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무의식론에 관한 종교철학적 이해: 『안티 오이디푸스』의 다양체로서의 무의식을 중심으로

        한정헌(Han Jung 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7 신학사상 Vol.0 No.179

        이 논문은 들뢰즈/가타리의 다양체로서의 무의식론에 관한 종교철학적 탐구를 목적으로 한다. 들뢰즈/가타리는 전통적인 일(一)과 다(多)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다양체의 사상가들이라 할 수 있다. 그들에게 무의식 역시 다양체로서 이해되는데, 그것은 곧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성격을 갖는 실재로서의 욕망을 뜻한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안티 오이디푸스』에서 프로이트로 대표되는 오이디푸스 중심의 정신분석을 비판하고, 부분충동과 실재의 관점에서 무의식과 욕망을 재해석하였다. 필자는 이것을 정리하고 종교철학적으로 연관시켜 사유하고자 하였다. 다양체로서의 무의식을 인간 정신의 바탕으로서 상정할 경우 신화, 종교, 문명 등의 발생에 관한 보다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전통적인 서구신학의 한계를 넘어 생성론적 관점에서 기독교신학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하나의 토대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ims at a religious philosophical search for Deleuze-Guattarian theory of the unconscious as the multiplicity. We could call Deleuze and Guattari thinkers of the multiplicity beyond the traditional dichotomy between the one and the many. Likewise, the unconscious, for them, is understood as the multiplicity, which means the desire as the real with positive and productive qualities. In Anti-Oedipus, they criticized the oedipus-centered psychoanalysis represented by Freud, and reinterpreted unconsciousness and desire from the viewpoint of partial instinct and the real. I tried to summarize this and to give a thought to it in a religious philosophical context. The origin of myth, religion, and civilization, ect could be understood more comprehensively and solidly, if we presume the unconscious the ground of human mind. And it is expected that a foundation will be prepared whereby we could surpass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and think afresh of Christian theology from genet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죽재 서남동의 소수자신학 연구

        한정헌(Jung-Hun Ha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7 신학논단 Vol.8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eology of Seo Nam–Dong with the thought of Deleuze/Guattari, and to reconsider his Minjung theology as a minority theology. Seo Nam-Dong tried to overcome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critically and put the minjung as minorities at the center of his thinking, largely on the basis of empiricism, ontology of becoming, and panentheism. In the background of his thought, there is a constant dialogue with various ideas including philosophy of organism and process theology. I noticed that in many of his theological questions, Seo has a considerable affinity with the minority theory of Deleuze/Guattari. Thus I have tried to relate these two reasons — especially focusing on such notions as “confluence of two stories”, “counter theology” and “post theology”, and the theory of Minjung-Mesiah, ect. —and sought for a possibility of “Minority Theology.”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be able to provide a useful viewpoint for creative interpretation and succession of Minjung theology of Seo Nam–Dong. And I hope, as well, the theological interest in the minority, which is becoming in various forms in our society, would continuously be evoked among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theology of Seo Nam–Dong with the thought of Deleuze/Guattari, and to reconsider his Minjung theology as a minority theology. Seo Nam-Dong tried to overcome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critically and put the minjung as minorities at the center of his thinking, largely on the basis of empiricism, ontology of becoming, and panentheism. In the background of his thought, there is a constant dialogue with various ideas including philosophy of organism and process theology. I noticed that in many of his theological questions, Seo has a considerable affinity with the minority theory of Deleuze/Guattari. Thus I have tried to relate these two reasons — especially focusing on such notions as “confluence of two stories”, “counter theology” and “post theology”, and the theory of Minjung-Mesiah, ect. —and sought for a possibility of “Minority Theology.” Through this study, I hope to be able to provide a useful viewpoint for creative interpretation and succession of Minjung theology of Seo Nam–Dong. And I hope, as well, the theological interest in the minority, which is becoming in various forms in our society, would continuously be evoked among us.

