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자동운항시스템의 제어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봉주,배경수,김환성,김상봉,Han, Bong-Ju,Bae, Gyeong-Su,Kim, Hwan-Seong,Kim, Sang-Bong 대한기계학회 1996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0 No.8

        This paper presents a design method for autopilot control system in course change to the specified direction based on a robust digital servo controlmelthod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the annihilator polynormial. The mathematicalmodel of ship turning motion is very complex in the view of practical control because it has time varying parameters, nonlinear and dead time terms. To apply the digital servo control method based on computer control, the model is linearized at an equilibrium point and discretized with appropriate sampling time. The control algorithm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computer simulation for a model ship and the practical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measurement of ship position in a water tank. The results of overall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control method will be one of good way to keep a track plotted in the map.

      • KCI등재

        진성 리더십(Authentic Leadership)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LMX와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 분석

        한봉주(Han, Bong Ju)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직·간접적인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조직경영방안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2012년 10월부터~12월까지 회수한 161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는 변수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동일방법요인이 측정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동일방법편의에 의한 변수 간 공분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진성 리더십은 LMX와 심리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자본만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성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을 함양해야 한다. 즉, 긍정조직행태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주제인 심리적 자본은 기질이 아닌 상태로서 조직적 개입을 통해 개발해야 한다. 따라서 경험적 이론을 구축하고 과학적인 측정을 통해 조직과 조직원 및 리더에게 올바른 방향성과 통찰력을 제공해야 한다. 둘째, 진성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연결고리인 다양한 매개요인들이 가지는 서로 다른 기제의 영향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as antecedent simultaneously, and Psychological Capital a mediating variabl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plore both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by the type of leadership.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61 employe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2.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a single-method-factor approach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 of an unmeasured latent common method biases. The model is shown as adequately fitting to the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MX and Psychological Capital. Second, Psychological Capital has only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verified. In conclusion of this study, employee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improv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developed as an organizational intervention of state-like and not trait-like. Also, employees and leaders should provide the correct insights and directions through building empirical theory and scientific measurement. Second,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mpact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LMX,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various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봉주 ( Bong Ju Han )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1

        21세기 리더십 패러다임은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단기간의 경영성과를 올리기 위한 리더의 스타일이나 스킬 향상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심리를 고양시켜 구성원의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리더십을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는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제시하고 조직경영방안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회수한 147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는 변수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동일방법요인이 측정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동일방법편의에 의한 변수 간 공분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진성 리더십이 심리적 자본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변혁적 리더십은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성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있는 반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성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보다 효과적인 리더십이다. 따라서 기업은 진성 리더의 목표와 조직 목표 간의일체성(personal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강화, 경쟁담화(competing narratives)을 통한 자기인식 향상, 긍정적 감정과 행동의 확산(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model contagion), HR 제도와 방법론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을 함양해야 한다. 즉, 긍정조직행태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주제인 심리적 자본은 기질적(trait-like)이 아닌 상태적(state-like)으로서 조직적 개입을 통해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경험적 이론을 구축하고 과학적인 측정을 통해 조직과 구성원 및 리더에게 올바른 방향성과 통찰력을 제공해야 한다. The leadership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needs to change. In particularly, it should be noted that authentic leadership changes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uplifting their positive psychology away from the leader``s styles or skills to raise short-term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and authentic leadership as antecedent simultaneously, and psychological capital a mediating variabl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plore both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by the type of leadership.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47 employe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2.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a single-method-factor approach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 of an unmeasured latent common method biases. The model is shown as adequately fitting to the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here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effect on them. Second, onl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verified, wherea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In conclusion of this study, authentic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n transformation leadership. Therefore, for developing authentic leadership, it is important for corporations to make a identification of leader goals and organizational goals, improve self-awareness through competing narratives, spread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s (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model contagion), provide HR systems and methodologies. Employee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improv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developed as an organizational intervention of state-like and not trait-like. Also, employees and leaders should provide the correct insights and directions through building empirical theory and scientific measurement.

