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본심리욕구와 학습참여가 대학생의 창의적 인재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윤영(Han, Yunyoung),김은경(Kim, E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특성을 포함하는 창의적 인재 역량에 기본심리욕구와 학습참여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응답한 1,230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간 정적 상관관계를 충족하였으며,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와 학습참여가 창의적 인재역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본 심리욕구와 학습참여가 인지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적 특성의 순으로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보고하였고, 하위 변인들도 창의적 인재 역량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특성을 포함하는 창의적 인재 역량 증진을 위해서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에서 유능감, 자율성, 관계성 모두가 고려된 적극적인 학습참여를 위한 교육환경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importance of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creative leader competencies is being emphasized due to changes in competency based curriculum.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 and student engagement on creative leader competency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social characteristics. 1,230 student data from S university were analyzed be conducting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learners and student engagement have been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creative leader competency.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learners and student engagement have reported relatively great influence in the order of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creative leader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learner 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tudent engagement significantly affect the creative leader competency corresponding to dach characteristic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for active participation with considering learner s basic psychological needs such as competence, autonomy, and relatedness in order to enhance creative leader competency.

      • KCI등재

        창의적 문제발견 능력 측정을 위한 언어, 수, 도형의 재구조화 연합검사 개발 및 타당화

        한윤영(Han, YunYou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3

        이 연구는 기존의 확산적 사고 측정방법으로 문제발견능력을 측정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통찰적 사고 기제인 재구조화를 활용한 대안적 문제발견능력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문제발견을 통찰적 사고의 기제인 재구조화로 설명하는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근거로 문제발견 능력 문항을 개발하고, 내․외적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내적 타당성을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n=350), 본조사(n=683)의 자료로 요인분석을 활용하여 언어, 수, 도형 세 요인으로 구성된 문제발견 능력검사의 구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외적 타당성을 위해 기존의 공인된 문제발견 능력검사 K-RAT 와의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수렴 타당성을 검증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분석문제와는 구분될 수 있는 인지능력변인들의 설명력 검증을 통해 수렴적 사고와 확산적 사고 모두를 요구하는 문제발견 능력의 변별 타당성을 검증하 였다. 이 연구는 창의적 문제발견 능력을 통찰적 사고의 기제인 재구조화로 재해석하고 구체 화하였다는 점에서 문제발견 연구범위를 확장함과 동시에 그 차별적 가치를 지닌다. This research raised the problem of measuring the problem finding ability by using the existing divergent thinking measurement method and developed and validated the alternative problem finding ability test utilizing the restructuring which is the insight thinking mechanism. Based on the theoretical and empirical studies that problem finding can be explained by insightful thinking, we developed problem finding measurement items and verified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For internal validity, the validity of the test for the problem finding ability test consisting of three factors of language, number, and figure was verified by using the factor analysis as the data of the preliminary survey (n = 350) and the main survey (n = 683). For external validity, the validity of the convergence validity is examined by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existing authorized problem finding test K-RAT and to test the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problem finding as an insight problem requiring both convergent thinking and divergent thinking,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explanatory power of cognitive ability variables. This research extends the scope of problem finding research and has its discriminative value in that it reinterprets and realize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restructuring which is the basis of insight thinking.

      • KCI등재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윤영(Han, Yunyoung),김은경(Kim, Eun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학습자 중심의 수업은 학생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혁신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이 학습자 중심 패러다임으로 변화하는 흐름에 따라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교수학습목표, 교수학습활동, 교수자태도로 구성되는 3요인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 모형을 설정하고, S 대학교 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판별분석, 신뢰도 분석을 활용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의 내·외적 타당성을 확보하고 신뢰로운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는 교수자들에게 어떻게 수업을 조성했는가를 인식하게 하는 지침이 될 수 있으며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importance of creating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s being emphasized in educational innovation to foster the college student competency.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in university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trend of university education into a learner-centered paradigm. The three elements of the instruction goal, teaching learning activity, and teacher attitude are set up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317 student data from S university were analyzed be conducting exploratory, confirmed factor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discriminative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internal and external validity of the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was verified.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can be a guide for professors to recognize how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was created and will contribute to creating a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in university. The practical uses of learner centered instruction scale were discussed.