      • KCI등재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이해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6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0 No.-

        이 논문은 들뢰즈의 사후 20주년을 기념하여 민중신학적 관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을 재조명하고, 들뢰즈 사상의 민중신학적 전유 가능성, 특별히 소수자신학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민중신학은 1970년대 한국의 당대적 상황에서 생성된 ‘민중’을 증언하고자 ‘반신학’이라는 기획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반신학’이라는 문제제기는 탈서구적, 탈형이상학적, 탈근대적 신학으로의 지향점을 함축하는데, 이것은 최근 위기론이나 무용론 등에 직면한 민중신학이 보편적인 소수자 신학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관점이라 여겨진다. 반신학으로서의 민중신학은 전통 형이상학에 대립하는 생성존재론의 입장에 가까울 뿐 아니라 유물론적이고 외부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런 점에서 들뢰즈의 사상은 민중신학과 많은 부분에서 강도 높은 교차점을 형성하고 있고, 민중신학의 외연을 확장하는 데 있어 매우 유용다고 여겨진다. 들뢰즈는 서구의 전통 형이상학과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인 비판을 바탕으로 대안적인 사유를 전개한 철학자라는 점에서 반신학적 기획에서 출발한 민중신학의 문제의식을 상당부분 공유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니체–베르그손–화이트헤드–하이데거 등으로 이어지는 생성존재론을 계승하는 대표적인 탈구조주의 사상가로서 수많은 개념들을 창안하였다. 그중에서도 들뢰즈가 가타리와 함께 구성한 소수자론은 민중신학에 이미 내포되어 있는 소수자신학의 잠재성을 현실화시켜 줄 수 있는 중요한 통찰들을 제공해줄 것이다. This paper commemorating the 20th anniversary of the death of Deleuze aims to examine the thought of Deleuze from a perspective of Minjung theology seeking for a possibility of minority theology. Minjung theology began as a project of counter–theology in order to testify to Minjung brought into the world in the 1970’s in Korea. The stance of counter–theology suggests its orientation toward a post–Western, post–metaphysical, and post–modern theology. This is an important aspect with which Minjung theology could position itself as a universal minority theology. Minjung theology as a counter–theology not only resembles the ontology of becoming opposed to the traditional metaphysics, but is materialistic and external. In this sense, Deleuze’s thought and Minjung theology intensively cross each other on certain junctures, which leads to extend the outer edges of the latter. As a philosopher who developed an alternative thought on the basis of a radical criticism against the Western traditional metaphysics and modernity, Deleuze shares a lot with Minjung theology began as a counter–theology. He is a prominent post–structuralist who inherited the ontology of becoming after Nietzsche–Bergçon–Whitehead–Heidegger, and has invented a lot of concepts. Among others, the theory of the minority (where Deleuze cooperated with Guattri) would give us an important insight that makes us realize the potential of minority theology already contained in Minjung theology.

      • KCI등재

        들뢰즈 사상에서 본 안병무의 소수자신학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5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6 No.-

