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야시선(朝野詩選)』의 편제와 특성

        한영규 ( Han Younggyu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조야시선』은 역관 출신 李琦(1856~1935)가 1920년경에 편집한 한국 한시선집이다. 19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비교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인 233명의 시 1천여 수를 선발해 놓았다. 이 한시선집은 『풍요삼선』(1857) 이후 활동한 중인층 문인의 시가 다수 실려있고, 또 윤희구 등 20세기까지 활약한 시인의 작품이 대거 담겼다는 점에서, 한국한시의 마지막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조야시선』의 편자 이기는 漢學 역과에 합격한 역관으로, 1870년대 서울의 유력한 두 詩社에서 핵심 성원으로 참여하였다. 즉 강위의 六橋詩社와 이건창의 南村詩社에서 이기는 강위·김택영 등 19세기 중반 이래의 저명한 시인들과 깊이 교유하였다. 또한 1910년대 정만조·박한영 등 20여 명이 참여한 珊碧詩社에도 핵심 성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논문의 작성 과정에서 새로 발굴한 이기의 문집 『소화관집』을 통해서, 이기의 이러한 교유 양상이 확인된다. 『조야시선』 편제에서 가장 주목할 특징은 편자 이기가 직접 교유했던 육교시사, 남촌시사, 산벽시사의 동인들이 시가 대거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10수 이상의 시를 뽑아 특별히 부각시킨 강위·황현·김택영·성혜영·윤희구 등은 모두 이기와 직접적으로 교유한 인물들이었다. 즉 『조야시선』은 편자 자신이 경험한 자기 시대의 시를 주로 선발한 것이다. 즉 『조야시선』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의 당대성이 담긴 한시선집이라는 성격을 지녔다. 『조야시선』에 김병선·김택영 등 기존의 한시선집에 실리지 않았던 시인의 시가 대거 수록된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1918년에 편찬된 장지연의 『대동시선』에는 2천여 명의 역대 시인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었는데, 『조야시선』에는 『대동시선』에 실리지 않은 58명의 시 250여 수가 새롭게 실렸다. 이는 『조야시선』 전체의 25%에 달하는 수치로,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인을 특별히 부각시키려한 편자 이기의 의도라고 판단된다. Joyashiseon is an anthology of Sino-Korean poetry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edited by Lee Ki (李琦), a former translator in Joseon between 1920~1922. It selected a thousand poems from 233 poets who were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between the first half of 19<sup>th</sup> century and the late 20<sup>th</sup> century. In a point that this Sino-Korean anthology contains a number of poems of middle class literary men who were active after Pungyosamseon (1857), and that it has a large number of works from poets who were active until the 20<sup>th</sup> century including Yun Hee-gu, etc., it is an important material to confirm the last aspects of Sino -Korean poetry. Lee Ki (1856~1935), the editor of Joyashiseon was a translator who passed a national examination of Sino-Korean translation, and participated in two influential poetry works in Seoul as a core member. That is to say, in Kang Wi`s Yukgyoshisa and Lee Geon-chang`s Namchonshisa, he had deeply associated with contemporary prominent poets including Kang Wi and Kim Taek-yeong, etc. since the mid 19<sup>th</sup> century. Also, he participated in Sanbyeokshisa (珊碧詩社) which over 20 poets including Jeong Man-jo and Park Han-yeong, etc. in 1910s. Through Lee Ki`s own collection of works, Sohwagwanjip (紹華館集) newly found from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paper, his social intercourse patterns were confirmed. The most notable feature in the editing formation of Joyashiseon is that there are a number of poems from his associates such as Yukgyoshisa, Namchonshisa, and Sanbyeokshisa that he directly associated with. He deliberately selected and specially stood out 10 or more poems from All including Kang Wi, Hwang Hyeon, Kim Taek-yeong, Seong Hye-yeong, Yun-hee-gu, etc. with whom Lee Ki directly associated. That is to say, for Joyashiseon, the editor, himself mainly selected those poems at the time he experienced. In other words, Joyashiseon has the character containing the contemporaneity (當代性) betwee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and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Joyashiseon is that it contains a lot of poems of poets including Kim Byeong-seon and Kim Taek-yeong, etc. that were not introduced to the established anthologies. Daedongshiseon edited by Jang Jiyeon in 1918 collected a comprehensive works of two thousands of poets at the time, but Joyashiseon collected 250 poems from 58 poets that were not included in Daedongshiseon. As it is 25% of the total Joyashiseon, it seems that the editor Lee Ki`s intended to specially stand out new poets who were not noted at the time.

