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야불교 출발선에서 본 아요디아의 위치에 대한 재고 - 허황후 이동경로 추정을 통해서 -

        한지연 ( Han Jee-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허황후 이동경로에 있어서 출발선이 어디냐의 문제는 단순히 어느 지역과 가야가 교류를 했다라는 차원의 문제는 아니다. 허황후의 출신국가, 그 국가내에서도 어느 지역이냐의 문제는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많은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학계에서는 지금까지 허황후의 출발선에 대해 수많은 가능성들을 열어두고 연구되어 왔다. 그 결과 북인도, 남인도, 태국, 중국 등 많은 지역이 거론되었다. 그리고 각각의 출발선에 따라 문화교류의 내용도 조금씩 다르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까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은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왜 가야에 왔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허황후의 출신지역과 이동경로를 다시금 상정해보았다. 이에 허황후 생존 시기 무렵, 인도를 비롯한 동아시아 전반의 민족이동경로와 문화의 교류 현황 등을 함께 고려하였다. 고대 민족의 이동은 잦은 일이었으며 이는 생활방식, 문화의 이동 등 많은 변화를 가져다 주었기 때문에 고대사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이다. 때문에 이와 같은 제반의 문제들을 함께 고려하고, 당시 싱인과 불교의 전파루트가 주요 루트로 작용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이 문제를 풀어나가는데 적용시켰다. 그 결과 북방루트의 육상도로를 일부 이용하고, 중국을 거쳐 가야까지 해상루트를 이용했을 가능성도 높다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근거로서 당시 민족의 이민사와 더불어 현존하는 유물의 동일성을 다루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접근 방식이 활발하게 연구방법론으로 제시되지는 않았고, 두 가지 루트를 모두 이용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처음 밝히는 것이니 만큼 향후 좀 더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많다. 검토할 문제를 제기함과 동시에 허황후의 이동경로 문제를 제기하는 논문이다. The nationality of Heohwanghu and the exact region where she came from contain many issues on the cultural exchanges at that time. This is why there have been many theories about her departure point such as Northern India, Southern India, Thailand and China. Consequentially each theory has provided different routes of cultural exchanges. This paper is main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however focuses on the way and the reason that she came to Gaya to reconsider her nationality and the route toward Gaya. The research about the movement of peoples of East Asia include India when Heohwanghu lived seems to be helpful to understand her route. The most roads of merchant used at that time overlap those of Buddhism spreading out. Even though it still needs to review and improve the method of this study, there is good possibility that the group of Heo moved to China by overland route and afterward to Gaya by sea route.

      • KCI등재

        기록문화재를 통한 조선시대미술의 도상해석학적 연구 특집 : 조선 전반기 불교미술의 조성사상 연구

        한지연 ( Jee Yeon Ha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1 강좌미술사 Vol.36 No.-

