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캠퍼스의 소리풍경 변화의 양상과 사회문화의 변용 :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를 중심으로

        한명호(Han Myungho),노시훈(Noh Shihun),조은재(Jo Eunja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2

        이 연구는 소리풍경의 현상과 변화의 양상을 대학캠퍼스의 자연생태, 사회문화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대학캠퍼스의 경관을 소리로부터 재발견하려는 시도이며, 소리를 통해 환경과 미적으로 교류하는 감성과 문화가 캠퍼스 내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전남대학교 용봉캠퍼스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청취조사를 위한 개별 응답용 조사용지를 작성하였고, 조사내용은 응답자의 개인속성(5항목)과 대학캠퍼스의 소리풍경 관련 내용(16항목, 자유응답)으로 구성하였다. 용봉캠퍼스의 구성원들은 캠퍼스의 새소리 등의 자연의 소리풍경과 5·18 민주화운동의 출발점이 된 집회/시위의 소리풍경을 매우 의미 있게 기억하고 있다. 용봉캠퍼스의 풍부한 자연의 소리가 들리는 환경, 그리고 대학 구성원들의 활동이나 생활방식이 소리풍경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일상의 시간이나 계절의 변화도 자연생태의 환경과 대학캠퍼스 구성원들의 활동이나 생활방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캠퍼스의 소리경관 자원의 종류나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소리풍경의 리듬과 템포의 변화를 이끌어 내기도 한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시각을 통해 감상하고 있었던 경관을 청각을 중심으로 전신감각으로 확대하는 소리풍경의 이념을 근거로 대학캠퍼스의 소리경관 자원의 존재를 깨닫고 눈으로만 보아왔던 경관과는 다른 새로운 매력을 재발견하려는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henomena and changes of the soundscape from the ecological and sociocultural viewpoint of the university campus. It attempts to rediscover the scene of the university campus through sounds and explores how the emotions and culture interacting aesthetically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sounds are expressed on the campus. A survey form of listening for individual responses was prepared for the members of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Yongbong Campus, and the survey consisted of the respondents personal attributes(5 items) and university campus soundscapes(16 items, free responses). It is understood that the Yongbongians meaningfully recollect the sounds of nature, such as the chirping of the birds, the sounds of the assembly and protests for democratization tha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sounds of the rich natural environment of the campus, the activities, and lifestyle of the members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soundscape. The changes of the time and the seas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ecological environment, activities, and lifestyles of the members, affecting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oundscape resources on the campus and even inducing rhythm and tempo changes in the soundscape. This research,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soundscape, expands the scene that has been viewed through the visual sense, to the scene perceived through the whole body sense with the auditory perception. It is meaningful because it is an attempt to rediscover a new attrac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scenery that has been viewed only by the eyes, realizing the existence of the soundscape resources of the university campus.

      • KCI등재

        대학캠퍼스의 시각과 청각 경관에 대한 의미구조와 심리적 속성 비교연구

        한명호(Han Myungho),이선화(Lee Seonhwa),윤형준(Yun Hyungjun),박현구(Park Hyeonk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는 대학캠퍼스에서 생활하는 학생들의 감성·기억·체험을 통해서 습득된 캠퍼스의 시각과 청각의 경관 평가를 위한 의미구조를 파악하고 그 속성에 대한 인식차를 비교 분석하는것이다. 자연, 역사와 전통, 규모와 배치 등이 서로 다른 호남의 3개 대학을 조사대상지로 선정하고, 대학캠퍼스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대학캠퍼스의 시각 경관에 대한 인상 요인은 매력성(attraction), 번화함(bustling), 정갈함(tidiness), 정취(flavor), 활력성(vitality), 균형감(balance), 개성(character), 개방감(openness) 등의 8가지 요인, 그리고 청각 경관에 대한 인상 요인은 활기(vigor), 정취(flavor), 리듬(rhythm), 번화(bustling), 평온(calm), 규칙성(regularity) 등의 6가지 요인이 관여한다. 이들요인에 대해서 대학캠퍼스 마다 인식차와 시각과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와평가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각 경관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활력성>매력성>개성>개방감>정갈함>정취>균형감>번화함이며, 청각 경관의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는 리듬>규칙성>활기>정취>평온>번화의 순으로 구성된다. 또, 개별대학캠퍼스의 시각과 청각 경관의 인상 요인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semantic structure for evaluating the landscape and soundscape of a university campus, acquired through the emotions, memories, and experiences of students living on university campuse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attributes. Three universities in Honam, which differ in nature, history and tradition, and size and layout, were selected as the survey sites, and the survey included students living on campus at these universities. The eight impression factors considered for the university campus’s landscape were attraction, bustling, tidiness, flavor, vitality, balance, character, and openness, and the six factors considered for soundscape were vigor, flavor, rhythm, bustling, calm, and regularity. From these factor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and both relative importance and position evaluation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landscape and soundscape at each university campu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landscape was in the following order: vitality, attraction, character, openness, tidiness, flavor, balance and bustling, and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with the soundscape in the following order: rhythm, regularity, vigor, flavor, calm, bustling. In additi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impression factors for both the landscape and the soundscape at each university campus was also confirmed.

