and internalizes the culture. By analyzing the definition , the goal and the learning process of intercultural learning,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well-prepared educational experiences are required for sufficient resul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se experiences should be suggested in textbooks and scene of teaching. Second, thorough understanding about cultural crossing-situation is needed to prevent psychological anxiety and learning resistance for multiculture, in addition to emphasis on the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 Third, all the social phenomena and knowledg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o form desirable attitudes towards multi-culture. After all, this can be reached through the definition of 'intercultural capability' that means meta-cognitive ability. According to these conclusions, inter-cultural learning is expect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aningfully that exist in Korean society. 이 논문에서는 교사, 학습자, 교과서 및 교수-학습 방법면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간문화 학습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다문화 교육이라는 용어와 차별하여 간문화 학습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것은 문화와 문화 사이의 상호 작용 또는 교류와 접촉을 강조하고, 문화를 해석하고 의미화하는 학습자 주체의 인지 과정을 고려하는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간문화 학습의 의미와 목표, 학습의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다문화 교육의 충분한 성과를 위해서는 교육적으로 준비된 경험의 필요하며 이는 교과서와 수업의 장면에서 충분히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타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를 강조하면서도 심리적인 불안과 학습저항을 불러일으키지 않기 위해 문화적인 교차 상황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바람직한 다문화적 태도의 형성을 위해서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모든 사회적 현상과 지식을 이해해야 하며 이는 결국 메타인지적 능력을 의미하는 ‘간문화 능력’의 개념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간문화 학습은 우리 사회에서 나타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의 문제점을 유의미하게 개선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사회과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허수미,김세현,최율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2

        This Meta-analysis examined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text mining, network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In analyzing every article published in the journal from 2003 to 2019,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and network relations among major research topics. Based on these results, we also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stud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quantitative imbalance among the seven major research topics. While the imbalance has been reduced in recent years, the topics considered to be the basi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such as citizenship and democracy have critically decreased. Second, research on curriculum, textbook, and lesson study is overly isolated. It is important to maintain balance between in-depth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by expanding the integrated research strategy for those isolated research topic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Meta-analysis for research on social studies education based on new methodological approaches such as big data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연결망분석 그리고 질적 연구방법을 혼합하여 ‘사회과교육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2003년부터 2019년까지 발행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특성과 주제간 연결관계를 설명하고 보완이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과교육연구는 연구주제 간 편차가 존재했고 점차 연구다양성과 영역 간 균형성이 개선되고 있으나 사회과 본질과 관련된 기초연구주제의 약화는 보완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연구 영역이 지나치게 독자적인 영역으로 연구되는 경향이 보이며, 이러한 영역에서 연계성을 가진 통합형 연구의 확대 및 질적 개선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영역별 심층 연구와 연계성이 강화된 통합형 연구의 균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과교육 연구 분야에 대한 빅데이터분석 등 새로운 연구기법을 활용한 메타연구 활성화가 필요하다.

      • KCI등재

        정보화 시대의 사회과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수업 구성 전략

        허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4

        This study was done to provide real help for the practice of literacy lessons in Social Studies by setting the goals of Literacy lessons in Social Studies that answer the requirements of the information age and by preparing the lesson organization strategies. So this study set the goal of literacy lessons in Social Studies as following: Students can interpret the speaker’s intention and value expressed through the various kinds of media. Students will acquire the attitudes and abilities to understand the technical,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f media on communication. This will make it possible for the students to share the perception of social problems an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hrough communication. Next, this study suggested the literacy lessons organization strategies in Social Studi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ain information media and the problems of teenagers’ information media use. The literacy lessons in Social Studies provide the learners enough experiences in fluent reading, critical reading and cooperative reading. Through these activities, they should be the processes that help the students to form the attitude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together by sharing the perception of social problems. 본 연구는 정보화 시대의 요구에 부합하는 사회과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구체적인 수업 구성 전략을 마련하여 사회과 리터러시 수업의 실천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출된 화자의 의도와 가치를 해석하고, 소통에 미치는 매체의 기술·사회·문화적 영향력을 이해하려는 태도 및 능력을 습득하는 것을 사회과 리터러시 교육의 목표로 설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회 공동의 문제에 대한 인식 공유 및 소통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았다. 또한, 정보화 시대의 주요 매체 특성 및 청소년의 매체 활용 특성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해결방안을 포함한 사회과 리터러시 수업의 구성 전략을 제안하였다. 사회과 리터러시 수업은 학습자에게 ‘심화된 읽기’, ‘비판적 읽기’, ‘함께 읽기’의 경험을 충분히 제공하고, 사회 문제에 관한 인식을 공유하여 사회문제를 함께 해결하려는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사회과 문제중심 교육과정 설계 논리의 구안