      • KCI등재

        다문화가족 자녀 교육과 돌봄을 위한 다문화 지원 관련법 연구 - 지방자치단체(충청남도) 교육조례를 중심으로 -

        박현식(Park, Hyunsik),한윤영(Han,Yunyoung),박지현(Park, Jihyun) 한국지역사회학회 2021 지역사회연구 Vol.29 No.4

        한국사회는 다문화 인구의 꾸준한 증가로 중앙 정부차원에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제정하였다. 중앙정부 부처별로 다문화가족 아동, 청소년의 적용 범위(교육법, 아동복지법, 청소년복지법)가 다르며 다문화가족 지원법을 근거한 다문화가족 아동 청소년 교육 돌봄 사업은 중앙정부 부처(部處)간의 조정, 조율 없이 정책이 집행되고 있다. 중앙정부의 지침, 사업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적 상황과 이주배경을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다부처가 동일 대상인 다문화가족 청소년에게 지원정책을 추진 중이므로 각 부서별로 사업의 중복, 유사 여부를 판단하고자 하였다. 조례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에서 검색된 충청남도를 비롯한 전국 광역의 다문화가족교육지원 조례를 비교 범위로 설정하였다. 충청남도와 타 권역 다문화가족교육지원조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오세민 외(2014)가 제시한 조례 분석틀인 규범적 체계와 실효성 체계를 고려하였다. 연구결과, 충청남도 다문화 교육진흥에 관한 조례에 관해 타 광역의 조례와의 비교를 통해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조례의 규범적 체계와 실효성 체계를 고려하여 조례의 제정 목적이 단순한 교육 지원보다 교육의 질 향상, 사회통합 등으로 확대되고, 지원 학생의 범위, 교육감의 책무, 기본계획 수립 방향, 다문화교육 지원센터의 업무 등이 충남 내 다문화가족 학생에게 실질적인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개정안을 제언하였다. With the steady increase of the multicultural population, Korean society established policies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and enacted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to implement them. Until now,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hildren and youths of multicultural families (Education Act, Child Welfare Act, and Youth Welfare Act) differs by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 According to the Multicultural Families Support Act, the education and car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being implemented without coordination or coordination among the central government depart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guidelines and projects, local governments are performing uniform projects without considering the local situation and migration background. As multi-ministerial governments are promoting support policies for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are the same target, it was attempted to determine whether the projects were duplicated or similar for each department.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ordinances,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support ordinances found in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 (http://www.law.go.kr), including Chungcheongnam-do, were set as the scope of comparison.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support ordinances in Chungcheongnam-do and other regions, the normative system and effectiveness system, which are the ordinance analysis frameworks suggested by Oh Se-min et al. (2014), were consider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olicy based on the ordinance and the delivery system, improvement plans were prepared by comparing the ordinance on the promo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ungcheongnam-do with other regional ordinances. Considering the normative system and effectiveness system of the ordinance, the purpose of enactment of the ordinance is expa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rather than simple educational support, and the scope of students to be supported, the responsibilities of the superintendent, the direction of establishment of the basic plan,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Center Proposed amendments to provide practical support to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Chungcheongnam-do.

