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병철(南秉哲) 회인시(懷人詩) 연구

        한영규 ( Young Gyu Ha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1 No.-

        南秉哲(1817~1863)은 경화세족 출신의 고관이면서 동시에 정약용, 박규수, 최한기와 함께 19세기를 대표하는 실학자로 손꼽힌다. 그는 천문과 역산 분야에 독보적인 식견을 탁월한 과학 저술을 남겼고, 종래의 화이론적 세계관에 속박되지 않는 지평에서 서양과학의 우수성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남병철은 문과에 급제한 이후 26세 때까지 외가의 별서 玉壺精舍에서 열린 白蓮社 모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열정적으로 시를 지었다. 이러한 시사 활동을 통해 그는 당색·계층·적서·장유의 경계에 구애되지 않고 당대의 명사들과 광범하게 교유할 수 있었다. 이는 그의 외조부 김조순 대부터 이어져 온 경화세족의 문화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 남병철은 "경세제민과 무관한 글은 지을 것이 못된다"라는 顧炎武의 견해에 공감하여, 시 창작을 폐하고 士로서의 사명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데, 그 전환의 시점은 1842년 여름 무렵으로 추정된다. 남병철의 회인시는 이러한 전환이 일어나기 직전에 창작된 것으로 공경, 사대부로부터 서얼, 중인층 등 다양한 인물들이 망라되어 있어 시로 쓴 당대 명사의 인물지라는 성격을 지녔다. 특히 김정희파의 속하는 중인층과 정약용가의 인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 특색이었다. 남병철은 회인시에서 대상 인물과 맺은 감회를 표현하는 데 목적을 두지 않고, 명사들의 빼어난 점을 품평하는 `論詩`의 방식을 취하였다. 남병철은 긍정적이며 여유로운 태도로 명사들의 인격미를 淡雅하게 그려냈는바, 그 결과 서얼층과 중인층의 경우 불우한 측면이 약화되고 명사로의 풍모가 주로 부각되었다. 남병철은 청조 학예에서 계발 받은 학식을 기반으로, 그 정곡에 해당하는 비유를 찾아내어 인물을 품평한 결과, 19세기 조선 명사의 인격미를 고양시키고 한층 넓은 지평에서 해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즉 학적 지식에 기반한 인물 품평이었다. 이 점 19세기의 다른 회인시에 견주어 남병철 시가 지닌 중요한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Nam Byeong-cheol was a high official from an influential family in Seoul, and is counted as a realist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together with Jeong Yak-yong, Park Gyu-su and Choi Han-gi. He had matchless knowledge of astronomy and almanac, and left scientific writings such as Chubosokhae, and recognized the West and Western science objectively from the horizon not bound to the traditional world view of the Sino-barbarian theory. The present study explored Nam Byeong-cheol as a poet, taking note of the fact that he was absorbed in poets` club activities and poem writing during his 20s before he began his life as a realist and a scientist. Since he passe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until 1842, Nam Byeong-cheol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Baekryeonsa meeting at Okhojeongsa, a villa of his mother`s family, and wrote poems enthusiastically. Through the poets` club activities, he associated with prominent figures in those days regardless of political party, class, legitimacy, and age. The 32 longing poems analyzed intensively in this paper were the products of these associations, and they are descriptions of prominent figures in those days written in poetic form. From the position of emphasizing the aesthetics of literature and arts, he captured human images of various characters including official literati, poets, painters, doctors, astronomers, and annotators. Different from traditional longing poems expressing feelings between the poet and the subject of the poem, Nam Byeong-cheol`s poems have the characteristic of `discourse poem,` appreciating prominent figures` excellences. That is, they tried to comment individual figures` characteristics through suggestive expression. Nam Byeong-cheol described prominent figures plainly in a positive and serious attitude. As a result, the unfortunate aspect of concubines` children and middle-class people was weakened, and the features of prominent figures were spotlighted. Particularly based on his extensive knowledge, Nam Byeong-cheol compared the subject figures with famous people in China, and through this, he elevated the personal beauty of prominent figures in the Chosun Dynasty to the highest horizon. That is, based on new knowledge and sense that he acquired from the science and art of the Qing Dynasty, he appreciated the diverse personal beauties of prominent figures of the Chosu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 KCI등재