        성리학 중심의 유교국가를 지향하는 조선시대 불교는 억불시책으로 인해 교단사적으로 결국 산중불교라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불교 전래 이후 국가 공인 하에 전개되었던 불교사상, 신앙의 전개는 조선시대 들어서면서 결국 그 체제가 무너진 것이다. 때문에 현존하는 문헌자료 상에서는 불교발전상을 찾기 힘들며, 더욱이 위정자들의 불교 폄하 태도가 기록에 묻어나 문헌자료만으로는 당시의 불교 발전상을 이해하기 힘들다. 따라서 문헌자료와 함께 불교미술 造成記를 통해 생동감 있게 접근하는 것도 중요할 것이다. 고려왕조에서는 사상의 전개, 여러 신앙의 공존 등을 통해 불교사상·문화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에 비해 조선시대 불교에 관해서는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진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중국과의 외교 문제, 건국과 함께 조성된 불안정한 사회분위기를 쇄신할 수 있었던 것은 성리학이 아닌 불교였다. 오히려 천년에 이르는 시기동안 끊임없이 발전되어 왔던 불교사상을 ``선교양종 승려``라는 말이 어색하지 않게 하나로 통합해 나아가는 새로운 결과를 낳았다. 조선 초기에는 기존의 정토계 신앙이 그대로 흡수되어 민간신앙에까지 깊숙이 파고 들며, 동시에 왕실에서는 정토신앙을 바탕으로 『법화경』『원각경』『화엄경』사상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불화, 불상, 불탑조성에서 나타나고 있을뿐만 아니라 문헌자료에서도 일치하는 부분이 있다. 이에 반해 불교교단 내부에서는 승과제도를 통한 법계형성이 비교적 단순화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승과과목으로 지정된 경전 이외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던 대승경전 가운데 『법화경』『원각경』 『능엄경』 등을 이력과목으로 선택한다. 이리한 교단 내부의 변화는 곧 禪이나 敎, 어느 한쪽에 치우치는 것이 아닌 양쪽을 모두 섭렵하는 총체적인 교단의 모습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선시대 불교에 관해 억불시책과 관련지음으로써 그 발전양상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볼 것이 아니라 오히려 통합적인 불교로의 발전과 민간신앙으로 완전히 정착해 지금까지 그 전통이 이어져 내려오는 긍정적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uddhism in the Joseon Dynasty had been suppressed by the confucian government. As the Neo-Confucianists established the new dynasty, they claimed Buddhism for the failure of the previous Dynasty, Goryeo. Consequently Buddhism had to get away from the open society avoiding the anti-Buddhism policies. The official documents recorded by governors had been so critical on Buddhism that it is hard to understand how Buddhism survived and develop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rough official historical records. It is possible to find out how Buddhism developed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documents about the Buddhist artworks. Buddhism had made remarkable progress in both ideological and cultural ways until the Goryeo Dynasty collapsed. But under the Joseon Dynasty`s anti-Buddhism policies, Buddhism had had to endure and had few chance to develop itself for centuries. Even though the government had suppressed it so harshly, Buddhism stabilized the insecure society of the new Dynasty and the relationship with China. The sufferings rather became a chance to unite the sects of the religion and to develop the Zen and non-Zen sects together. In early years of the Joseon, the Pure Land school`s thought was absorbed into folk beliefs. Judging from the historical records and Buddhist arts such as paintings, statues and sutras at that time, the Royal family accepted the ideas from Lotus Sutra,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and Sutra of the Garland of Buddha based on the Pure Land school`s one. On the contrary, the Buddhist order had simplified the organization. The Buddhist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urse was also expanded, so Lotus Sutra, Complete Enlightenment Sutra and Sutra of the Heroic Ones were included. It means the order managed to keep the balance between Zen and non-Zen and furthermore unified them to create unique Korean Buddhism. The anti-Buddhism policies of the Joseon Dynasty had caused disadvantage to Buddhism with no doubt. But they also gave it a foothold for settling down in the common people`s life and unifying the separated ideas.

      • KCI우수등재

        북위 중국화 과정 속에서의 불교 발전과 의의에 대한 연구 - 북위 한화정책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서 -

