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기반 지능형 서비스 로봇(URC) 프로젝트를 위한 학제간 유비쿼터스 로봇기술 컨버전스 정책

        한정혜(Jeonghye Han),이재연(Jaeyeon Lee),조영조(Youngjo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정보통신부의 주도로 차세대 신성장 동력 산업으로 지능형 로봇 URC 프로젝트의 산업화 성공을 위하여 로봇 요소기술 뿐만 아니라, 컴퓨터과학과 정보통신공학의 IT와 기계공학의 RT를 인체공학, 심리학, 뇌과학, 언어학, 인지과학, 행동학 등의 복합과학적 HRI 연구와 결합하는 학제간 유비쿼터스 로봇기술 컨버전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정책적 육성 전략을 제시하였다. 즉, 복합과학적 HRI연구 인력을 발굴하고 연구지원, 성인보다는 아동과 노인을 대상으로 HRI 현장 실험연구가 다양하게 이루 어지도록 지원, HRI에 기반한 로봇 서비스를 정의하여 국제적 BM특허와 로봇 컨텐츠 표준화, 로봇시장의 확대를 위한 사회학적 HRI 연구와 로봇의 역기능에 대한 HRI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 KCI등재후보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한정혜 ( Jeonghye Han ),김종욱 ( Jong-wook Kim )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21 창의정보문화연구 Vol.7 No.1

        인공지능 국가전략이 발표되면서 인공지능의 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책들이 제안되고 있고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융합교육도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는 각 가정에 판매 및 보급이 되고 있는 실정이고,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 현장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윤리에서 인공지능 스피커가 발생시킬 논란이 될 문제들을 살펴보고, 가정이나 학교에서 인공지능 스피커가 활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딜레마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 딜레마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집단별 도덕적 판단력 수준 측정 MCT(Moral Competence Test)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announcement of the AI national strategy, various policies for AI education are being proposed, and AI convergence education for teachers is actively being promoted. In addition, AI speakers are being sold and distributed to each home, and field studies of educational use of AI speakers have just started. This study examines the controversial problems that AI speakers may cause in AI ethics, and attempts to derive an ethical dilemma that may arise when AI speakers are used at home or at school. This dilemma can be used in the moral competence test (MCT), which measures the level of moral judgment for each group of 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s.

      • KCI등재

        내러티브-종이아트 활동 기반 로봇활용 SW교육 효과성 비교

        손경진,한정혜,Sohn, Kyungjin,Han, JeongHy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8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2 No.4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es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lgorithms, and programming of SW education. The education using robots is one of attractive alternatives for students who have no interest of SW or are poor at programming. We have developed a courseware using robots for SW education based on paper art activities with narrative storytelling to enhance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within limitation of class time in schools. We apply the courseware and obtained the result of pre and post-test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third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four fa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have shown significantly increase. In addition, it had an significant effects for understanding robot technology and for learning attitude using robots of SW or programming. 2015 교육과정에는 SW교육의 문제해결과정, 알고리즘 및 프로그래밍 교육을 포함하고 있는데, 컴퓨터에 능숙하지 않거나 흥미가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직접 만지고 체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로봇활용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로봇활용교육에서 로봇을 제작하는 시간제한을 극복하면서도 창의적 활동을 할 수 있는 내러티브 종이아트 활동을 기반으로 하는 로봇활용 SW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대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의 하위 요소 4가지는 모두 유의미한 상승을 보여주었다. 또한 로봇에 대한 이해력과 학습태도도 유의미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영어 교육용 로봇 콘텐츠 개발 및 적용

        이승민(Lee, Seungmin),한정혜(Han, Jeonghye)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09 영어교과교육 Vol.8 No.2

        Robots are new types of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y can provide a powerful methodology for involving students in an interesting, emotional and authentic learning experience with language used for genuine communicative purposes. They are student-centered, and they take the experience of the classroom out into the world.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the contents of a robot for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and examine their effects in elementary English classes. The content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In the contents, new technologies for language learning, such as voice recognition, face recognition, pattern recognition and video chat were used. Through this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robots can help students acquire basic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give them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confidence and to work together real world environment by interacting with each other.

      • KCI등재

        Is a Robot better than Video for Initiating Remote Social Connections among Children?