        『조야시선(朝野詩選)』의 편제와 특성

        한영규 ( Han Younggyu ) 한국한시학회 2016 韓國漢詩硏究 Vol.24 No.-

        『조야시선』은 역관 출신 李琦(1856~1935)가 1920년경에 편집한 한국 한시선집이다. 19세기 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비교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인 233명의 시 1천여 수를 선발해 놓았다. 이 한시선집은 『풍요삼선』(1857) 이후 활동한 중인층 문인의 시가 다수 실려있고, 또 윤희구 등 20세기까지 활약한 시인의 작품이 대거 담겼다는 점에서, 한국한시의 마지막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조야시선』의 편자 이기는 漢學 역과에 합격한 역관으로, 1870년대 서울의 유력한 두 詩社에서 핵심 성원으로 참여하였다. 즉 강위의 六橋詩社와 이건창의 南村詩社에서 이기는 강위·김택영 등 19세기 중반 이래의 저명한 시인들과 깊이 교유하였다. 또한 1910년대 정만조·박한영 등 20여 명이 참여한 珊碧詩社에도 핵심 성원으로 활동하였다. 이 논문의 작성 과정에서 새로 발굴한 이기의 문집 『소화관집』을 통해서, 이기의 이러한 교유 양상이 확인된다. 『조야시선』 편제에서 가장 주목할 특징은 편자 이기가 직접 교유했던 육교시사, 남촌시사, 산벽시사의 동인들이 시가 대거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10수 이상의 시를 뽑아 특별히 부각시킨 강위·황현·김택영·성혜영·윤희구 등은 모두 이기와 직접적으로 교유한 인물들이었다. 즉 『조야시선』은 편자 자신이 경험한 자기 시대의 시를 주로 선발한 것이다. 즉 『조야시선』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의 당대성이 담긴 한시선집이라는 성격을 지녔다. 『조야시선』에 김병선·김택영 등 기존의 한시선집에 실리지 않았던 시인의 시가 대거 수록된 것도 중요한 특징이다. 1918년에 편찬된 장지연의 『대동시선』에는 2천여 명의 역대 시인이 종합적으로 집성되었는데, 『조야시선』에는 『대동시선』에 실리지 않은 58명의 시 250여 수가 새롭게 실렸다. 이는 『조야시선』 전체의 25%에 달하는 수치로,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인을 특별히 부각시키려한 편자 이기의 의도라고 판단된다. Joyashiseon is an anthology of Sino-Korean poetry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edited by Lee Ki (李琦), a former translator in Joseon between 1920~1922. It selected a thousand poems from 233 poets who were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between the first half of 19<sup>th</sup> century and the late 20<sup>th</sup> century. In a point that this Sino-Korean anthology contains a number of poems of middle class literary men who were active after Pungyosamseon (1857), and that it has a large number of works from poets who were active until the 20<sup>th</sup> century including Yun Hee-gu, etc., it is an important material to confirm the last aspects of Sino -Korean poetry. Lee Ki (1856~1935), the editor of Joyashiseon was a translator who passed a national examination of Sino-Korean translation, and participated in two influential poetry works in Seoul as a core member. That is to say, in Kang Wi`s Yukgyoshisa and Lee Geon-chang`s Namchonshisa, he had deeply associated with contemporary prominent poets including Kang Wi and Kim Taek-yeong, etc. since the mid 19<sup>th</sup> century. Also, he participated in Sanbyeokshisa (珊碧詩社) which over 20 poets including Jeong Man-jo and Park Han-yeong, etc. in 1910s. Through Lee Ki`s own collection of works, Sohwagwanjip (紹華館集) newly found from the process of preparing this paper, his social intercourse patterns were confirmed. The most notable feature in the editing formation of Joyashiseon is that there are a number of poems from his associates such as Yukgyoshisa, Namchonshisa, and Sanbyeokshisa that he directly associated with. He deliberately selected and specially stood out 10 or more poems from All including Kang Wi, Hwang Hyeon, Kim Taek-yeong, Seong Hye-yeong, Yun-hee-gu, etc. with whom Lee Ki directly associated. That is to say, for Joyashiseon, the editor, himself mainly selected those poems at the time he experienced. In other words, Joyashiseon has the character containing the contemporaneity (當代性) betwee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and the early 20<sup>th</sup> century. An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Joyashiseon is that it contains a lot of poems of poets including Kim Byeong-seon and Kim Taek-yeong, etc. that were not introduced to the established anthologies. Daedongshiseon edited by Jang Jiyeon in 1918 collected a comprehensive works of two thousands of poets at the time, but Joyashiseon collected 250 poems from 58 poets that were not included in Daedongshiseon. As it is 25% of the total Joyashiseon, it seems that the editor Lee Ki`s intended to specially stand out new poets who were not noted at the time.

