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Nestlé Boycott (1976-1984) for Transnational Activism against the Misconduct of Transnational Corporations

        한솔(Soul Han)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조직화 된 초국적 사회운동의 초기 사례 중 하나인 네슬레 보이콧(1976-1984)에대한 심층적 사례연구를 시도한다. 개발도상국에서 수많은 아동들의 사망 요인으로서 조분유 (infant formula)가 주요하게 작동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촉진 활동을 포기하지 않는 초국적 식품제조기업인 네슬레에 대항하여 시작된 이 보이콧은 미국에서 시작하였지만, 이후 65개 국가의 NGO들의 네트워크 조직화를 이끌어내게 되었다. 이 국제적 네트워크의 조직화 된 압력으로 인해 UNICEF와 WHO는 조제분유의 과도한 마케팅을 제재하는 국제적 규약을 제정 한 바 있고, 네슬레는 1984년 해당 규약을 준수하기로 합의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도, 그리고 규모의 측면으로 볼 때 네슬레 보이콧은 중요한사회적 함의를 지닌다. 초국적으로 조직된 운동가들이 소비자, 정부행위자, 국제기구 등 기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성공적으로 동원했고, 이들을 동원하거나 압력을 가하기 위해 ‘정보 정치’, ‘상징 정치’, ‘지렛대 정치’, ‘책무성 정치’를 성공적으로 구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심층적인 연구가 진행된 바 없으며, 국제적으로도 정치이론적 차원에서 해당 사례에만 집중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논문에서는 초국적 기업이 국제적 제도의 장에서 차지하는 권력의 기반을 이론적으로 설명 한 후, 그러한 권력의 기반에 대항하여 초국적 기업이 어떤 효과적인 정치적 전략을 구사했는지에 대하여 비교정치학이론, 초국적 사회운동론의 이론 자원에 기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A transnational network of activists led the international consumer boycott against Nestlé from 1976 to 1984. The boycott aimed to make transnational corporations “immediately stop all promotions of infant formulas in developing nations,” as the deaths of numerous infants in the developing nations were attributed to these formulas. An international movement originating from the U.S. spread to networks of NGOs from 65 nations. Eventually, the boycott successfully pressured Nestlé to abided by the international code drafted by the WHO and UNICEF to sanction excessive marketing of infant formula. Although this boycott transpired three decades ago, the case deserves a thorough analysis for its political strategy. To effectively pressure Nestlé, activists pushed for information politics, symbolic politics, leverage politics, and accountability politics by mobilizing various economic and political actors (e.g. consumers, GOs, IGOs), and leveraging their power against Nestlé. My analysis enriches the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through illuminating the rich potential of transnational activists’ networks to harness the power of multiple stakeholders to curb multinational corporation.

      • KCI등재

        일-가정 영역에서의 복합적 젠더불평등: 젠더수행론적 관점에서

        한솔 ( Soul Ha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명목적 권리 신장, 남녀고용평등법, 높은 대학진학율 등의 사회변동에도 불구하고, 일-가정 영역에서 젠더불평등이 견고하게 지속 및 재생산되는 현실에 주목하여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미시적 기초로서 젠더수행론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우선 젠더수행론 개념을 검토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심리의 연구들을 제시한다. 그 후, 일-가정 영역에서 해당 개념의 영향력을 밝히는 실증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한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젠더 불평등 구조가 젠더수행을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다. 가사노동의 영역에서는 시간제약이론, 상대적 자원 이론, 성 이데올로기론으로 환원할 수 없는 젠더수행의 측면이 반영되어 있었다. 다음으로, 일자리의 영역에서는 여성에게 ‘어머니’라는 사회적 정체성이 강한 사회적 제약·차별 조건을 규정짓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persistence of gender inequality structure in work and family after all the social changes that brought about Equal Employment Act, gender egalitarianism, and rising female college entrance rates. The author invokes the concept of “doing gender” to account for its micro-sociocultural foundations. After elaborating on the concept of “doing gender”, extensive literature review that empirically proves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in work and family will follow. The results drawn from the extensive review reveals the significant impact of “doing gender” on the reproduction of gender inequality structure. First, while there is relative shortcomings of time constraint theory and relative resource theory, “doing gender” has a explanatory power in determining unequal distribution of housework. Next, empirical work of motherhood penalty and fatherhood bonus demonstrates how the prevalence of “motherhood” social identity imposed upon female workers brings about systemic gender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 KCI등재

