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자원활동인력 운영 방안 연구

        한주리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4

        우리나라는 독서문화진흥법을 근거로 다양한 독서진흥 사업을 운영하면서, 문화융성과 출판산업 활성화,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출판진흥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해외의 경우, 독서진흥단체, 출판사, 서점, 유통사, 작가, 도서관, 학교, 교사, 언론, 민간기업, 자원봉사자, 그리고 정부까지 구성원 모두가 책의 가치와 독서문화진흥을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으며, 다양한 민간 자원활동인력의 참여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독서문화 진흥을 위한 자원활동인력 운영 방안을 모색한 결과, 독서문화활동 관련 단체의 정관에 자원봉사 내용을 추가, 독서문화 활동에 대한 정보 및 교육 훈련을 제공, 기존 문화자원봉사와 적극적으로 연계, 자원봉사에 대한 대국민 홍보 강화 및 제도보완을 통한 출판독서생태계의 지속가능성 확보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탐색적 분석을 통해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이용자의 미디어 간 추구 충족과 획득 충족 비교 연구 - 스마트폰과 인터넷 비교를 중심으로

        한주리,김창숙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4 No.-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스마트폰이 마케팅, PR, 정치적 활동 등을 위한 주요 매체로 떠오르고 있어 효과적으로 이에 접근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연구들이 많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얻고자 하는 충족과 획득 충족이 무엇인지를 밝히되, PC를 통한 인터넷 이용과의 비교를 통해 그 특징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에 대해 추구 충족은 ‘즉시성’, ‘정보 획득’, ‘휴식/동반자역’, ‘자기표현’이라는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모바일 기기의 특성에 맞추어 빠르고 실시간적인 정보를 얻고자 하는 ‘즉시성’이 가장 높은 평균을 나타냈으나 아직까지 ‘정보획득’에 있어서는 PC를 이용한 인터넷에 대한 기대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마트폰에 대한 획득 충족은 총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즉시성/사회적 상호작용’, ‘휴식/동반자역’, ‘자기 표현’, ‘정보 획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터넷과의 비교에서는 ‘자기 표현’ 요인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인터넷에서 얻는 충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폰에 대한 추구 충족과 획득 충족간의 평균차 검증에서 ‘자기 표현’, ‘휴식/동반자역’, ‘정보획득’ 모든 요인에서 획득 충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폰에 대한 노출이 더 많아질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아울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study raised an urgent need for studying smart phone which has prevailed Korean society not as a simple communication tool but as a new way of communication mode. Smart phone is one of the key media in marketing, PR, political activities in Korean society recently.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we expected the media audiences’ gratifications sought and gratifications obtained on smart phone and internet. Results showed that smart phone could be the useful medium in speedy responses, self-expression as a tool of social communication, rest and so on, In details, five elements of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sought were deducted such as ‘speedy response’, ‘acquiring info’,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vity’. Among these, ‘speedy response’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Secondly, four elements of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deducted such as ‘speedy response/social interactivity’,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acquiring info’. Among these, ‘self-expression’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Thirdly, t-test between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sought and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shown that all elements of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higher than gratifications sought. Therefore, smart phone could be the strong and useful medium among audi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social interactivity’. Among these, ‘speedy response’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Secondly, four elements of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deducted such as ‘speedy response/social interactivity’, ‘rest/companion role’, ‘self-expression’, and ‘acquiring info’. Among these, ‘self-expression’ is the most distinguishing factor comparing with internet. Thirdly, t-test between smart phone users’ gratifications sought and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shown that all elements of gratifications obtained were higher than gratifications sought. Therefore, smart phone could be the strong and useful medium among audie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등재