      • KCI등재

        19세기 경화사족의 학예(學藝) 취향과 만명사조(晩明思潮)

        한영규 ( Young Gyu Han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人文科學 Vol.0 No.48

        명나라 말기는 중국사상사와 문예사에서 매우 특기할 만한 시기이다. 현대 중국의 미학자 成復旺은 중국의 사상 조류를 유가·도가·불가·굴원으로 나누고 여기에 다시 晩明思潮를 포함시켜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張法은 굴원을 유가에 포함시키고 불교를 도가에 귀속시키면서, 중국의 사상을 유가·도가·만명사조의 세 줄기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명사조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한국한문학 연구에서도 확인된다. 최근 조선후기 한문학과 명말 公安派와의 관계성에 주목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을 보다 확장시켜, 만명사조가 19세기 조선의 학예에 어떻게 이해되고 수용되고 있었는지를 탐색하였다. 『세설신어』는 위진 시기에 출현했지만, 만명 문예가 특별히 부각시키고 재해석을 시도한 문헌으로서 만명사조의 先聲이라 할 만하다. 진계유는 이탁오·원굉도·탕현조·서위·풍몽룡 등과 함께 명말사조를 대표하는 문인이었다. 『세설신어』와 진계유의 저술이라는 두 지표어를 중심으로 탐색한 결과, 홍석주·홍길주·이유원·정원용 같은 19세기 경화사족과 장혼·조희룡·이규경 등 경화사족 문화권의 문인들이 만명사조를 매우 다양한 각도에서 소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명사조는 허균·신흠 이래, 18세기의 박지원·이옥 그리고 19세기의 홍길주·조희룡을 거쳐 20세기 초의 황현에 이르기까지 조선후기를 관통하며 학술·문예 방면에서 일정한 영향을 미쳤다. 조선후기의 학예 지형도에서 만명사조는 청대 고증학이나 西學에 비견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였다. 소품문에 반대했던 정조의 사망, 그리고 서학을 금압한 세도정치기의 조건 속에서 19세기 경화사족은 진계유유형의 만명사조를 매우 심도 있게 수용하고, 향유하였다. The late Ming Dynasty is a very remarkable period i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s and arts and sciences. Contemporary Chinese aesthetician Cheng Fu-wang divided the streams of Chinese thoughts into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Qu Yuan, and added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as another stream, identifying five mainstreams. Including Qu Yuan in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Taoism, Chang Fa viewed Chinese thoughts as three lines, namely, Confucianism, Taoism and the thoughts in the late Ming Dynasty. New interests in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are found also in research on Chinese literature in Korea. Recent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ctively on the relation between Chinese literature in the late Chosun Dynasty and the Gongan School in the late Ming Dynasty. Expanding the viewpoint further,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oughts in the late Ming Dynasty were understood and received in Korean arts and sciences during the 19th century. Shishuoshinyu appeared in the period of Wei-Jin, but was spotlighted and reinterpreted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and is considered the prelude of thoughts in the late Ming Dynasty. Along with Lee Tak-oh, Won Goeing-do, Tang Hyeon-jo, Seo Wi, Pung Mong-ryong, etc., Jin Gye-yu is a literary man representing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From the results of search using two keywords ``Shishuoshinyu`` and ``Jin Gye-yu`s writings,`` we found that noble families in Seoul in the 19th century such as Hong Seok-ju, Hong Gil-ju, Lee Yu-won and Jeong Won-yong, and literati like Jang Hon, Jo Hee-ryong and Lee Gyu-gyeong who associated with such families digested the thoughtsof the late Ming Dynasty from a large variety of angles.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penetrated through the late Chosun Dynasty from Heo Gyun and Shin Heum to Park Ji-won and Lee Ok in the 18th century, Hong Gil-ju and Jo Hee-ryong in the 19th century, and Hwang Hyeon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influenced their arts and sciences. In the arts and sciences of the late Chosun Dynasty,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were important elements comparable with evidential studies and Western learning in the Qing Dynasty. During the 19th century characterized by the death of King Jeongjo who opposed So-pum-mun(miscellaneous writings) and the suppression of Western learning under Sedo politics (politics dominated by a few influential clans), noble families in Seoul received and enjoyed the thoughts of the late Ming Dynasty like Jin Gye-yu`s very deepl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이후 인물지의 여성 기록 편성 방식 : 『震閥彙攷續編』을 중심으로