        한지연(Han Jee Yeon)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8 No.-

        북위는 탁발족에 의해 세워진 통일왕조이다. 이민족으로서 중국 영역을 통치하는 데에는 정책적으로나 문화방면에 있어 통일된 기준이 있어야 했기 때문에 이 과정을 통상 ‘한화정책(漢化政策)이라 한다. 그러나 모든 방면에서 한화정책이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되지 않았고, 특히 북위불교 발전과 관련지어 본다면 과연 한화정책 속에서 불교가 발전했는가에 의문을 갖지 않을 수가 없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종교· 문화적 배경에서의 한화정책을 재조명하면서 그 속에서 불교가 발전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찾아보았다. 한화정책은 법제에 한해 이루어진 양상이 더 크며 종교와 문화정책에까지 확대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러한 경향은 낙양 천도 이전인 평성시기에도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폐불(廢佛)을 단순히 불교사원의 거대화라는 측면이나 유불도 삼교의 투쟁이라는 측면으로 이해하기에 부적합하다. 폐불 직전부터 한화정책의 조짐이 보이며, 이 과정에서 사상과 종교의 통일성을 찾는 데에서 기인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폐불 이후에 불교국가인 우전국(于闐國)과의 교류현황 등을 통해서도 확인이 가능하다. 천도 이후에는 서역과의 교류가 본격화되는데, 이면에는 남제 정벌과 황폐화된 낙양의 재건 등으로 인한 대규모 토목공사로 국가재정이 어려움에 처하면서 서역과의 경제적 교류를 꾀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배경은 낙양을 국제도시로 탈바꿈하게 하였고, 불교는 사상의 발전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서역인들을 통합시키고 이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지으면서 발전할 수 있었다. 특히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에 보이는 사원들은 신라원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었고, 서역승이 직접 건축한 서역풍 사원, 서역과 동일한 사원배치 양식은 낙양에서 경제활동을 하던 서역인들의 문화집합소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화정책은 한문화로의 동화가 아닌 새로운 생활상을 펼치는 활로개척의 정책이었다는 점, 불교는 서역인과 북위 황실을 연결해주는 접점으로도 그 역할을 다 했다고 볼 수 있겠다. Since Beiwei was built by the Tuoba people, who were not the main people in China like the Han race, the sinicization of Beiwei was regarded reasonable. As the state grew, the emperors tried to adopt Han Chinese administrative systems and penal codes. The suppression of Buddhism must have been affected by the sinicization in a way. However, if the rulers of Beiwei had tried to sinicize not only law and order but also religion and culture, it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for Buddhism to be the state religion two decades after the suppression. Buddhism seems to have been suppressed just to unify social policies and ideologies, not because of any conflict with Confucianism and Taoism. From the fact that Beiwei kept diplomatic exchanges with Khotan, the suppression of Buddhism cannot be regarded as meant to eliminate the religion. Even though there was suppression, Buddhism kept developing. After the change of the capital from Pingcheng to Luoyang, the state made economic exchanges with the countries in the western region of China. It is possible to assume that Beiwei took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in this process. As seen in Luoyang Qielanji, the temples in Luoyang built by monks were the center of the people from western countries of China. The sinicization should be studi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an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Beiwei should be also reviewed with a new approach.