        Nuri Kim(김누리),Jeonghye Han(한정혜),WendyJu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4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20 No.5

        Videoconferencing technology is increasingly used in classrooms to introduce children to people from other countries and cultures in order to provide a wider learning experience. However, with traditional screen-based video conferencing technology, research has shown that it is easy for students to miss non-verbal cues that play a key role in developing human relationships. To investigate how children interact differently when their interactions are mediated through screen-based video communication versus robot-mediated communication, we conducted a study with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comparing the use of both technologies to introduce classroom students with peer-aged individuals in America. Our findings show that the children displayed more positive emotions during certain tasks and exhibited more interest and intimacy to remote participants in the context of robot-mediated communication than with video-mediated communication.

      • KCI등재

        모바일기기 활용 초등학교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인지 기반 학습과정 분석

        김현진 ( Hyeonjin Kim ),남광우 ( Kwang Woo Nam ),한정혜 ( Jeonghye Han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5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1 No.3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현장학습은 탐색적이고 맥락적인 학습이 가능하다는 잠재성을 보여주지만, 학습자들이 어떻게 학습을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다. 모바일학습에서 학생들은 교실기반 학습과는 다른 위치기반의 활동과 위치기반의 이해를 한다. 이러한 모바일학습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담화와 비담화활동을 포함하며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분산인지의 틀은 모바일학습 과정을 이해하기에 유용한데, 분산인지에서 학습이란 학생과 인공물을 포함한 다양한 인지주체들 간의 분산된 인지의 공유와 조정의 과정으로 본다. 이 연구는 분산인지 관점에서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의 학습과정을 이해하고자 한 사례연구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1) 인지적 체제로서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된 인지 간의 공유는 어떠한 양상을 보여주는가 2) 모바일기기 활용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된 인지의 공유를 통해 학습의 증거로서 학습자들에게 나타나는 지식의 표상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6개의 모둠으로 구성된 12명의 학생과 교사이며, 각 모둠별 녹화된 비디오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주체간 표상의 공유는 학생-학생-패드(SS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의 증거로서 지식의 표상 내용은 ‘위치의 기술적 이해’와 ‘위치기반 개념의 협력적 이해’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분산인지기반, 학습자 중심 테크놀로지 학습에서 담화와 비담화 분석을 포함한 학습과정 연구 사례가 될 것이며, 관련 학습환경 설계에도 시사점을 줄 것이다. While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presents the potentials for inquiry and contextual learning,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how learners learn in this situation. Mobile learning includes location-based activities and understandings, different from desktop-applied learning, and its learning process can be understood by analyzing both discourse and non-discourse activities. The framework of distributed cognition is useful to analyze mobile learning in that according to distributed cognition, learning is the process of sharing and coordinating representations of participating agents in a cognitive system as a unit of analysis. This analysis enables to understand how mobile devices as artifacts contribute to learning. The current study as a cas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learning processes of the collaborative field-base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Research questions include:1) what aspects are observed when distributed cognition is shared during the collaborative field-based learning with mobile devices as a cognitive system? 2) what are knowledge representations of learners as learning evidence through cognition sharing in the collaborative field trip with mobile device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include twelve 4th graders and a teacher, consisting of 6 groups. A description for recorded videos is a primary data source. In result, sharing representations among student-student-artifact (SSA) indicates highest. The knowledge representations as the evidence of learning include ‘technical understanding of location’ and ‘collaborative understanding of location-based concept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a case of the discourse and non-discourse analysis for learning processes in the distributed cognition, learner-centered, technology learning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design of relevant learning environments.

      • MMDB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상품추천 시스템

        김용기(YongGi Kim),이경희(KyungHee Lee),한정혜(Jeonghye Han),이충세(ChungSei Rhee) 한국정보과학회 200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Ⅲ

        전자상점에서 이루어지는 고객의 구매패턴이 온라인 상에서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이를 통하여 고객의 취향에 맞는 상품을 제공할 수 있는 많은 알고리즘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전자상점에서 고객의 개별특성을 고려한 상품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객정보 데이터베이스와 거래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연관규칙 등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시간의 흐름에 민감한 계절상품이나 특선상품과 같이 전자상점의 거래량에 크게 직결될 수 있는 것 등에도 같은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면 추천성공률이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는 상품추천을 위하여, 최근 전자상점 추천시스템으로 효과적인 아이템 기반 협력알고리즘에 지수적 가중치를 적용하여 추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이러한 추천시스템이 대용량의 고객데이터와 상품데이터에 대한 연산을 수행하고 다수의 고객에게 실시간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하므로 MMDB를 활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