        한영규(Han, Young-gyu)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4 No.-

        이 글은 1854년 편찬된 『호산외기』부터 『이향견문록』 『진벌휘고속편』 『일사유사』를 거쳐 1918년의 『東廂記纂』까지를 대상으로 삼아, 여성 인물이 어떤 기준에 의해 어떤 방식으로 편성되었는지를 탐색해 본 것이다. 즉 조선왕조의 해체와 근대전환의 시대를 맞이하여 어떠한 여성상이 인물지에 호명되었는지를 논의하였다. 이 과정에서 『진휘속고』의 통합 재편성본으로 새로 알려진 『진벌휘고속편』의 여성 기록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 『호산외기』 이래 시인・역관・화가를 핵심으로 한 중인층 인물에 대한 관심이 크게 부상하여 『일사유사』에 이르기까지 주요 흐름을 이루었으나, 『진벌휘고속편』은 중인층 기록을 수용하면서도 통사적 시야에서 상층・서얼・기층・하층민을 두루 포섭하여 계층통합적 시야에서 여성 인물 편성을 시도하였다. 둘째, 『이향견문록』 등 중인층 주도의 인물 집성은 유가 이념에 비교적 유연한 입장을 취했으나, 여성 인물의 경우 여전히 열녀 이외의 여성상을 구성하지 못한 채 『일사유사』까지 이어졌다. 그러나 『진벌휘고속편』은 효열절의 가치를 상대화시키고 다양한 성향의 여성을 신분・직임에 따라 편성하는 脫儒家的 경향성을 드러냈다. 특히 妖巫 등 부정적인 인물을 수용하여 여러 유형의 여성상을 구성한 것은 매우 새로운 시도였다. 셋째, 『이향견문록』은 야담 속의 非歷史的 여성 인물을 인용하여 그 善行의 교화성을 드러내려 한데 비하여, 『진벌휘고속편』은 야담 속 여성 이야기의 奇譚的 흥미성을 포용하는 편성 방식을 취했다. 이는 전통적 인물지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인물 구성 방식이었다. 『진벌휘고속편』의 편찬시기가 1870년대 이후 언제인지 확정할 수는 없지만, 『동상기찬』(1918)에서 『진벌휘고속편』에 실린 진취적 여성을 다수 호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진벌휘고속편』의 편성 의도가 근대전환기의 백두용에게 일정 부분 승계 수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how female characters are edited and published by what standards, in the pages of figures compiled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rocess, women s records of the newly known Jin Beol Hwi Go Sokpyeon(『震閥彙攷續編』) were analyzed in more detail.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main points. First, the existing magazine had expressed a great interest in the middle-class people. However, Jin Beol Hwi Go Sokpyeon included the upper class, commoner, and commoner in a hierarchical and integrated perspective. Second, the existing collection of figures did not go beyond the Confucian ideology. However, Jin Beol Hwi Go Sokpyeon was not bound by Confucian ideology. Rather, it contains a variety of women from a perspective that transcends Confucianism. Including various types of characters, especially negative female characters, was a very new attempt. Third, the previous collection of characters tried to give lessons through the characters in the story of Yadam. Instead, Jin Beol Hwi Go Sokpyeon collected more interesting female stories than lessons. This was a new way of editing that was not seen in traditional character collections.