      • KCI등재

        西域 涼州지역의 佛敎 특성 연구

        한지연(Han Jee-yeon) 한국불교연구원 2008 불교연구 Vol.29 No.-

          Liangzhou(?州) was the special region in China where have initially imported and developed new ideologies and cultures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western China.<BR>  With this fact, it cannot be excluded to research on this gateway connecting the western countries and China on the study of Buddhism"s development.<BR>  Buddhism in this area has been studied as a part of Dunhwang(敦煌) study. It has been also regarded as only a main artery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BR>  Despite its specialty, there has been no in-depth study on this area and its culture and religion. Especially Buddhism in Liangzhou has been classified either western Buddhism or Chinese on as needed.<BR>  This is why Liangzhou has been mistaken as the main city of the sutras" translation so far. However, before BeiLiang(北?) stood out, all the gathering and translating works had been worked out in ChangAn(長安) first.<BR>  Even Liangzhou was geographically closer to China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raits of religion, its ideological, cultural peculiarities were more likely to western countries".<BR>  Therefore it seems reasonable to classify Liangzhou"s Buddhism as western Buddhism.<BR>  If so, the main area of sutra translation where brought Chinese Buddhism huge development would be set up with no further argument.<BR>  On the matter of Sengguanzhi(僧官制) in BeiWei(北魏) and Sengzhengzhi in Southern Dynasty, the spread from India to Beiwei through Kucha(庫車) might confirm the propagation route of India-Kucha-Liangzhou-China.<BR>  Moreover regarding as the cultural influence Liangzhou"s Buddhism faded away, more sinicized Buddhism became prospered in China.<BR>  Liangzhou"s must be considered as a kind of Western Buddhism.   ?州, 즉 지금의 甘肅省 蘭州(간쑤성 난저우) 서쪽지역의 하서 회랑 지역은 돈황의 특수성으로 인해 현재 ‘돈황학’으로 대변되어 연구되어 왔다.돈황 막고굴로 대변되는 이 지역 불교발전 역시 중국불교 혹은 돈황학의 일부분으로 연구되어 왔기 때문에 양주불교라 할 만한 특수성이나 연구의 필요성이 인식되지 못하였다.<BR>  때문에 중국 및 일본의 여러 중국불교학 연구자들에 의해 단순히 서역과 중국 간 연결 통로로써의 양주로 여겨져 왔으며, 더 나아가 양주가 역경의 중심지로 결론지어졌으며 더 이상의 연구발전은 이루어지지 못한 현실이다.<BR>  그러나 중국에 의한 양주지역의 통일이 있기 이전까지 양주는 서역에서 중국으로 들어오는 첫 관문으로써 정치ㆍ상업ㆍ문화ㆍ중교 등 여러 방면에 있어서 정치, 문화사적으로뿐만 아니라 불교사연구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통일이전까지 양주지역의 정황 등을 더불어 살펴보았을 때, 양주불교에 대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징을 말할 수 있다.<BR>  첫째, 구마라집 이전에 이미 불교가 전파되었으나 전란 등으로 인해 불교발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BR>  둘째, 지금까지 축법호=돈황보살이라는 ??고승전??과 ??출삼장기집??등의 기록으로 이해 그의 활동지역이 돈황, 즉 양주라 연구되면서 자연스럽게 양주를 역경의 중심지라 결론지어졌다. 그러나 실제 돈황에서 역경된 경전은 단 한권뿐, 나머지 경전은 모두 장안과 낙양에서 역경된 것으로 양주가 결코 역경의 중심지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다만 서역-중국간 불교발전을 고려해본다면 양주지역으로 들어오는 경전의 양이나 종류가 다양해 불교경전의 집합소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BR>  셋째, 양주에서 역경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는 동진시대부터로 볼 수 있다. 또한 이 시기부터 개착된 막고굴은 중국석굴의 개착 목적과 달리 인도 및 서역의 석굴 개착과 같은 목적으로 단순 수행이나 참선이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불교문화적 측면은 북위에 선진화된 양주불교로 다가가 많은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BR>  정치사적 측면에 있어서 양주가 중국사에 속해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으로 통일되기 이전까지의 양주는 그 불교사적 입장에서는 중국불교의 범위로 보기보다는 서역불교 범주 속에서 연구되어지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으로 보여진다.