        이 논문은 안병무의 민중신학을 들뢰즈(와 가타리) 사상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나아가 양자를 ‘소수자신학’이라는 주제로 상호 연관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들뢰즈의 사상에 입각해 안병무의 오클로스론과 민중메시아론을 다시 읽음으로써 그의 신학을 ‘오늘의 민중신학’으로서의 ‘소수자신학’으로 재규정하고자 한다. 안병무의 신학과 들뢰즈의 사상은 여러 부분에서 강도 높은 교차로를 형성한다. 그중에서도 안병무의 오클로스론과 민중메시아론은 니체?베르그송의 생성존재론을 계승한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존재론의 구도에서 볼 때, 기존의 (동일성과 실체 중심의) 존재론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할 때 노정되는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또한 안병무의 민중메시아론에 함축된 민중의 자기초월, 자기해방, 자기구원 등의 개념들은 들뢰즈의 시간론과 연관될 때 ‘민중의 주체화’ 혹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로 변용 및 확장될 수 있다. 특별히 이 논문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에 천착한다. 다시 말해 ‘민중이란 누구인가?’ 혹은 ‘소수자란 누구인가?’라는 고정된 정체성에 대한 물음보다는 ‘소수자 주체성은 어떻게 (시간과 역사 속에서) 형성되는가?’라는 주체화의 물음에 관심을 둔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들뢰즈의 시간론인 ‘시간의 수동적 종합’을 통해 민중의 주체화 혹은 소수자 주체화의 문제에 접근하고자 한다. 들뢰즈에게 시간론은 곧 주체론(시간론=주체론)으로서, 이것은 시간 속에서 매듭지어지는 주체성의 형성을 뜻하기 때문이다. 이런 시간의 수동적 종합은 개인의 주체성 형성과 관련되지만, 이를 확장해 소위 역사의 종합과 (공통의 사건을 통한) 공통 주체성 혹은 집단 주체성의 형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안병무가 말하는 역사적 주체로서의 민중은 단지 초험적으로 주어지는 주체가 아니라 철저히 시간과 역사, (넓은 의미의) 경험 속에서 형성되는 주체성으로 이해된다. 그것은 민중의 고난이라는 시간적, 역사적 체험을 통한 민중의 자기초월, 자기해방, 민중의 역사적 주체 됨의 과정인 것이다. 이것은 또한 오늘날 다양하게 분기/발산하는(도래할 민중으로서의) 소수자 주체성 형성의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신학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is an article that aims to reinterpret the Ahn Byung?mu’s minjung theology from a Deleuzian(and Deleuzo?Guattarian) point of view, and to link them under a theme, ‘minority theology.’ Rereading the ochlos theory and the minjung messiah theory by Ahn in the light of Deleuze’s thought, I have tried to redefine the theologist’s ‘minority theology’ as the ‘minjung theology of now.’ Ahn’s theology and Deleuzian thought intersect on several points intensively. Above all it could bring the idea of ochlos and of minjung messiah beyond certain limitations reached in the existing ontological perspective?founded upon the identity and the substance?to review them in the scheme of the plane of differentiation of Deleuze, who succeeded the Nietzschean?Bergsonian ontology of becoming. And such notions as the self?transcendence of minjung, self?liberation, self?salvation, ect. can, when linked to the time theory of Deleuze, be transformed and extended into the questions like ‘the subjectivation of minjung’ or ‘the subjectivation of the minority.’ This article pays attention particularly to an issue, the subjectivation of the minority. That is, it is concerned less with the questions on the fixed identity like ‘who is minjung’ or ‘who is the minority’ than with the one on the subjectivation like ‘how would the minority subjectivation be formed (in time and history)?’ The question of the subjectivation of minjung or of the minority can be approached to with the Deleuzian time theory, ‘the passive synthesis of time.’ For Deleuze, a theory of time is a theory of the subject as well, since the former means no other than the formation of subjectivity in time. Though the passive synthesis of time is about to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ubjectivity, it can be extended as well to the so?called synthesis of history, the formation of common subjectivity(with the common event), or collective subjectivity. In this sense, the minjung as a historical subject, asserted by Ahn, can be understood not simply as a subject transcendentally given, but as a subjectivity formed in time, history, and experience(in it’s broadest sense). It grows to be a process of the self?transcendence, self?liberation and becoming historical subject of minjung through the temporal and historical experience of the suffering of minjung. This would also offer a theological standpoint with which we can approach to the question of formation of the minority subjectivity that variously diverges today.

      • KCI등재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서 본 소수자신학 연구

        한정헌(Han Jung H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5

        이 논문은 우리의 시대를 소수자들의 시대로 규정한 들뢰즈/가타리의 관점에 따라 ‘소수자신학’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현대 신학은 서구 근대성의 극한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분기하고 발산하는 소수성/소수자를 신학적으로 읽어낼 책무를 가지고 있다. 그런 시도들은 1960년대 이후 급진적이고 해방적인 성향의 신학들-예컨대 민중신학, 해방신학, 흑인신학, 여성신학, 달릿신학 등-에서 이미 전개된 바 있다. 그것들은 각각 다양한사회·경제·정치적 배경과 맥락 속에서 발생한 고유한 신학들이라는 점에서 불연속적이지만, 동시에 보편적 소수자신학이라는 공통의 지평 위에 놓일 수 있다는 점에서 연속적이다. 소수성/소수자를 신학적 주제/주체로 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통적인 서구 존재론과 근대성의 배경 속에서 형성된 서구 신학에 대한 비판과 극복이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서구 신학은 역사적으로 서구사회의 지배적 척도나 표준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을 뿐 아니라 다수자 중심의 지배체제를 고착화하는 데 일정부분 기여했다는 점에서 비판과 극복의 대상으로서의 ‘다수자 신학’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여 다수성/다수자 중심의 눈길로 쓰인 신학사에 대한 새로운 구성주의적 관점과 더불어 서구 신학에 대한 근본적인 재조명이 필요하다. 소수자 신학이라는 문제 제기를 통해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특별히 자본주의와 국가 장치가 포획을 강화하는 과정에서-발생하는 다양한 방식의 소수자들을 신학적으로 이해할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essay aims to examine the ‘minority theology’ from a Deleuzo-Guattarian point of view who have characterized our age as the one of minorities. To read out the minority ramifying and diffusing in varied forms today while the Western modernity reaching its limits is a sort of responsibility of the contemporary theology. Attempts as such, in fact, have been made since 1960’s by certain branches of radical theology - Minjung theology, liberation theology, black theology, feminist theology, Dalit theology, ect., for example. These theologies are discontinuous each other, each being originated in its own social and ecopolitical background and context, but continuous at the same time as they can be placed on a horizon of the universal minority theology they have in common. To have the minority as one’s theological subject, criticism and overcome of the traditional Western theology with its ontology and modernity are to precede anything else. For the Western theology not only has formed around the dominant criteria or standards of its society, but also played a certain role to fixate its governing system, in that it can be called a ‘majority theology’. Thus we need to basically review the Western theology from a new constructivist perspective. Questioning the matter of minority theology, it is the hope of this essay that it has formed the basis of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various kind of minorities arisen in the modern society-particularly in process of tightening the capture of capitalism and state apparatus.