      • KCI등재

        기획주제(企劃主題) : 한문과(漢文科) 성취기준(成就基準) 및 성취수준(成就水準)의 내용(內容) 분석(分析)과 적용(適用) 방안(方案) 모색(摸索) ; 기조(基調) 발표(發表) : 이학규의 「성시전도시(城市全圖詩)」창작 배경과 그 특성

        한영규 ( Young Gyu Han ),정은주 ( Eun Joo Ju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본고는 1810년 유배지에서 지은 李學逵의 「城市全圖詩」가 현전하는 다른 8종의 「성시전도시」와는 그 성격을 크게 달리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장편시의 창작 배경과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학규는 규장각에 출입하며 「성시전도」와 관련된 전고와 사실을 익히 알고 있었으며, 또한 화가 김홍도와 교유하고 명청의 화론서에 식견이 풍부하였으므로, 「성시전도시」창작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었다. 특히 평소 친분이 있었던 박제가의 「성시전도시」를 보게 된 것이 이 장편시창작의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판단된다. 이학규의 「성시전도시」는 크게 보아 전반부의 서울 도성의 사실적 묘사와 후반부의 자기고백적 悲歌로 구분된다. 그는 이 시의 후반부에서 현실을 상상으로 이상화시켜 이해하거나 과거의 고향을 회상함으로써, 불우한 문인의 정신적 고뇌와 우수의 정감을 망상과 상상의 방식으로 해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학규는 관각문장의 성향이 굳어져 그 표현의 길이 극히 제한된 「성시전도시」양식을 차용하여, 거기에 자기고백적 서정성을 담아내는 새로운 성취를 이루었다. 이 점에서 이학규의 「성시전도시」는 박제가·신택권의 시와 동일한 층위에 놓일 수 없는 보다 고유한 영역을 확보했다고 평가된다. The poetry for Seongsijeondo was written by the civil ministers working at Gyujanggak in 1792, according to the command of King Jeongjo. At that time, Lee Hak-kyu was involved in the editing of the 『Gyujangjeonwun(奎章全韻)』 while access to the Gyujanggak. In addition to his sentence Jeongjo been recognized name in the world widely announced. Because of these facts, Lee Hak-kyu likely also saw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He was well versed on the picture. Actually he has commented on a picture of someone and read the books of painting related. Lee Hak-kyu`s poetry for Seongsijeondo was creative in exile. This is another creative writers of poetry are different from those made in Hanyang(Seoul). Drawn in the figure of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acted as a mediator reminds him home. He expressed the appearance and customs of Hanyang(Seoul)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his exile customers as screening was projected. Because the painting of Seongsijeondo was acting as a driver to look reminds him of his home and family lived in exile previous. As in the case of Lee Hak-kyu, the poetry for Seongsijeondo actively exposed his inner case is very rare. This is the uniqu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it from other poetry for Seongsijeondo.

