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을 활용한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설옥 한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 Vol.0 No.165

        This paper focuses on Korean modern poetry education using translation, which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translation of literature in translation classes. There is a view that claims to be impossible to translate poetry because the firm combination between its form and meaning gives it implications and musicality that are difficult to translate. However, poetry education must focus o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oetry rather than targeting replicas through translation. Thus, this paper proposes the attribution of value to the translation process instead of its result. The focus on the translation process will enable learners to appreciate artistic and language features of poetry by investigating and comparing poetry in Korean with their equivalent Chinese expressions, which are naturally found during translation, and thus actively draw out the meaning of poetry. Although translation may be considered an interpretation, learner's interpretation, which is difficult to be expressed in translation, should be expressed in other ways in order to strongly encourage their subjective response.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한국어 교육에서 기계번역 활용 가능성-중한 번역을 중심으로

        한설옥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9 No.-

        본고는 한국어 교육의 관점에서 인공지능 시대 신속하게 발전하는 기계번역 기술의 활용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번역은 교수법으로서의 번역 방법과 교육 대상으로서의 번역 교육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전자는 언어 인식의 고양, 후자는 번역 수행에 수반되는 종합적인 능력 함양을 지향한다. 교육 현장에서 지향하고 있는 이러한 번역의 교육적 목표는 기계번역의 결과물에 대한 후속 편집 작업을 통해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기계번역은 어느 정도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과물을 신속하게 산출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는 명백한 한계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계번역을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은 인공지능과의 공존 관계를 구성해야 하는 지금의 시대적 요구이기도 하다. 대상 텍스트 유형에 따른 기계번역의 특성과 한계점을 살펴보기 위해 본고는 정보적 텍스트, 호소적 텍스트, 표현적 텍스트에 대한 기계번역과 인간번역의 결과물을 어휘적, 문법적, 화용적 층위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정보적 텍스트의 경우, 기계번역은 인간번역의 결과물과 유사한 어휘, 문법 등을 사용하여 비교적 높은 수준의 번역문을 생산하였으나 유창성과 전달력이 다소 부족한 면을 보여주었다. 호소적 텍스트의 경우, 기계번역은 다양한 맥락이 존재하는 텍스트의 의미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해 오류가 여러 층위에서 발생하였다. 표현적 텍스트의 경우, 기계번역은 결과물의 완성도 측면에서 인간번역과 비교적 큰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인 수정 작업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고려하여 기계번역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번역 목적, 텍스트 유형, 학습자 수준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use of Korean language in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that develops rapidly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lation in Korean language can be divided into translation methods as a teaching method and translation education as a subject of education, with the former aiming to enhance language awareness and the latter to foster comprehensive ability involved in translation performance. the former aims to enhance language awareness and the latter to develop comprehensive skills involved in translation performanc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translation is to be achieved effectively through post-editing work on the results of machine translation. This is because machine translation can quickly produce results that can ensure some degree of accuracy, but so far it shows clear limitations. Furthermore, the cultivation of the ability to accept machine translation critically, and utilize it creatively is also a demand of the present era to form a coexistence relationship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o look at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machine transl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source text,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machine translation and human translation on lexical, grammatical and pictorial layers for informative text, operative text and expressive text. Considering the result,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use according to the translation purpose, text type and learners’ level.

      • KCI등재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읽기 교육 연구 -대중가요와의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한설옥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9 한국어 교육 Vol.30 No.4

        This study notes the affinity that exists between poetry and popular songs which can be useful to poetry reading education and conducted an experiment to observe how advanced learners read modern Korean poetry using popular songs. In accordance with their reading patterns, this study seeks an effective way to teach students modern Korean poetry. Poetry is considered difficult to access due to ambiguity and connotation, while popular songs are easily understood by simple language and repetitive structure which are different from poetry. However, these two genres have links in visible aspects such as poetic language, subject matter, rhythm, format and structure, so that learners can react with these links and read poetry more independently. The positive role of popular songs in the learners’ poetry reading process can be seen in Korean learners’ reading patterns. The learners supplemented or modified their understanding of poetry through connecting the poetry and songs, and their understanding could be deepened when they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Furthermore, they reconstructed the meaning of poetry in their own context.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 this study raises a few suggestions which will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odern Korean poetry reading education using popular songs.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읽기 반응에 관한 연구 : 문학 번역 활동을 중심으로

        한설옥 ( Han¸ Xueyu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본 연구의 목적은 번역 활동에서 나타난 중국인 학습자의 읽기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한국 현대시 교육을 구안하는 것이다. 한국 국외에서 이루어지는 한국 문학 교수법 중의 하나인 번역과 현대시 읽기 반응 간의 연관성을 입증하기 위해 번역 과정에 관한 논의와 독자반응이론을 참고하였고, 학습자 반응의 번역 활동에서의 구현 방식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현대시의 번역 활동에서 실제로 나타난 읽기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실험을 진행한 결과, 학습자는 텍스트의 구성 요소를 재현함으로써 텍스트를 기술하고, 자신의 상상과 경험에 의한 추측으로 텍스트를 재구성함으로써 텍스트가 내포한 의미를 해석하며, 시 텍스트와 번역 텍스트를 비교함으로써 텍스트의 형식 및 내용에 대해 평가하였다. 이 과정에서 발견된 한계에 대해 번역 전과 후, 두 단계로 나누어 번역 활동에 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번역을 문학 교육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현장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ise effective modern Korean poetry education by observing the reading reactions of Chinese learners during translation activities. To prove the connection between translation, which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used in Korean literature, and reading response, this study referred to the theory on the translation process and reader-response theory and theoretically reviewed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 the translation activities of the learners’ responses. Meanwhil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ctual reading responses in the translation activities of modern Korean poetry. In this experiment, Chinese learners described the poetry by reproducing the components of the text, interpreted the poetry by reconstructing the text using their imagination and experiences, and estimated the poetry by comparing the poetry and the translation text.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limitations that were found in this proc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fields that use translation as a means of literatur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