      • KCI등재

        동아시아 古城의 형성과 불교전래의 연관성 試論

        한지연(Han, Jee-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실크로드 사막남도에 위치한 고대 오아시스 국가와 중국 남북조시대, 그리고 한국의 삼국시대는 급속도로 전파ㆍ발전되는 공통점을 지나고 있다. 이러한 공통점과 더 불어 고대 왕성축조는 국가건럽 및 존속에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데 이 두 가지 요인이 어떠한 형태로 공존했는가에 관해 살펴본다. 불교가 東傳하면서 경유하게 되는 실크로드의 경우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왕성의 축조가협소한공간에 이루어지고, 國敎로 공인된 불교 사원지는 자연스럽게 왕성 내부에 자리잡은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어떤 경우에는 왕성의 최북단에 묘지군이 남아 있고, 인접한 남쪽에는 불탑 및 사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묘지군과 불탑과의 관계에 관해 몇 가지의 단서만으로 확정지을 수는 없으나 고대 왕성을 축조할 때 죽음과 사후세계에 대한 관념을 종교적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해석할 여지는 남아있다 하겠다. 불교사원지의 위치는 묘지와의 관계뿐만 아니라 왕궁터로부터 북서빙향에 존재했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묘지군과 이들의 위치는 북쪽부터 묘지군-불탑 흑은 불교사원지-왕궁의 순서로 이 루어져 있다고볼수 있다. 이는 곧 방위에 대한신앙 혹은 우전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된 북방의 비사문천 신앙이 실크로드 사막남도에 퍼져 있었으며 동시에 사후세계와 불교, 그리고 왕실 및 국가 번영과 불교의 관계가 형성될 수 있다 하겠다. 따라서 현재와 미래에 대해 종교에 의지하고 염원한흔적이 곧 왕성 축조에 반영된 것으로 보여진다. 이와 같이 실크로드 상에서 드러나고 있는 왕성 축조 방식은 중국 남북조시대 , 특히 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낙양 천도 이후 성내사원지의 위치가 대 부분 왕궁의 북서 방향에 집중되어 있는 것도 확인할수 있다. 북위시대를 거쳐 이후에 축조된 왕성에서 이와 같은 형태를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은 북위시 대 불교문화형성 이 다른 지역의 것이 이식된 사실 즉, 실크로드와의 끊임없는 교류를 통해 직접적인 연관성을 지닌다는 것으로 풀이될 수 있다. 또한 실크로드를 비롯한 동아시아에서의 불교와 민간신앙과의 습합이 왕성 축조에도 영향을 미쳤다는점을볼수 있다. The ancient oasis nations located at the dessert area of the southern route of the Silk Road, the era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and the era of the Three Kingdoms of Korea had Buddhism, which spread rapidly and developed, as a common point. The construction of King′s castle was another precondition for the foundation and existence of a nation with the religion. On the Silk Road, which had been the route of Buddhist spread to the East, the construction of the king′s castle was done in a very narrow space due to local ge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t seemed Buddhist temples were placed inside the castles naturally as it was recognized as the national religion. The remain s of ancient tomb land are found in the northernmost of the ancient castles whil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Buddhist pagodas and temples were formed in adjacent southern region. The relation between the tomb 1ands and the Buddhist pagodas cannot be confirmed using on1y these two cases, however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ideas of death and the after1ife were accepted in religious perspectives when constructing the ancient kings′castles. The locations of Buddhist temples had been identified to have relationship not only with the tomb lands but also with the king′s castle. The temples were built on the northwest of the castles. The tombs, Buddhist structures and the king′s castle were built in order from the north. This may imply that there had been relationship established between the afterlife and Buddhism. Also the royal family had connections with the religion for its and nation′s prosperities. The sty le of the king's castle was also affected by the religious idea abou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this way, it was identified that the way to construct the castle as revealed along the Silk Road had a direct impact on the era of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of China, in particu1ar, the Northern Wei so that the locations of intra-castle temples after moving the capital to Luoyang Cheng were mostly concentrated to the northwestward direction of the palace‘ Considering the fact that such characteristics could be found in the castles bui1t after the Northern Wei, the cultures from other regions must have been spread into the Northern Wei's Buddhist culture. This means that the ceaseless cultural exchange through the Silk Road had affected the construct of the king′s castle in many ways. Moreover, not only the culture from the Silk Road but East Asian Buddhism and folklore impacted the building of king′s castles.