      • KCI등재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조직의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봉주(Han, Bong Ju)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3

        본 연구는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을 적용해서 조직의 조직문화가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동안 개인의 태도나 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일반화된 접근방법은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조직 내에서 개인의 태도나 행태는 개인수준의 특성뿐만 아니라 그보다 상위 차원의 조직수준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분석의 수준이 다른 경우 조직수준을 기존의 모델은 담지 못한다는 점이다. 결국, 조직문화도 분석의 수준 이슈에 있어 자유로울 수 없다. 본 연구는 HLM 분석을 통해 기존의 방법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HLM의 분석결과는, 조직의 합의문화만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직수준의 회귀분석을 이용한 결과와도 동일하다. 하지만 개인수준의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에서는 HLM의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결국, 어떠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변수간의 인과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이렇듯 변수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속성과 이론 모형에 적합한 접근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분석의 수준을 달리하는 다수준 자료인 경우 기존의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보다 HLM이 더 타당한 방법임을 보여준 본 연구는 조직 및 인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rganization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HLM). Meantime, the general approach to the regression equ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However,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the upper levels of the organization. This case is not supported that the existing model includes a organizational level. Eventually, organizational culture depends on the level of analysis issues. This study suggests that HLM enables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from the existing model. In result of HLM Analysis, it appears that only the consensual culture of the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ressio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level shows the same result. However, regression analysis of individual lev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ring about different result from one by HLM. Finally, a causal relationship depends on method of analysis used.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approach to the theoretical model and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 order to valid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HLM is a better choice than regression equ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case of the existing multi-level data.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 KCI등재후보

        변혁적 리더십 , 진성 리더십이 LMX 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봉주(Bong-Ju Han) 대한리더십학회 2015 리더십연구 Vol.6 No.3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을 동시에 고려하여 LMX 와 조직몰입에미치는 직․간접적인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 구성원의 태도나 행동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제시하고 조직경영방안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 분석을 위한 자료는 2012년 10 월부터 12 월까지 회수한 147 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는 변수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동일방법요인이 측정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동일방법편의에 의한 변수 간 공분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 진성 리더십이 LMX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 변혁적 리더십은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LMX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LMX 와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성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보다 효과적이다. 이러한 진성 리더십을 개발하기 위해, 기업은 진성 리더의 목표와 조직 목표 간의 일체성 (personal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강화 , 경쟁담화 (competing narratives)를 통한 자기인식 향상 , 긍정적 감정과 행동의 확산 (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model contagion), HR 제도와 방법론을 갖추어야 한다 . 둘째 , 진성 리더십이 LMX을 통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연결고리인 다양한 매개요인들이 가지는 서로 다른 기제의 영향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The leadership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needs to change. In particularly, it should be noted that authentic leadership changes employees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uplifting their positive psychology away from the leader's style or skill to raise short-term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and authentic leadership as antecedent simultaneously, and LMX a mediating variabl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plore both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by the type of leadership.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47 employe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9.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a single-method-factor approach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 of an unmeasured latent common method biases. The model is shown as adequately fitting to the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LMX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here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effect on them. Authentic leader builds LMX relationship with an employee who has their values n d beliefs of a similar authentic leader through having role-making process and social exchange with each employee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nd authentic leader holds to remain in their organization of an employee on formation of trust with him or her through expressing their true thoughts and feelings as well as sharing information. In addition, authentic leader improves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n employee who identify with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decision-making in order to collect a variety of views and opinions of an employee. On the other hand, transformational leader who has transformational appearance but lacks the authenticity and truthfulness of the inner and promote their own interests only, and exists in the gap between the usual skil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 words and actions, doesn’t have positive effect on an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LM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ransformational and authentic)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not verified. Authentic leader builds LMX relationship with an employee who has their values a nd beliefs of a similar authentic leader, but no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a variety of variables that connects between LMX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need to find. In conclusion of this study, authentic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a positive influence on LMX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n transformation leadership. Therefore, for developing authentic leadership, it is important for corporations to make an identification of leader goals and organizational goals, improve self-awareness through competing narratives, spread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s (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model contagion), provide HR systems and methodologies. In order to have a positive impact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LMX, More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about the mediating effects of various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과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봉주(Han Bong Ju) 한국인사행정학회 2015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4 No.1