        현대자동차의 생산세계화: 자본주의 다양성·산업조직론 시각을 중심으로

        한솔 ( Han Soul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본 연구에서는 자본주의 다양성론 및 산업조직론의 분석 단위들을 도입하여 현대자동차 특유의 생산세계화 방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현대차의 생산방식은 불신과 갈등에 기반을 둔 노사관계가 자동화 및 표준화를 동반한 유연표준화로, 계열사 체계에서 진화한 모듈화가 폐쇄적 모듈화로 이어 졌음을 주장하며, 이렇게 형성된 현대자동차 고유의 핵심역량은 생산 세계화 전략에 있어 1) 총수 경영에 따른 고위험, 공격적 투자, 2) 수직적 계열화에 따른 협력업체와의 동반 진출 및 해외 직접투자, 3) 그린필드로의 이전에 따른 저비용 저숙련 해외 노동자 고용으로 이어졌음을 주장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pply the perspectives of VoC and Industrial Organizations to explain Hyundai Motor’s production globalization strategy. I argue that it is characterized by flexible standardization and closed modularization. Such unique internal capability of Hyundai Motor’s led to 1) high-risk, high-return outbound FDI of Chaebol, 2) replication of vertical integration network, 3) factory installment toward greenfield.

      • KCI등재후보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한솔(Han, Soul),유은영(Yoo, Eun-Young)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2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좌측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만성 뇌졸중 환자 1명이며, 개별사례 실험 연구 중 ABA 설계를 사용하였다. 기초선 기간 4회, 중재 기간 12회, 기초선 회귀기간 4회로 총 20회 의 실험을 휴지기간을 포함하여 총 10주간 진행하였다. 독립변수인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 용한 작업치료 중재는 매 회기 30분씩 시행되었으며 종속변수 중 Fugl-Meyer Assessment(FMA) 평가는 각 기간 마다 1회씩 측정하였다. Box and Block Test(BBT) 평가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 평가는 매 회기 마다 시행하여 그 측정 결과를 꺾은선 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 후 대상자의 환측 상지기능이 향상되었다. 기초선 회귀 기간에는 중재를 제거한 뒤 치료유지 효과를 확인하였지만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완전 몰입형 가상현실 기기를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에 효과적인 중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치료유지 효과는 크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사용 이 간편한 가정용 중재 프로그램 등의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using a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 This study used a single subject (ABA) design. The study subjects was a chronic stroke patient with left lateral deviation. Four baseline periods, 12 intervention periods, and 4 baseline regression periods were performed for a total of 20 sessions for 10 weeks. OT intervention with a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 was used every 30 minutes. BBT and WMFT evaluations were performed at each session and the results were displayed in a line graph. Results : The patient s upper limb function has improved. During baseline recurrence, efficacy of treatment was confirmed after removal of interven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Conclusion : It has been found that OT intervention with a fully immersive virtual reality device for upper limb func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maintaining treatment is not important, so we need to develop an easy-to-use home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족부 부상으로 인한 전신 파상풍

        박홍기(Hong-Gi Park),한솔(Han Soul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5

        파상풍 감염에 대한 확실하고 효율적인 예방법이 있어 선진국에서의 발병률과 사망률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이로 인해 파상풍 감염에 대한 인지도 저하 및 예방접종 규칙 미준수로 최근 발병률의 증가 추세를 보인다. 파상풍 감염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어 예방이 우선되어야 하며 감염 시 적극적인 수술적 처치와 지지요법을 통해 치료해야 한다. 이에 저자들은 족부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59세 남성 환자의 전신 파상풍 증례를 통해 감염된 족부에 적극적 외과적 변연절제술 및 절단을 시행하였고 2개월간 지지요법을 통해 환자는 성공적으로 회복하였다 The definitive and effective method for tetanus prevention has contributed to decreased incidence and mortality of tetanus infections in developed countries.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a recent increase in incidence due to the lack of awareness of the disease and lack of adherence to preventive measures. Tetanus infections can be fatal. Therefore, prevention must be the utmost priority, followed by aggressive surgical management along with supportive care.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a 59-year-old male patient diagnosed with a generalized tetanus infection from a foot injury. The patient recovered successfully after aggressive surgical debridement and amputation of the infected toe at the metatarsal level, followed by two months of supportive care.