      • KCI등재

        19세기 여항문인 조희룡의 유배와 신안 임자도

        한영규 ( Han Young-gyu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9 No.-

        중인서리층의 전기 작품집 『壺山外記』를 편찬한 又峰 趙熙龍(1789~1866)은 19세기의 대표적 여항문인이다. 이 논문은 새 자료를 동원하여, 1851년부터 약 2년간의 임자도유배 생활이 조희룡의 문학 예술에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전남 신안군이 2004년부터 추진 중인 조희룡 유배지 현양 사업의 현황을 학술적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조희룡이 임자도에서 경험한 가장 큰 사건은 먼저 유배와 있던 전임 통제사 金鍵(1798~1869)과 긴밀하게 교유한 일이었다. 그동안 김통제사가 구체적으로 누구를 지칭하는지 알 수 없었으나, 『일성록』을 통해 김건이 헌종 사후인 1849년 7월에 유배되어 1852년 4월에 임자도를 떠났음이 확인되었다. 조희룡은 10개월 동안 전임 통제사 김건과 어울리며 깊은 교분을 나눴다. 그런데 이 두 인물은 모두 추사 김정희의 문인으로 분류되며, 정치적으로 안동김씨 외척 세도를 반대하다 유배형에 처해졌다는 공통성을 지녔다. 임자도는 이들에게 遠惡地이기도 했으나, 정치적 동지를 만나 교유하는 새로운 문화적공간으로도 작용하였다. 조희룡이 임자도에서 『화구암난묵』 등의 여러 시문 서화를 창작한 것은 그에게 유배 경험이 문화적 활력소로 기능했다는 점을 반증한다. 19세기 임자도의 경제적 문화적 풍요도 조희룡에게 새로운 경험으로 작용하였다. 이는 임자도 유배를 계기로 조희룡의 시문 서화가 `번화미` `격동미`의 방향으로 질적 비약을 이룩했다는 최근의 연구결과와 상통된다. 조희룡은 임자도에서 최태문 등 여러 식자와 교유했으며 또 홍재욱 같은 제자를 배출하는 등 문인서화가로서의 자기정체성을 확장시키는 생활을 지속하였다. 조희룡과 임자도의 인연은 해배 이후에도 이어졌다. 1862년 임자도에 유배된 金?은 섬에 남아있던 조희룡의 시문을 접하고 그에게 경도된 심정을 「艱貞日錄」에 남기고, 서울로 글씨를 부탁하는 편지를 조희룡에게 부치기도 했다. 전남 신안군은 조희룡의 유배지로서 임자도를 관광자원화 하는 방안에 착목하여, 2004년 `조희룡 기념비`를 세운 이래 최근에는 `조희룡길`을 조성하기도 하였다. 임자도가 조희룡의 문예적 흔적을 매개로 다시 환기된다는 점은 조선후기 여항문예와 관련지어 매우 주목할 만한 사안이다. 다만 신안 임자도의 장소성이 보다 항구적으로 지속되기 위해서는 `조선문인화의 聖所`와 같은 표현이 학술적으로 충분히 검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Cho Hee Ryong (1789-1866) who edited `Hosanoeki(壺山外記)`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19th Century Middle-class Literati. This study explored what meaning the exile life of about two years from year 1851 in Imjadohad for his literature and art based on several materials newly found. Also, this study tried to interpret the fame project of Cho Hee Ryong`s exile place that has been promoted by Shinan-gun, Jeonnam province since year 2004 in an aspect of academic viewpoints. One of the biggest events for Cho Hee Ryong`s experience in Imjado was the social keen intercourse with an ex admiral, Kim Geon (金鍵 1798-1869) who had been exiled, precedent to Cho Hee Ryong`s exile. It is found that Kim Geon used to be known as only admiral Kim which had no specific indication for a specific person, but that according to "Ilseongrok," he had been exiled there in July 1849 after the death of King Heonjong and left Imjado April 1852. Cho Hee Ryong associated keenly with the ex ex admiral, Kim Geon for 10 months. In the mean time, the two people are classified into a group of Chusa Kim Jeong Hee`s literati, and they were in common with conviction of exile due to their opposition to maternal relatives, Andong Kim`s political influence. Imjado for them was a Wonakji (a remote evil place) and functioned as a new cultural space to meet a political and cultural companion to share social intercourse as well at the same time. The fact that Cho Hee Ryong created various poetry and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including "Hwaguamnanmuk" etc., offers the evidence that his exile place experience played a role of cultural vital energy. The 19th century Imjado`s economic and cultural abundance was also a new experience to Cho Hee Ryong. It is related to the recent study results from which his exile in Imjado eventually contributed to qualitatively rapid progress of his poetry and literary works and paintings toward `rapid beauty` and `dynamic beauty.` Shinan-gun, Jeonnam province directed their attention to a plan of turning Imjado to a tourism source as Cho Hee Ryong exile place, and followed by putting up `a memorial of Cho Hee Ryong` in year 2004, they recently developed `Cho Hee Ryong Road` as well. Above all, in a point that the place Imjado gets awakened as a mediator of Cho Hee Ryong`s literary and artistic `traces,` it could be a very remarkable issue with regard to the middle-class literati in late Joseon dynasty. However, it is believed that if the placeness of Imjado is permanently to be meaningful, stimulative terms such as `holy place of Joseon literati paintings` etc. should be abstained and refin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