        21세기 리더십 패러다임은 변화가 필요하다. 특히, 단기간의 경영성과를 올리기 위한 리더의 스타일이나 스킬 향상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심리를 고양시켜 구성원의 태도나 행동을 변화시키는 리더십을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는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직 간접적인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구성원의 심리적 자본과 조직몰입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리더십을 제시하고 조직경영방안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부터 12월까지 회수한 147부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분석 과정에서는 변수 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적인 동일방법요인이 측정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여 동일방법편의에 의한 변수 간 공분산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진성 리더십이 심리적 자본 및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변혁적 리더십은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성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있는 반면,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 간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첫째,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높이기 위해서는 진성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 보다 효과적인 리더십이다. 따라서 기업은 진성 리더의 목표와 조직 목표 간의일체성(personal &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강화, 경쟁담화(competing narratives)을 통한 자기인식 향상, 긍정적 감정과 행동의 확산(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model contagion), HR 제도와 방법론을 갖추어야 한다. 둘째, 진성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긍정적인 심리적 자본을 함양해야 한다. 즉, 긍정조직행태의 가장 핵심적인 연구주제인 심리적 자본은 기질적(trait-like)이 아닌 상태적(state-like)으로서 조직적 개입을 통해 개발해야 한다. 그리고 경험적 이론을 구축하고 과학적인 측정을 통해 조직과 구성원 및 리더에게 올바른 방향성과 통찰력을 제공해야 한다. The leadership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needs to change. In particularly, it should be noted that authentic leadership changes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through uplifting their positive psychology away from the leader's styles or skills to raise short-term for business performance improvemen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and authentic leadership as antecedent simultaneously, and psychological capital a mediating variabl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explore both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se by the type of leadership.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147 employee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2.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through a single-method-factor approach in order to control the effect of an unmeasured latent common method biases. The model is shown as adequately fitting to the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uthentic Leadership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 commitment, where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no effect on them. Second, only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verified, wherea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no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In conclusion of this study, authentic leadership is more effective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n transformation leadership. Therefore, for developing authentic leadership, it is important for corporations to make a identification of leader goals and organizational goals, improve self-awareness through competing narratives, spread positive emotions and behaviors (positive emotion and behavioral model contagion), provide HR systems and methodologies. Employees of th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improv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developed as an organizational intervention of state-like and not trait-like. Also, employees and leaders should provide the correct insights and directions through building empirical theory and scientific measurement.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조직의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이용한 분석수준별 비교를 중심으로-

        한봉주 ( Bong Ju Han )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2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9 No.2

        개인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총합(aggregate)하여 리더십을 측정하고, 동일한 대상들에게 수집한 개인의 태도나 행태의 자료를 측정하여 이들 상호 간의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동일방법오류(common method variance)로 인하여 잘못된 추론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이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분석의 수준이 다른 경우 기존의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은 조직수준을 담지 못한다는 점이다. HLM의 분석결과는, 조직의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조직수준의 회귀분석을 이용한 결과와도 동일하다. 하지만 개인수준의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에서는 HLM의 결과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결국, 어떠한 분석방법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변수간의 인과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분석의 수준을 달리하는 다수 준 자료인 경우 기존의 회귀방정식이나 구조방정식보다 HLM이 더 타당한 방법임을 보여준 본 연구는 조직 및 인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Meantime, the general approach to the regression equ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has been used to explain the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However, attitudes and behaviors of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level as well as the upper levels of the organization. This case is not supported that the existing model includes a organizational level. Eventually, Leadership depends on the level of analysis issues. This study suggests that HLM enables overcome the methodological limitations from the existing model. In result of HLM Analysis, it appears that only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ression analysis of the organizational level shows the same result. However, regression analysis of individual leve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bring about different result from one by HLM. Finally, a causal relationship depends on method of analysis used.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appropriate approach to the theoretical model and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 order to validate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HLM is a better choice than regression equ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 case of the existing multi-level data.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Organization and Human Resource.