      • KCI등재

        명상의 효과에 대한 평가 및 그 속성 : 일반 명상과 소리 명상의 비교

        이선화(Lee Seonhwa),윤형준(Yun Hyungjun),한명호(Han Myungho),박현구(Park Hyeonk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2

        명상으로 얻는 효과는 정신적 및 신체적 측면에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명상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명상을 통해 나타나는 변화를 평가할 수 있는 속성에 대한 도구가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명상의 효과와 평가를 위해 실행되었으며, 그 결과 명상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일반명상에 대해서는 불안정감, 걱정, 분노감, 불쾌감, 긴장감으로 분류되었으며, 소리명상에 대해서는 불안정감, 긴장감, 피로감, 분노감, 불쾌감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명상에서 분류된 걱정은 세부 항목의 내용을 통해 볼 때, 소리명상에서 긴장감에 포함될 수 있는 요인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명상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소리명상 효과의 의미로 추출된 ‘불안정감, 긴장감, 피로감, 분노감 및 불쾌감을 활용하면 명상의 효과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소리명상과 같이 특정 소리를 사용하여 명상을 할 경우 명상으로 인한 특정 효과를 살펴보는 데 매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짧은 기간 수행하는 명상에 대한 효과를 측정한 것으로 추후 장기간 명상의 효과에 대해 결과를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MBTI 성향에 따른 음원별 선호도를 찾고, 짧은 시간의 명상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현대인들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meditation can vary across mental and physical aspects.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meditation, we need a tool for attributes that can evaluate the changes that occur through medi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editation by deriving the factors that comprehensively evaluate such effects. General meditation was classified into insecurity, anxiety, anger, unpleasantness, and tension, while sound meditation was classified into instability, tension, fatigue, anger, and discomfort. Regarding the details of specific items, worry was classified into general meditation and considered to be a factor that can be included in tension in sound meditation. In summary, for evaluation purposes, the effect of meditation can be assessed systematically using “anxiety, tension, fatigue, anger, and discomfort” extracted as the meaning of sound meditation effect. Meditation using specific sounds, such as sound meditation,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examining the specific effects of meditation. This study measured the effect of meditation performed for a short time, and it seems necessary to compare the results of the long-term meditation with the study results in the future. Identification of the preference for each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MBTI tendency and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meditation for a short time can help in discovering ways to support the mental health of modern people.

      • KCI등재

        명상효과에 대한 비교분석 연구

        윤형준(Yun Hyungjun),이선화(Lee Seonhwa),한명호(Han Myungho),박현구(Park Hyeonk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1

        본 연구의 목적은 소리를 반복하는 형태의 명상과 호흡을 통해 생리적·심리적 이완을 유도하는 형태의 명상을 소리명상과 일반명상으로 구분하여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취지에 맞게 개발한 소리명상과 일반명상을 선정된 9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명상효과의 평가는 기존 연구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신체적 및 정신적 효과를 평가하는 항목을 조사하여, 기분 척도, 스트레스반응 척도, 신체증상 척도 및 분노평가 척도에서 활용된 평가항목을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활용하였다. 소리명상과 일반명상의 명상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대응2-표본 비모수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일반명상과 음원별 소리명상의 항목별 평균치를 비교하여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소리명상과 일반명상의 효과는 싱잉볼을 제외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으며, 하프와 힐링음악의 소리명상은 일반명상에 비하여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소리, 싱잉볼 및 폭포소리의 소리명상은 일반명상에 비하여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리명상과 일반명상의 평가요인별 명상효과를 살펴보면 불안정감의 명상효과는 하프과 힐링음악, 일반음악, 북소리와 싱잉볼 및 폭포소리 명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긴장·걱정의 명상효과는 하프, 일반명상, 북소리 명상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피로감의 명상효과는 하프, 일반명상, 폭포소리 명상 순으로 나타났으며, 분노감의 명상효과는 하프, 일반명상 순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불쾌감의 명상효과는 싱잉볼과 폭포소리 소리명상 효과가 일반명상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s of meditation in the form of repetitive sounds and meditation in the form of induc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through respiration and sound meditation. To this end, sound meditation and general meditation develop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applied to 92 selected university students. The evaluation items used in the mood scale, stress response scale, physical symptom scale, and anger evaluation scale were reconstructed and us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the meditation effects of sound meditation and general meditation, a corresponding 2-sample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compare and find the average value of each item of sound meditation by sound source and general medita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sound meditation and general meditation showed significant results excluding singing ball, and sound meditation of harp and healing music was found to be more effective than normal meditation. And the sound meditation of the waterfall sound was found to be less effective than general meditation. Second, looking at the meditation effects for each evaluation factor of sound meditation and general meditation, the meditation effects of instability were in the order of harp, healing music, general music, drum sound, singing ball, and waterfall sound meditation. General meditation, and drumming meditation in that order. The meditation effect of fatigue was in the order of harp, general meditation, and waterfall sound meditation, and the meditation effect of anger was in the order of harp and general meditation. Finally, the meditation effect of discomfort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meditation in the sound meditation effect of singing bowl and waterfall soun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