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공간정보 및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화학사고 위해성평가

        허성봉,유항남,최우성,이우균,손종렬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8 Crisisonomy Vol.14 No.6

        Chemical accident is one of the main obstacles for industrial development of South Korea. In order to prevent future accident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and predict the potential location of a chemical accident. This study first conducted a chemical hazard assessment using spatial analysis of chemical factory and accident data in Korea and then evaluated the hazard by environmental receptor. It is found that the human habitation area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chemical accident hazard (72%), compared to biotic and abiotic areas. In addition, among five receptors (human, forests, farmland, water resource, livestock), humans face the greatest threats (99.7% are at risk), followed by water resource, farmland, livestock farms and forests with 67%, 52%, 46.6% and 42% respectively. This study can help the relevant stakeholders and decision-makers in effective prevention of chemical accid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화학사고 지속발전과 국민의 안전을 가장 위협하는 환경오염 중 하나로 한국의 산업발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 할 수 있다. 때문에 향후 화학사고 방지를 위하여 사고 이전에 위해지역사전에 예방 및대응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9,520개의 화학공장 및 12년간 발생한 426건의 사고 자료를활용하여 공간분석을 통한 화학사고 위해성평가를 실행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환경 수용체 별 위해도를 살펴 보았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포괄적으로 분류하여 사용한 인간 활동지역, 생물, 무생물주제도 중 인간 활동지역이 72%로 가장 높은 화학사고 위해도를 보였다. 추가로 제작 된 5가지상세 수용체(인간, 산림, 농경지, 수자원, 가축) 중, 화학사고로 인한 인간이 받는 위해가 99.7%로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수자원, 농경지, 가축사육장, 산림이 각각 67%, 52%, 46.6%, 42%의 잠재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후 화학사고의 사전 예방과 환경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사료 된다.

      • KCI등재

        국내 임업분야 공적개발원조(ODA)사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연관성 분석

        김나희,문주연,송철호,허성봉,손요환,이우균 한국산림과학회 2018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linkage between the Forestry sector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Project in South Korea and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of United Nations (UN), Suggested direction of ODA project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Forestry sector ODA project data in South Korea have collected from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statistical inquiry system developed by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s of forestry development, forestry policy and administration. In both fields,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carried out the most projects. The Forestry sector ODA project data in South Korea are classified technical development, capacity building, construction of infrastructure and afforestation based on their objectives and contents. SDG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national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this study analyze linkage between ODA activity content in each classification item and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indicator. Analyzed the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indicator and SDGs target and SDGs indicator were identified. finally, SDGs goals were recognized. In conclusion,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are associated with the SDGs Goal 1 (No Poverty), Goal 2 (Zero Hunger), Goal 6 (Clean Water and Sanitation), Goal 13 (Climate Action), Goal 15 (Life on Land) and Goal 17 (Partnership for The Goals). Therefore, With the launch of the SDGs, This study analyzed the linkage among the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the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and the SDGs. it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Forestry sector ODA Project in South Korea and made proposa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SDGs. 본 연구에서는 국내 산림부문의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과 국제연합(United Nations;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SDGs 달성 측면에서 ODA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한국수출입은행 대외경제협력기금(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EDCF) 통계조회시스템에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산림부문 ODA사업은 임업 개발 분야와 임업 정책 및 행정관리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두 분야에서도 산림청과 한국국제협력단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에서 가장 많은 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선정된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의 각 사업별 목표와 내용을 바탕으로 기존 산림부문 ODA사업 항목인 기술개발, 역량강화, 인프 라 구축, 조림으로 항목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항목별 ODA 활동내용과 SDGs에서 강조하는 국가별 이행평가를 위해 국내 에서 활용 가능한 산림부문 목표 및 성과지표를 포함하고 있는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 성과지표와 이와 연관되는 SDGs 세부목표 및 지표를 파악하였으 며, 최종적으로 SDGs 목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은 SDGs 목표 1(빈곤퇴치), 목표 2(기아해소), 목표 6(물과 위생), 목표 13(기후변화 대응), 목표 15(육상생태계), 목표 17(파트너십)과 연관되었다. 본 연구는 SDGs가 출 범함에 따라 국내 임업분야 ODA사업을 검토하고, 이를 2016년 산림청 성과관리 기본계획과 SDGs와의 연관성을 분석하 여 국내 산림부분 ODA사업의 한계점 파악과 SDGs 이행을 위한 제언을 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