      • KCI등재

        중국 양무제 사신(捨身) 활동의 배경과목적에 대한 연구

        한지연 ( Han Jee-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중국불교를 논할 때, 시대별로 각각의 특징들에 대한 인지는 거의 획일화되어 있다. 특히 남북조불교사에 대한 특징으로 북조의 불교는 국가 체제 안에서 강력하게 불교교단을 통제하려 했던 경향성이 강한 것으로, 남조의 불교는 교단의 독립성 확보가 가능했으며 이는 위정자의 노력 역시 일정 부분 작동한 것으로 이해해 왔다. 이 가운데 특히 남조 불교교단에 대한 위와 같은 이해하는 방식에 많은 영향을 끼친 사항이 양 무제의 봉불활동일 것이다. 기존의 이러한 이해방식의 유효함은 여전하지만, 양 무제의 봉불활동이 전륜성왕 이념의 실현이라는 측면으로만 이해할 수 있는가의 문제는 재고할 사항이라 생각된다. 여산혜원(廬山慧遠)이 주장한 ‘사문불경왕자론(沙門不敬王者論)’을 시작으로, 남조의 왕권과 불교교단 사이에 특별한 관계성이 정립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양 무제가 전륜성왕을 실현하고자 하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배경으로 작동했을 가능성도 있다. 그럼에도 양 무제의 전륜성왕적 활동, 그 가운데서도 사신활동이 어디서 비롯된 것인지라는 문제는 간과되고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양 무제의 사신활동이 어떠한 배경에서 나타났는지, 그리고 사신활동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지향점이 어디 있었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기존의 남북조불교의 특징이라 간주되었던 부분에 대한 오해를 해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There has been some stereotype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ddhism in China throughout the history. Representatively, while Buddhism of Northern Dynasty was tend to be controlled by national ruling system, that of Southern Dynasty kept its own autonomy supported by the administrators. Especially Emperor Wu of Liang’s active serving Buddhism specified the Buddhism of Southern Dynasty. Even so, it is to be reconsidered whether his serving Buddhism was just for realization of the Wheel-Turning Sacred King(Chakravati). Based on Hui Yuan of Lushan’s book of ‘On Why Monks Do Not Bow Down Before King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Southern Dynasty and Buddhism had been settled. This could be the background for Emperor Wu to act as the Wheel-Turning Sacred King. So far his acts of sacrificing his life has not been studied deeply enough. The beginning and the purpose of the acts of sacrificing himself are researched in this study. It also focuses on the misunderstandings about the fixed characteristics of each Buddhism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o be cleared up.

      • KCI등재

        ‘고승전’ 역경편으로 본 중국 초기 불교의 전개

        한지연(Han, Jee Yeon) 한국불교연구원 2011 불교연구 Vol.34 No.-

        불교는 기원전후를 기점으로 서역의 각 오아시스 국가들을 거치면서 동아시아로 전해진다. 그 과정에서 사상면․문화적면에서 변화와 발전을 겪게 된다. 불교가 중원 땅에 들어서면서 발원지인 인도와는 판이하게 다른 면모로 발전하는 과정도 거치게 된다. 이러한 변화 및 발전에는 여러 요인이 있으나 경전이 번역되는 과정, 즉“譯經” 문제를 『양고승전』 및 『속고승전』 역경편의 체계를 통해 그 면모를 본다. 『양고승전』은 시대순으로 역경에 종사한 고승들을 기록하되 당시 불교사상의 흐름상 큰 맥을 형성하는 인물을 중심으로 그 권수를 달리하는 체계를 지니고 있다. 이에 비해 『속고승전』은 주로 황실을 중심으로 譯經史를 정리하고 있다. 다시말해 황제의 명으로 역경 및 저술서를 편찬한 인물들을 중심으로 편집된 것이다. 『고승전』이 『속고승전』에 비해 비교적 국가와의 관계에서 자유롭기는 하나 인물들의 활동시기에 대해 착오를 일으키는 오류를 범한 부분들이 보이므로 『속고승전』과 비교해본다면 세밀함이 떨어진다. 또한 역경된 경전의 성격으로 보면 5호 16국시대, 인도 및 서역에서 주로 유행하던 비담부 혹은 율부 계통의 경전이 번역된다. 때문에 이 시기까지는 능동적으로 불교사상을 받아들이기보다는 서역승려들이 중국 불교를 이끌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수당시대 불교성격을 국가불교화된 불교라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성격은 이미 남북조시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남조에서 불교사상을 이끌어갔던 주체는 바로 황실이라는 점이다. 때문에 역경사업 역시 남북조시대부터 제도화되기 시작했으며 수당시대 들어 국가의 지원 하에 활성화된 것이다. 초기 역경에 참여하는 인물들이 주로 인도 혹은 서역출신의 승려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이후 불교 흥성기, 즉 수당시대에 들어서면서 역경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진행된다면 중국 초기 불교의 발전 양상을 이해하는 데 한층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Around the Nativity, Buddhism had been spread to East Asia away from its origin through the countries near oases on the Silk Road. On this long journey, it had been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many ways with meeting various ideologies and cultures. As a result, when Buddhism was finally introduced in China, it was a lot different from what it had been in India. There were many reasons causing the changes and one of them was the translation of sutras. I here research the hallmark of translation of sutras in early China through comparing the systems of Liang-gaoseng-zhuan and Xu-gao-seng-zhuan. Liang-gao-seng-zhuan was about the master monks who had worked on the translation in chronological order and divided volumes according to the historically significant masters. On the contrary, Xu-gao-seng-zhuan was mostly about the monks who had translated or written sutras by Chinese Imperial orders. Comparing Liang-gao-seng-zhuan to Xu-gao-sengzhuan, Liang-gao-seng-zhuan is relatively away from the relations among nations. But it is also noted for its inaccuracies such as some monks' days were mistaken. The translated sutras were mostly Abhidarma's or Vinaya's ones which were popular in India and the countries on the Silk Road in the time of Sixteen Kingdoms of Five Ethnic Groups. Judging from a variety of circumstances, it is more likely that the monks from the Silk Road were at the head of spreading Buddhism in China rather than China itself voluntarily accepted it. Buddhism in Sui, Tang Dynasty has been characterized as the national Buddhism so far. However its closeness to the government had been already found in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Especially in Southern Dynasty, the Imperial Family support made a considerable progress on Buddhism's development. The translation work also had been systemized under the government's support since the time of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When it came to Sui, Tang Dynasties, the translation work became much lively in earnest. The early work of translating sutras was mostly accomplished by the monks from India and the Silk Road. Later as Buddhism flourished in the time of Sui, Tang Dynasties, the translation work became active as well. Consequently the research on the translating sutras may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s of the early Chinese Buddhism.