      • KCI등재

        儒家 아비투스의 상대화와 근대적 문장관의 출현

        한영규(Han, Younggy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2 동양한문학연구 Vol.35 No.-

        1934년대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가 출간되면서 이건창ㆍ황현ㆍ김택영 이후로 한문학은 완전히 종말을 고했다고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식민지시기에 창작된 한문문장은 여전히 문학사와 연구자의 사각지대에 머물러 있는 형편이다. 그러나 식민지 근대 내부에서 여전히 자기의 생존공간을 지닌 채 활발히 한문문장을 산출하는 문사들이 존재했다. 1924~25년에 김택영과 성순영이 변영만의 문장을 놓고 쓴 상이한 비평문에는, 이 시기 한문문장의 지향과 관련하여 여러 의제가 각축하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논문은 1920년대에 한문글쓰기의 지향을 놓고 벌어진 제 문제 가운데, 특히 유가 아비투스를 놓고 벌어진 조긍섭과 변영만의 논쟁에 대해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한문 문장이 근대와 대면하여, 어떻게 당대성을 획득해 나가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다. 심재와 산강이 주고받은 편지를 살펴보면, 두 문장가 사이에 적지 않은 갈등과 불일치가 발견된다. 이는 당대의 한문 문장을 지향을 놓고 벌어진 매우 중요한 노선 투쟁이기도 했다. 산강은 심재에게 보낸 편지에서 서양의 崇美 高華한 문장과 沈博 壯麗한 작품이 결국 동양의 深味 奧趣가 있는 글에는 못 미친다고 하면서, 동서를 회통한 시각에서의 새로운 한문문장을 지으려고 한다는 포부를 밝혔다. 산강은 이를 ‘한학을 새롭게 해석하여 세상에 널리 펴고자 한다.’는 말로 요약했다. 그러나 심재는 이런 제안에 반대하였다. 심재가 동의할 수 없었던 이유 중의 가장 핵심적인 사안은 묵자에 대한 산강의 경도에 있었다. 심재는 묵자를 ‘성인’으로 이해하는 것에 동의할 수 없었으며, 이를 양계초ㆍ장병린의 견해를 묵수한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산강의 묵자 이해는 동양의 전통을 동서양 회통적 사유 속에서 재발견하자는 의미를 지녔다. 산강은 묵자가 지닌 박애주의적이며 사회주의적인 측면을 매우 높이 인정하였고, 이 점을 활용해 새로운 한문 글쓰기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한문으로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하려면 무엇보다 유가적 아비투스를 상대화 시켜야 했다. 산강은 공자를 ‘유일한 聖人’이 아니라 ‘하나의 聖人’으로 인식해야 했다. 이 지점에서 심재와 산강은 충돌했다. 산강이 “진정한 문인이란 부유한 無家者라야 한다.”고 선언했듯이, 동양적 전통과 서양의 신지식을 이해하고 이를 다시 異化하고 상대화하는 無家者의 길을 가고자 했다. 이 지점에서 근대적 질서에 대응한 새로운 근대적 문장관이 탄생했다고 판단된다. 1920년대에는 한문 문장과 지향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논쟁이 벌어졌다. 김택영은 윤희구와 정인보의 문장에 기대를 걸었으며, 조긍섭은 유가적 전통을 고집하는 소위 동성파 글쓰기의 조선적 구현을 여전히 염두에 두고 있었다. 변영만은 유가적 전통을 상대화하면서 동서를 회통하는 새로운 한문글쓰기를 주장하고 추구하였다. 변영만의 동서 회통의 한문글쓰기와 정인보의 實心實學의 한문글쓰기는 1920년대 이후에 근대적 한문글 쓰기로 나름의 생존 공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요컨대 유구한 전통을 지닌 한문글쓰기는 근대적 충격과 근대적 질서 속에서 내부 경쟁과 자기 갱신을 통해 근대적 글쓰기로서 차츰 전환하고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intensively explores the debate between Geung-seop Jo and Yeongman Byeon aboutadhering to Confucian Habitus, among other issues addressed with respect to the orientation of writing in Chinese classic. Considerable conflicts and disagreement are found from the letters between the two writers. These also constituted a very important line struggle around the orientation of the contemporary sentences in Chinese classic. In a letter to Jo, Byeon even a splendid Western text does not parallel a profound Oriental writing. Thus, Byeon revealed his ambition to compose Chinese classic sentences in novel forms from a thorough view of Oriental and Western literature. He summarizes this into a sentence ‘I would like to unfold Chinese classic studies for the world by newly interpreting them.’ Then, he asked Jo to join him with his plan. However, Jo opposed to this proposal. The core reason why Jo did not agree lay in Byeon’s bias toward Mozi. Byeon tried to relativize Confucian Habitus. He recognized Confucius not as the ‘only saint,’ but ‘one saint.’ At this point was born a new early modern view of sentences. Chinese classic writing, with a long tradition, was progressively shifting to early modern writing via competition and self-reforms among internal powers in the early modern shock and modern order.