      • Rowland Universal Dementia Assessment Scale (RUDAS)의 국내 적용을 위한 번역 연구

        김현정 ( Kim Hyun Jung ),장완호 ( Jang Wanho ),한솔 ( Han Soul ),김현수 ( Kim Hyunsoo ),김정란 ( Kim Jung-ran ) 대한인지재활학회 2017 대한인지재활학회지 Vol.6 No.1

        목적: 고령화로 인해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치매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치매환자 관리에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조기발견은 임상적 결과와 관련성이 있어 치매선별도구의 중요성이 더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수준, 언어, 문화에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두엽기능 및 시공간구성능력도 평가할 수 있는 한국어판 롤랜드 유니버셜 치매평가척도(RUDAS-K)를 개발하고자 번역하였다. 연구방법: 본 번역 과정은 총 9개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 작업치료사 3명이 원 도구를 한국어로 각자 번역하였고, 2단계로 작업치료사 1명이 3개의 번역본을 취합하였다. 3단계는 재활전문가 1인이 원문과 번역 사이의 불일치를 검사하였다. 4단계에서 검증위원회를 열어 한국어 번역본이 원문과 얼마나 흡사한지 설문하였다. 5단계에서는 검증위원회의 설문 결과를 기반으로 번역본을 수정한 후, 6단계로 번역본의 이해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7단계에서는 3명으로 구성된 번역 검증위원회에서 한글번역의 적합성을 검증한 후, 8단계로 번역전문가를 통해 역번역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외국인 1명과 작업치료사 1명이 원문과 역번역본 사이의 의미전달의 유사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1차 및 2차 번역 후 1차 합의과정을 거친 RUDAS-K는 적합성 설문지 조사결과 직역한 문장을 간단하게 수정하였고 의역하며 누락된 내용을 추가하여 수정하였다. 이해도 설문조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항목들과 적합성 설문 시행 이후 수정된 부분을 표시하여 검증위원회와 2차 합의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영어교육과 교수와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한글표기법 의견을 제시하였고 작업치료학과 교수는 평가도구의 특성을 고려한 단어선택 의견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의견들을 중점으로 수정하였다. 역번역 및 원본 비교 시 “tea”를 한국어에서 이중적인 뜻을 갖은 “차”가 아닌 “녹차”로 번역한 부분 외에 별다른 의미의 차이는 없어 RUDAS-K에 추가적인 수정을 하지 않고 최종 RUDAS-K를 개발하였다. 결론: 체계적인 번역 과정을 거친 RUDAS-K는 치매선별 평가도구로 유용하고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Interest in the management of dementia is expanding due to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consequentl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opulation. Seeing that early detection closely interferes with clinical outcomes, selection of screening tools is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Rowland Universal Dementia Assessment Scale (RUDAS-K), which is unaffected by education level, language, and culture, along with assessing frontal function and visuospatial aspects. Methods: The translation process was carried out in nine stages. In the first stage, three occupational therapists translated the original RUDAS into Korean, followed by another occupational therapist collecting three translations. For the third stage, one rehabilitation specialist examine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translated version. In the fourth stage, verification questionnaires (each question consisting of one sentence from the original RUDAS in English followed by one sentence translated into Korean) were surveyed to find out the similarity betweenthe original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In the fifth stage, the Korean translation was revi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and comprehension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In the seventh stage, the three-person translation verification committee confirmed the suitability of Korean translation and subsequently had a professional translator provide a back translation of RUDAS-K. Lastly, an English native speaker and a bilingual occupational therapist verified the similarity of semantics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back translation. Result: After the first and second stage of translation, RUDAS-K underwent the first consensus verification process, revised the sentences with the lowest scores. Sentences with literal translation were simply revised. Missing texts were paraphrased and added to the liberal translation. Indicating the revised sentences and ones with the lowest score on the comprehension questionnaire, RUDAS-K was sent to the verification committee. As a result, the English education professor and the Korean language professor provided advices on the official Korean language notation while the occupational therapy professor suggested some revision based on vocabularies often found in evaluation used by healthcare professionals. There were no changes made to RUDAS-K after comparing original RUDAS to the back translation. There was one difference in meaning for the translation of “tea” in Korean; it was changed to “green tea" instead of “tea" for the direct translation of “tea” in Korean hold two different meanings. Conclusion: RUDAS-K, which has undergone a systematic translation process, is expected to be a useful and versatile screening tool for those suspected with dement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