      • KCI등재

        서역에서의 법화신앙 전개

        한지연(Han, Jee-yeon)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1 No.-

        대승의 신앙형태 가운데 특히 법화신앙은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광범위한 지역에서 성립ㆍ발전된 것으로 추정된다. 법화신앙이라 함은 기본적으로 『법화경』의 내용을 중심으로 한 신앙형태를 말한다. 그런데 초기 불교전파 및 문화적 변용과정에서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고 있는 것이 곧 법화신앙일 것이다. 『법화경』내에서 묘사되어지는 상당부분이 이곳 석굴 내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시대에 따라 신앙형태를 가늠해볼 수 있는 부분들이 존재하므로 이를 바탕으로 천산남로 상의 법화신앙을 고찰한다. 또한 지금까지 흔히 미록계 경전을 바탕으로 얘기되고 있는 도솔왕생의 문제를 『법화경』에 입각한 미록신앙과의 연관성 문제로 재해석하는 것을 시도해본다. 그리고 이 같은 초기 법화신앙이 지역과 시기 별로 어떤 변화를 가지는가에 대해 문화적 형상화에 입각해 살펴본다. 미륵보살 도상화에서 시대가 흐를수록 점차 이불병좌상이 출현하게 되고, 더불어 경변상도가 나타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현상은 중국 내부로 들어오면서 나타나는 양상이므로 변화양상을 통해 신앙형태의 발전상을 보며, 이를 통해 신앙체계의 견고성을 더해 나아기는 초기 불교전파 및 당시 교류 상황을 짚어본다. 또한 전파경로 가운데 중국 내륙으로 들어오는 바로 직전 관문인 돈황 등의 지역에서 드러나는 법화신앙을 함께 다룬다. 천산남로에서 보여지는 법화신앙은 교류의 측면에서 접근되어져야만 이해되는 부분이 상당수이다. 이에 대한 비교지역을 현 감숙성 지역으로 한정하며 시기 역시 중국 역사 전개에 있어 수당시대 이전까지로 한정한다. 이로써 전파초기의 신앙형태를 법화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동아시아 불교의 변용과정의 단면을 유추해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f the types of faith in Mahāyāna Buddhism, the faith in the Lotus-Sutra is assumed to have been established and developed in wide area from quite early tim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here basically refers to the type of faith formul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Lotus-Sutra. During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the appropriation of culture, the faith in Lotus-Sutra appeared most frequently. As considerable parts described in the Lotus-Sutra have been discovered inside the cave and some of them provide clues to estimate the types of faith over time, the paper tries to examine the faith in the Lotus-Sutra on the southern route of Silk Road. The paper will also attempt to reinterpret the issue of reincarnation in paradise, which has been discussed around Sütras about Maitreyanātha, with regard to the Maitreyanātha in Lotus Sūtra. In addition, the paper will also examine how the faith in Lotus-Sutra changed over time, by region from the cultural perspective. Over time, the image of two Buddhas sitting side by side appears gradually from the iconography of Maitreyanātha Bodhisattva and the image of seeing each other as well. As it appeared during the process of penetrating into China, how it changed will show us the state of development in types of faith. Through this we will investigate the spread of early Buddhism and state of exchange of the time. In addition, among various routes through which early Buddhism were spread, we will deal with the faith in Lotus-Sutra found in areas such as Tunhuang, a gateway to inner China. Most of the faith in Lotus-Sutra discovered in the sourthern route of the Silk Road can only be understood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exchange. We will limit the comparison to the area of Gansusheng and to the period preceding Sui and T’ang dynasty.