      • KCI등재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 분석

        차봉준(Cha Bong-Jun),한윤영(Han Yunyo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이 논문은 S대학이 교양필수로 개설하고 있는 글쓰기 교과목의 수업 효과성 검증을 통해 해당 교과목이 재학생들의 의사소통역량 함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에 목적을 두었다. 특히 S대학의 글쓰기 교과목은 이론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비교과 활동을 연계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S대학 글쓰기 교육의 수업 효과성에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나게 한 원인 분석을 위해 S대학 글쓰기 교육과정의 구성상 특성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와 연계하여 수업 효과성을 조사하기 위해 활용한 진단도구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함께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를 순차적으로 분석 제시하였다. 특히 의사소통 수업 효과성에 대한 분석은 기본역량과 특수역량의 두 범주로 나누어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을 비교 검증함으로써 향후 해당 교과목의 개선을 위한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대학의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전체평균은 2.14점이었으며, 특수역량 전체평균은 2.80으로 특수역량이 기본역량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S대학 글쓰기 교과목의 의사소통역량 효과성을 평가해 볼 때 해당 교과과정은 재학생들의 의사소통 역량증진에 의미 있는 효과를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의사소통의 기본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이해(△M=.25)와 특수역량 중 상대적으로 낮은 효과성을 보인 동기(△M=.15) 부분에 대한 증진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아울러 계열별 효과성 분석 결과, 법학계열의 의사소통 역량 증진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계열별 특성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교재개발에 대한 학문적 논의가 요구된다. 그리고 글쓰기 교과가 실용적 측면에서의 직업인을 양성하는 교육목표는 달성하지만, 자아 성찰적 성장을 통해 인성을 함양하는 전인교육의 차원은 반영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는데, 교육 내용인 글쓰기 주제 측면에서도 깊이 있는 고민과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ims to confirm how the writing courses that is S university requirement classes to students in liberal arts courses affect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courses. In particular, the writing courses are characterized by rather linking various Extracurricular programs than conducting theory-centered practices. This paper first examines structural uniqueness of the writing courses and operation of extracurricular programs in order to figure out the causes that mad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courses. Then, it introduces a brief introduction to the diagnostic tools used to investigate their effectiveness, and explores the research methods and results sequentially. Specifically, the analysis on their effectiveness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basic competency and special competency. At last, this study is concluded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to find directions and alternative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future. The findings shows that the special competenc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basic one(total average of special competency: 2.80/ total average of basic competency; 2.14). The findings can be interpreted that the curriculum has an effect on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Meanwhile, the findings require to improve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understanding in basic communication competency(△M=.251) and the relatively less effective motivation in special ones(△M=.147). Furthermore, the singularity is that the law department shows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firstly suggests that academic discussions on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development suitable for each department be required. Second, the writing curriculum should be improved for students‘ self-reflection growth with various topic and composition in order to achieve their multi-layered goal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학 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

        차봉준(BongJun Cha),김은경(EunKyung Kim),한윤영(YunYoung Ha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지난 10년 동안 두 배 가까운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대학 입학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 연구에 목적을 두었다. 한류열풍과 함께 정부 주도의 세계화 정책, 그리고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 자체의 위기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이유로 국내대학의 유학생 증가는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반면에 이들을 제대로 교육할 교육과정의 체계는 여전히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낯선 문화적 환경에 그대로 노출된 유학생들에게 대학생활 적응과 학습성과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은 대학생활의 성패를 좌우한다는 1학년 시기에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중요성을 지닌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으로 다음의 세 가지 주제를 담은 모듈을 제안하였다. 첫째 유학생이 입학한 대학에서 제공하는 각종 학습활동 자원을 소개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육 모듈, 둘째 한국문화의 특수성을 비롯한 대학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문화적 충돌을 극복하고 해결하는 교육 모듈,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는 대학 학업의 수월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어를 활용한 보고서 작성의 방법과 실례에 대한 교육 모듈이 그것이다. 또한 이러한 교육 모듈을 학생들에게 제공한 결과에 따른 만족도 분석을 통해 개선 방향을 점검하고 제언함으로써 유학생 대상 대학생활 적응 프로그램의 고도화를 위한 초석을 제공함에 의미를 두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admiss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to domestic universities, which has almost doubled over the past ten year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domestic universiti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Wave of Korean Culture, the government led globalization policy, and the sense of crisis in the university itself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proper curriculum system to educate such students still has problems. In particular, programs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first year, such as those pertaining to students adapting to college life and those promoting academic capability, are crucial because the first year determines the success or failure of college life sinc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 unfamiliar cultural environment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module containing the following three themes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program: the module that introduces various learning resources provided by the university where international students are enrolled and which they can learn how to use more effectively; the module that overcomes and resolves cultural conflic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niversity culture including the peculiarities of Korean culture; and the module concerning the methods and examples of report writing using Korean to increase the excellence of university studi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e university life adaptation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by checking and suggesting improvement directions through satisfac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oviding these educational modules to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