      • KCI등재

        여항문인 申光絢이 기록한 19세기의 풍속과 노래

        한영규(Han, Younggy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19세기 여항문인 신광현이 정지윤·조수삼·조희룡 등에 견주어, 독특한 시각을 가지고 민간 풍속을 포착하고 기록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 다. 신광현은 기존체제의 언어와 관습과 다른 시각에서 당대의 풍속과 인간을 기술했다. 특히 그는 민간의 구어문화에서 발원하는 속담·노래·이야기 등에 주로 초점을 맞췄다. 그 결과 향촌의 創聞異蹟이 새롭게 의미가 부여 되었고, 또 「시집살이 노래」와 같은 여성의 질고를 표현한 우리말 노래들이 정밀하게 한역되기도 했다. 신광현은 민간의 노래를 한역하고 해설하면서 ‘採風君子’라는 표현을 썼는데, 이는 스스로를 지칭하는 말이었다. 신광현이 시정의 노래를 채록하는 시선에는 경세적 의도가 개입되어 있지 않았다. 조수삼이 󰡔추재기이󰡕를 쓰는 태도에는 기록자[혹은 채록자]와 시정 풍속 간에 일정한 위계와 거리가 존재했다. 그러나 신광현이 당대 풍속을 기술할 때에는 이러한 위계와 거리감이 존재하지 않았다. 신광현이 세간의 풍속과 街談巷語를 진지한 자세로 채록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향으로만 나아간 것은 아니었다. 민간 풍속을 바라보는 신광현의 관찰과 시선은 산만하고 무질서한 모습을 띠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경중을 고려하지 않은 만화경적 나열이 유발되기도 했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Shin Gwang-hyeon, a Jungin-class literary man in the 19 th century took notice on and documented folk customs from a unique perspective in contrast to the existing customs. In particular, Shin took novel notice on proverbs, songs, and stories originating from oral folk culture. As a result, folk customs and stories were newly lifted. Also, Korean songs expressing female fetters like Sijpsari Norae were translated into Classic Chinese. Shin used the expression Chae Pung Gunja, an ‘intellectual who translates folk songs into Classic Chinese, explains them, and collects folk customs, which referred to him. There was no intervention of his enlightening will in his perspective from which he collected folk songs. In Jo Su-sam’s attitude with which he wrote Chu Jae Gi-I, a certain hierarchy and distance existed between the recorder (or a collector) and common customs. There however were no such hierarchy and distance in Shin’s description of customs at that time. Shin Gwang-hyeon however did not go in the direction in which he collected worldly customs and folk proverbs and songs seriously and assigned meanings to them. His observation of and look at folk customs were often loose and disordered in a sense. He thus just made a kaleidoscopic list of things without considering their relative weights.

      • KCI등재

        동아시아학술원 20년의 고전학 연구 성과

        韓榮奎 ( Han¸ Young-gyu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2 No.-

        2000년 3월,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의 설립과 출범은 한국 근대 대학의 역사에서 하나의 의미 있는 ‘사건’이었다. 그것은 분과 학문으로 고착된 한국 대학제도의 오래된 장벽을 허물고 ‘동아시아’라는 21세기의 새로운 화두를 대학이라는 제도 내부에서 집중적으로 문제제기하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특히 그러하다. 이 글에서는 동아시아학술원의 연구 성과 가운데 주로 고전학, 고전문학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영인본, 자료집, 학술회의, 학술논문, 학술저서, 연구과제 수주 등의 사안을 정리하며 지난 20년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아울러 향후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간단한 제언을 덧붙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 성과에 대한 평가는 자제하고, 지난 업적을 연대기적으로 서술하는데 주력했다. 동아시학술원이 지난 20년 동안 고전학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둔 것은 임형택, 김시업, 신승운, 진재교, 안대회, 김영진 등 문헌과 고전에 밝은 연구자들이 리더십과 협업을 발휘한 결과였다. 또한 학술원이 변화되는 시대 현실에 맞춰 고전학 핵심 연구기관으로서 타 대학과 견주어 어떠한 특성을 지속시킬 수 있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고전학 분야에서 동아시아학술원이 영인한 자료, 출판한 연구서, 구축한 DB 등은 지난 20년간의 지난한 노력의 결과로서 향후 지속적인 확대 발전이 요청된다. In March 2000, the establishment and launch of Sungkyunkwan University's East Asian Studies Institute was a meaningful 'event'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universities. It is assessed to be true in two respects. First, it broke down the old barriers of the Korean university system, which has been fixed by sub-disciplinary studies, and proposed a new agenda for East Asia. Second, it was because it sought a new system to combine education and research. Among the achievements of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reviewed materials, academic papers, and academic books focusing on the field of East Asian Classical Literature. In this process, I tried to refrain from evaluating research achievements and describe them chronologically. The research achievements made by the Institute of East Asian Studies are certainly noteworthy. This is the result of the researchers' efforts. However,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under a consistent and systematic plan, the efforts of individual research subjects were generally gath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