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분체 반응성 위험물의 발화감도 및 폭발압력

        한우섭,이근원 한국화재감식학회 2014 한국화재감식학회 학회지 Vol.5 No.2

        The measurement of explosion hazard parameters using materials of serious explosion incidents has been examined experimentally such as maximum explosion pressure rise, thermal composition, ignition sensitivity of impact and friction. For this purpose, three different samples of benzoyl peroxide 97%, phthalic anhydride and 1- hydroxybenzotriazol were used and experimental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by using DSC, Pressure vessel tester, BAM fall hammer tester, BAM friction tester and 20L explosion chamber. As the results, from the results of DSC , the ignition temperature of BPO and 1-Hydroxybenzotriazol were observed at 107.07℃ and 209.14℃, respectively. And it was found that the heat sensitivity and explosion pressure of 1-Hydroxybenzotriazol was very high.

      • KCI등재

        식료품 분진의 발화 및 폭발 위험성

        한우섭,Han, Ou-Sup 한국화학공학회 2017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5 No.5

        식료품 가공 산업에서 분진폭발사고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배관이나 장치 내의 화염전파에 의한 폭발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다양한 분체특성으로 인하여 활용 가능한 화재폭발특성자료가 적다는 문제가 있다. 사고발생 빈도가 높고 사회적 수요가 많은 설탕, 옥수수, 밀가루의 발화 위험성과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설탕, 옥수수, 밀가루 분진의 평균입경은 27.56, 14.76, $138.5{\mu}m$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체조건에서 열중량분석(TGA) 및 시차주사열량계(DSC)를 사용하여 발화온도를 조사하였다. 최대폭발압력($P_m$) 및 폭발지수는($K_{st}$) 각각 7.6, 7.6, 6.1 bar 및 153, 133, 61 [$m{\cdot}bar/s$]로서 분진폭발 위험성은 설탕이 가장 높고 밀가루가 가장 작았다. 또한 분진폭발 시의 화염전파로 인한 피해확대 위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진화염전파의 소요시간을 계산하였으며 화염전파로 인한 폭발피해 위험성은 설탕, 밀가루, 옥수수 분진의 순으로 높았다. Severe dust explosions occurred frequently in food processing industries and explosion damage increase by flame propagation in pipes or plants. However there are few fire explosion data available due to various powder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ignition and explosion on sugar, cornstarch and flour dust with high frequency accidents and high social demand. The measurements showed the median diameter of 27.56, 14.76, $138.5{\mu}m$ and ignition temperature has been investigated using by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 maximum explosion pressure ($P_m$) and dust explosion index ($K_{st}$) of sugar, cornstarch and flour are 7.6, 7.6, 6.1 bar and 153, 133, 61 [$m{\cdot}bar/s$], respectively. The flame propagation time in duct was calcul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damage increase due to flame propagation during dust explosion. The explosion hazard increase due to flame propagation was higher in the order of sugar, flour and cornstarch dus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암묵적 코기토(Cogito tacite)는 결국 포기되어야 하는가?: 근원적 통사로서의 몸짓의 함의

        한우섭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0 No.-

        In th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of language in Merleau-Ponty, the notion of tacit Cogito is like a sore finger. Because it is the most fundamental concept that supports its originality of the phenomenology of language, and at the same time the concept that makes it admit its phenomenological limit of language that it could not overcome. So, it is true that the tacit cogito is at the same time a concept which confers the greatest implication on its phenomenology of language, which has remained as the greatest obstacle to the synthesis of its phenomenological points of view of language. In this text, we attempt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concept of tacit cogito by examin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n the formation of the tacit cogito language that Merleau-Ponty would like to emphasize. It is a task that resolves the contradiction of the tacit cogito, that is, the situation of the tacit cogito which must be explained in the dimension of consciousness, as long as it is called 'cogito', although the passive dimension must be underlined by the adjective 'tacit'. To resolve this contradiction, we presuppose that the tacit cogito which is self-awareness in the pre-conscious dimension can be explained in the dimension of consciousness. From our point of view, the reason this presupposition is made possible is because we believe that the structure of the bodily recognition is not removed from the structure of conscious recognition, but is continual, and that the consciousness is working implicitly at the level of perception more deeply than our thoughts. It seems that the syntax of the gesture rationalizes this presupposition. If our argument is justified, Merleau-Ponty's confession of the limits of the tacit cogito concerning thought, especially language, and its notions of 'vertical cogito' and 'vertical speech' which are introduced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tacit cogito means so that he had not escaped the constraints of the dimension of consciousness. 메를로-퐁티의 언어현상학적 관점에서 그가 주장한 ‘암묵적 코기토(cigito tacite)’라는 개념은 하나의 아픈 손가락과도 같은 개념이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그 개념은 그의 언어 현상학의 독창성을 떠받치는 가장 근원적인 개념임과 동시에 그로 하여금 그가 결국 넘어서지 못했던 언어 현상학의 한계를 자인하게 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암묵적 코기토’라는 개념은 메를로-퐁티의 언어 현상학에 있어 가장 큰 함의를 전해주는 개념임과 동시에 그의 언어 현상학적 시각의 종합에 있어 가장 커다란 장애로 남게 되는 개념이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메를로-퐁티가 기술하고자 했던 암묵적 코기토의 언어 형성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직시하면서 그 개념을 일단의 한계 상황으로부터 구출해보고자 한다. 다시 말해, 우리는 메를로-퐁티로 하여금 언어가 불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알려주지만, 어떻게 가능한지를 말해주지 못한다고 자인하게끔 했던 암묵적 코기토의 문제를 기술하고 이를 극복할 방안을 모색해 볼 것이다. 그것은 ‘암묵적’이라는 형용사에 의해 선-의식적인 상황이 강조되지만, 동시에 ‘코기토’라고 명명되는 한 의식적 차원 속에서 설명되어야 하는 암묵적 코기토의 모순적 상황을 해결해야 하는 작업이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전제를 설정한다. 선-의식적 차원의 자기 인식적 존재인 암묵적 코기토가 의식의 차원 속에서 설명될 수 있다면 그것은 신체적 인식 행위의 구조는 의식의 인식 행위의 구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양자는 서로 동일한, 적어도 유사한 구조의 형태를 띠거나, 의식은 암묵적으로 작용하기 위해 우리의 생각보다, 혹은 메를로-퐁티가 생각했던 것 보다 한층 더 심층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것이다. 몸짓의 통사론은 이러한 전제를 합리화하며 따라서 사유, 특히 언어와의 관계에 있어서의 암묵적 코기토의 한계에 대한 메를로-퐁티의 고백, 그리고 그러한 한계 상황의 돌파를 위해 도입된 ‘수직적 코기토(cogito vertical)’ 혹은 ‘수직적 말(parole verticale)’의 개념은 그가 언어에 있어서의 의식적 차원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