      • KCI등재

        장골 검출기를 이용한 장골 검사에서 3D 프린터로 제작한 구리 필터의 유용성 연구

        김우영(Woo-Young Kim),서현수(Hyun-Soo Seo),한봉주(Bong-Ju Han),윤명성(Myeong-Seong Yoon),이영진(Young-Jin Lee)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21 방사선기술과학 Vol.44 No.6

        Long-bone examination is mainly used for inspection of the lower extremities. Recently, a long length detector (FXRD-1751S, VIEWORKS, Korea) with three digital detectors attached has been developed. High energy X-rays are used because pelvic areas require high image quality. In this case, X-rays are transmitted a lot in thin areas such as an ankle, and it is not suitable for diagnosing an image. Therefore, this study use copper filters made with 3D printers to increase image quality in the Long-bone inspection. A copper filter was manufactured in consideration of the overall thickness of the lower par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nterior-posterior (AP) and lateral (LAT) position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lter. 5x5 pixels of region of interest (ROI) were selected from the pelvis, knee, and ankle areas. X-rays were irradiated under the conditions of 70 kVp and 40 mAs for AP, 80 kVp, and 63 mAs for lat when without filters, 90 kVp and 80 mAs for AP, 90 kVp and 100 mAs for lat when with filters. signal to noise ratio(SNR) ratio and contrast to noise (CNR) values were measured 1106.38, 14.34 before applying the filter and 1189.32, 70.43 after the filter. For the knee area, 650.44, 97.61 before applying the filter, and 1013.17, 444.24 after applying the filter. For the ankle area, 206.65, 23.68 before applying the filter and 993.50, 136.11 after applying the filter. In the Long-bone examination, SNR and CNR were greatly measured when the filter was applied, confirmed the availability of using the copper additional filter.

      • KCI등재

        단일조사 whole spine Lateral 검사에서3D 프린터로 제작한 구리 필터 유용성 연구

        권경태(Kyung-Tae Kwon),윤다연(Dayeon Yoon),신래운(Rae-Un Shin),한봉주(Bong-Ju Han),윤명성(Myeong-Seong Yoon)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7

        WSS 측면 검사는 척추의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검사이다. 최근 대면적의 Long Length Detector가 보급되고 있어 피폭선량과 검사 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낙상 고위험군 환자 및 소아, 청소년기 환자의 검사에 매우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하지만 1회 조사로 영상을 얻기 때문에 기하학적인 척추의 해부학적 구조상 허리뼈 보다 목뼈 부근이 상대적으로 체적이 적어 목뼈 부위의 영상 품질은 진단 가치가 매우 하락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WSS 측면 검사에서 균일한 영상품질을 얻기 위해 3D 프린팅 기술과 구리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부가 필터를 제작하고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3D 프린팅 기술은 원하는 모양을 손쉽게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산업 분야 전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구리 소재의 필라멘트가 개발되어 부가 필터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WSS 측면 검사에서 부가 필터 적용시 CNR과 SNR이 우수하게 측정되어 부가필터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The WSS lateral examination is important for diagnosing spinal disorders. Recently, long-length detectors for large-area diagnose have been popularized to effectively reduce the exposure dose and examination time. It can be applied very efficiently to examinations of patients with high risk of falls,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ince the image is acquired through a single irradiation, the volume of cervical vertebra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lumbar due to the geometrical anatomy of the spine.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fabricate an additional filter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and copper filament to obtain uniform image quality in the WSS lateral examination and to analyze the results. 3D printing technology is able to easily print a desired shape, so it is widely used in the entire industrial field, and recently, a copper filament has been develop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as an additional filter. In the WSS lateral examination, CNR and SNR were excellently measured when the additional filter was applied,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additional fil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