      • KCI등재

        2016년 촛불집회에 관한 민중신학적 시론

        한정헌(Jung-Hun Han)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4 No.-

        이 논문은 2016년 10월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촛불집회에 관한 민중신학적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매주 전국적으로 열린 대규모 촛불집회에서 촛불의 ‘광장’은 단지 물리적 공간이 아닌 타인들과의 ‘마주침의 장소’였다. 그리고 그 마주침에 따른 감응과 공감의 형성으로부터 민중적 주체화가 발생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문제의식은 에마뉘엘 레비나스와 질 들뢰즈의 ‘타자와의 마주침’의 사유를 통해 이해할 때 더욱 분명해진다. 두 사상가는 서구 철학의 전체성과 동일자 중심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넘어서는 가운데 타자 이론에 대한 중요한 통찰들을 남긴 바 있다. 필자는 그로부터 얻은 개념적 이해를 민중신학과 연결시켜 촛불집회에 대해 사유하고자 하였다. 그 관점에 따라 이번 촛불집회를 강도 높은 ‘민중사건’으로 규정하였고, 촛불광장에서 새로운 민중의 탄생과 맞물려 촛불의 무수한 증식이 이뤄짐으로써 혁명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고 보았다. 이 논문은 촛불집회에 관한 민중신학적 연구이기도 하고, 동시에 레비나스와 들뢰즈의 사유를 통한 민중신학의 새로운 모색이기도 하다. 앞으로 우리 시대에 적합한 민중신학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필요성이 환기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at an Minjung theological understanding on candle rallies in Korea starting in October 2016. At a large candle gathering held nationwide every week, the “plaza” full of candles has not simply been a physical space, but also a place of “encounter” with others. And what is worthy of notice is the fact that a certain popular subjectivation has occurred from the forming of affection and sympathy, following the encounter. The state of affairs becomes clearer when viewed through the Emmanuel Levinas’ and Gille Deleuze’s thought of encounter with the other. Both thinkers have left important insights on the theory of the other, trying to overcome the Western philosophy’s way of thinking centering on the totality and the same. I connecte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btained from it with Minjung theology and tried to think about those candlelight rallies. Based on that viewpoint, this candle gathering could be defined as a “minjung event” of high intensity, which could exercise a revolutionary power when being coincided with the birth of a new crowd at the candle square. This is a new exploration of the Minjung theology through the thoughts of Levinas and Deleuze, as well as a Minjung theological study on candle rallies. I hope that the sustained interest and necessity for the study of Minjung theology suitable for our time will be evoked.

      • 반사경 및 배열 구조에 따른 자연채광 연구

        한정헌(HAN Jung-Hun),류성찬(Ryu Seong-Chan),윤준호(Yoon Jun-Ho),김정환(Kin Jung Hwan),김번중(Kim Bun-Jung),박선규(Park Sun-Kyu) 한국태양에너지학회 2010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1

        The Solar Daylighting is the highly efficient and key technology for the green lighting and heat energy. It can be used in many industrial and residential facilities as the reusable energy and no waste generated. In this study, the ray tracing simulat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hapes of different reflectors for the daylighting. Using Trace Pro program, at the time of the autumnal equinox and the winter solstice at fixed hours. As a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 linear arrangement of reflectors can be one of the useful and applicable daylighting method for the shaded area solar lighting in the aspects of illumination and heating area and hours of daylighting.

      •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유연한 비단실 동적 해석

        한정헌(Jung-Hun Han),주원구(Won-Gu Joo)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In this paper, dynamics of flexible filament is performed with co-rotat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This flexible filament model, which is flexible structure in famous FSI(Fluid-Structure Interaction) experimental study, has tiny values of E(Young's modulus) and I(moment of inertia). The first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develop inhouse code that will be able to perform numerical simulation of FSI coupling with commercial CFD code. The second purpose is exact analysis of flexible filament when diverse external forces is loaded. The result of research displays that above purposes is well accomp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