      • KCI등재

        동아시아적 전환 시발점으로서의 돈황 불교에 대한 고찰

        한지연 ( Jee Yeon Han ) 인도철학회 2012 印度哲學 Vol.0 No.34

        An awareness of the Dunhuang tends to be appraisal quite oriental in the way of thinking. However entering to 21century, for the first time reconsideration on the Dunhuang is arising in new also an awareness of the Dunhuang Buddhism showing that still has a matter to reconsider. Accordingly, this paper reinterprets about the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Dunhuang Buddhism and makes an attempt to solve the problem about that changing process limit to the Sui-Tang period. But the sources given definition on Dunhuang Buddhism are limited and thus take a look which appearing in the Mogao Caves and Yu-lin-ku of Anxi with in phenomenological side. Through this, investigate character of the Dunhuang Buddhism and watched the religious belief, social aspect and interchange of ideas at that time. On this, introduction of Buddhism is not one sided introduction in the start point of Dunhuang Buddhism and able to see a series of development process which exist in harmonize with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lso, just before the raising Chang-An Buddhist period, it is able to identify the Dunhuang Buddhism took a role of later Chang-An Buddhism. The reason that described centering to Chang-An Buddhism, for remaining active activity in records as an ending point and the Dunhuang which via area of active Buddhist monks actually over a medium role, must see as a foundation role to develop the Buddhism in Chang-An. And up to now being discussed mainly the maximization of Buddhist faith through the culture of Dunhuang though, on the other hand when concern the activities of many different races, it must consider of possibility that Buddhism was the role in represent not the Chinese culture but the culture of different race. Development of Northern Buddhism in period of North and South dynasty and in Tang dynasty, it is able to see of appearing the point of similarity with method of Buddhist development. This is not the reconsideration of Dunhuang Buddh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later Buddhist history but will be the interpreted result due to the affect in central district in directly and indirectly by the method of Buddhist development in Dunhuang.

      • KCI등재

        실크로드의 동서문화교섭이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 미친 영향 - 돈황지역에 보이는 불교문화와 중국도교문화의 융합 사례를 중심으로 -

        한지연 ( Han Jee-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This paper purports to review the role of the Silk Road, especially of Dunhuang region, in Buddhist entry and settlement in China by paying attention to the exchanges between Buddhist and Chinese Daoist elements. Until now, in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cultural history in the ancient and middle ages of China was unilaterally based on the ancient capital of Chang'an or Luoyang as the centers of Chinese history and culture. At the moment of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exchange' into this perspective, however, the existing way of interpreting history should be restructured. This is because the acceptance, transformation, and ensuing development of the culture through exchanges are revealed 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its cultural history. This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product of exchanges is placed on the center of the traditional Han Chinese ideology, or whether the traditional Chinese ideology and the exchange process are mixed. In short, we will examine the process of the fusion of the Han dynasty primitive Daoist culture and Buddhist culture through the era from the later Han Dynasty to the five Liang states. And through this, we will expand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Buddhism by examining the process of how Dunhuang Buddhism is transplanted into Ch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