        지역의 독서생태계를 위한 지역서점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연구

        한주리 한국출판학회 2020 한국출판학연구 Vol.46 No.6

        본 연구는 독서문화를 위한 지역서점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지역에서 제정된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와 더불어 20인의 국회의원이 발의한 법률 개정안에서 지역서점과 관련된 부분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생태계의 주요 거점으로서 지역 내 지역서점이 어떻게 변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지 파악하고, 지역 서점 활성화 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16년 서울시 지역서점 활성화 조례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40곳이 넘는 지역자치단체에서 지역서점을 위한 활성화 조례를 제정하고,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지역서점을 위해서 해당 지역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에서 법률 개정을 통해 독서생태계 조성의 거점으로서 지역서점을 고려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서점이 커뮤니티에 제공할 수 있는 강점을 가지고, 이를 지역민과 공유하고 소통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에 대한 독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문화자본이 개인의 논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주리,강태완 한국소통학회 2006 한국소통학보 Vol.5 No.-

        이 연구는 문화자본의 세 가지 하부구성요인인 ‘체화된 문화자본’, ‘객관적 문화자본’, ‘제도화된 문화자본’ 중 어떠한 요인이 논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문화자본의 고저에 따라 논쟁 성향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거주지역에 따른 문화자본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여부도 살펴보았다.분석 결과 국내여행, 독서 권수, 평균수입, 토론경험 및 외국어 의사소통 변인이 논쟁 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으로 도출되었다. 거주지역에 따른 문화자본의 차이에서 객관적 문화자본 및 제도화된 문화자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체화된 상태의 문화자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문화자본의 높고 낮음에 따른 논쟁 성향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문화 소비가 아비투스로 체화되어 논쟁 성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덧붙여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variables of the embodied state cul-tural capital, objectified state cultural capital, and institutionalized state cultural capital which effect on the argumentativeness. Second, after making two groups based on the average point of cultural capital, we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argumentativeness between two groups. We then examined the difference of the argumentativeness between two dif-ferent residential districts.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bles which effect on the argumentative-ness such as number of the domestic trips, number of reading books, aver-age income, debate experience, and foreign language efficiency were drawn. For the residential districts, the objectified state cultural capital, and institutionalized state cultural capital in the Dongbu-echon-dong dis-trict were higher than Hoegi-dong district whereas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embodied state cultural capital. The higher the cultural capitial was, the higher the argumentativeness. This indicates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capital in offsprings' argumentativeness as an arbitus shaped in the fami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thereafter.

      • KCI우수등재

        생성형 인공지능(AI) 창작물에 대한 출판생태계의 저작권 인식

        한주리 인문콘텐츠학회 2023 인문콘텐츠 Vol.- No.71

        본 연구는 최근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AI 활용 창작물에 대한 현황과 관련하여 다양한 출판생태계 참여자의 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출판생태계 내에서 AI 활용 서비스 및 AI 활용 창작물과 관련한 쟁점을 파악하고 분석하였으며, 인터뷰 방법을 활용하여 법적-윤리적 관련 쟁점에 대한 출판생태계의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추가 논의가 필요한 방향 및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생성형 AI 창작물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 저작권 침해 관점과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창작물 인정에 대한 인식, 생성형 AI 창작물의 저작권 인정 범위에 대한 논의 필요성, 정부의 저작권 정책의 변화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향후 인공지능 저작물에 대한 보호 근거를 위해서는 ①생성형 AI 학습에 사용한 저작물의 저작권자, ②인공지능 저작물의 제작에 창적적 기여를 한 인공지능제작자와 서비스 제공자, ③인공지능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작물을 창작한 자로 나누어 구분하고, ④이들의 저작권 권리귀속 배분 등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분석을 통해 향후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I-based creations, which have recently become an issue around the world, and the perception of participants in various publishing ecosystems such as publisher, writer, professors, IT expert, Lawyer, etc. To this end, issues related to AI-based services and AI-based creations within the publishing ecosystem were identified and analyzed, and the direction and plan for further discussion were studied by identifying the publishing ecosystem's perception of legal-ethical issues using interview methods. As a result, the basic perception of generative AI creations, the perception of new types of creations due to copyright infringement perspective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need to discuss the scope of copyright recognition of generative AI creations, and the need to change the government's copyright policy. In order to protect future artificial intelligence works, it was confirmed that in-depth discussions are needed on the distribution of copyright rights by dividing them into copyright holders of works used for generative AI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producers and service providers who made creative contributions to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orks, and those who created work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through various analyses.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