        허수미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9 사회과교육연구 Vol.16 No.2

        사회과 교육과정 이론은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으나 수업이나 교과서 차원의 교육과정은 큰 변화없이 학문중심, 교과중심의 형태에 고착되어 있었다. 주로 교육과정 이론을 선진국에서 수용하면서 충분한 철학적·논리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회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이 되었던 교과-아동, 학문-경험의 주제를 대립적 성격으로 파악하면서 사회과에 필요한 통합적 관점을 간과해왔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사회과 교육과정은 교과의 지식과 아동의 경험을 조화시킬 수 있는 차원에서 설계되어야 하며, 그 가능성은 문제중심 교육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학습자의 일상적 경험을 활용하면서도 경험이 단순한 흥미에 머무르지 않도록 사회적 방향성을 제시해주는 교과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활용하려는 관점이 문제중심 교육과정에는 전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의 특성과 배열 방법에 문제중심 교육과정과 문제해결학습의 원리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7차 교육과정에서 의도했던 문제중심 교육과정이 수업차원으로 실현되지 못한 현상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쟁점중심, 스트랜드 중심 설계 등 통합적 주제를 활용한 교육과정 설계방식을 도입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Although the theori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have made a constant change,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t class and textbook level has been stuck to the form of learning-centered and course-centered without a big change. The reason is that there has been no enough philosophical and logical considerations in accepting the curriculum theories primarily from advanced countries and that people have overlooked the integrative point of view needed in Social Studies, having taken the theme of subject-students and learning-experience, which has been the main issue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opposing relations.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reflects the current social demands should be designed to make textual knowledge and students?experiences be harmonious each other and the solution is problem-centered curriculum. It? because problem-centered curriculum is based on the point of view that pursues the positive use of the role of subject, that is, guiding the social direction to prevent learners?experiences from being a mere interest, while using learners?everyday experiences. Problem-centered curriculum are not well practiced at class level. According to this study, it is because problem-centered curriculum and the principles of problem-solving learning have not fully refle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problem and the way of problem arrangement which are presented in the textbook. To solve these problems, introduction of curriculum design method using the integrative themes is needed, such as issue-centered design and strand-centered design.

      • 수업 비평 경험을 통한 사회과 교사의 수업 이해 양상 변화

        허수미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3 사회과수업연구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을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인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에 주목하는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수업 비평이 갖는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수 업의 질적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우리 교육계가 비평을 통한 수업이 해에 관심을 갖게 된 배경, 기존의 수업 평가 방법을 비평이 대신할 때의 유용성을 파악해보 았으며, 수업 비평의 경험이 사회과 교사들의 교과관, 수업 이해의 관점, 수업 관찰의 주안점 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업비평을 통 해 교사들은 첫째, 수업의 전체적인 맥락 파악과 의미있는 수업장면의 발견에 주목하게 된 다. 둘째, 수업의 내용 지식, 기법, 절차보다는 교사와 학생간의 의사소통, 학생의 반응과 변 화에 주목하게 되며 교사의 교과관과 수업관에 대한 반성을 경험하게 된다. 셋째, 수업 구조 화의 핵심이 수업내용이 아닌 문화적 스크립트 형성에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이를 통해 수 업 비평이 학교 현장에서 단순히 수업을 평가하는 방법을 변화시키는 차원이 아니라 수업의 본질적 의미와 교사의 수업관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