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무용수업 참가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과의 관계

        하혜석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8 No.-

        본 연구는 교양무용수업 참가 대학생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첫째, 개인별 특성 중 성별, 교양이수, 친구여부 등에서 교양무용수업을 통한 여가만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에서는 여가심리, 여가사회, 여가휴식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교양이수에서는 여가심리, 여가사회, 여가휴식, 여가생리, 여가환경에서, 친구여부는 여가심리, 여가사회, 여가교육, 여가휴식, 여가생리, 여가환경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별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에서는 교양이수, 건강상태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교양무용체육수업을 통한 여가만족과 생활만족과의 관계에서는 여가만족 중 여가사회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udents's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of liberal arts dance. The results which have been derived from analysis are as follows. 1. In the factors of gender, the completion of liberal arts and the existence of friends among individual features, the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a physical education class of liberal arts dance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2. Regarding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completion of liberal arts and physical condition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3.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physical class in liberal arts dance, the leisure community among leisure satisfaction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무용전공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

        하혜석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19 No.-

        본 연구에서는 무용(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전공자의 성격특성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들의 성격특성과 전공에 따른 정서의 차이 조사에서 SP(Sensing Perceiving: 인식과 행동양식의 감각인식형) 유형의 성격특성은 발레의 숙련된 동작 요구, 제약적인 표현방식과 맞물려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완벽을 요구하는 자기비판 성향이 높은 NT(iNtuition Thinking: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사고형) 유형의 성격특성은 발레전공자들의 부정적인 정서와 관련이 높다. 또한 NF(iNtuition Feeling: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감정형) 유형의 성격특성은 현대무용이 추구하는 성격특성에서의 자유로움과 탈피와 관련하여 활력감과 자긍심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며, 반대로 발레전공자들에게는 피로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들의 성격특성에 따른 신체의식의 차이 조사에서는 무용전공자들의 성격특성에 따라 신체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영역에서 높은 실력을 갖추게 될 가능성이 높은 NT(iNtuition Thinking: 인식과 판단양식의 직관사고형)유형의 성격특성은 완벽한 외적신체를 갖추기 위한 노력과 관련이 있는 외적 신체변인에 대한 의식의 점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신체를 사용하여 자신을 표현하는 무용 전공자들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항상 신체에 신경을 써야하는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mood and bod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a dancing specialist (the Korean dance, the modern dance, and the ballet).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the moo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and the major of dancing specialists, the character of SP(Sensing Perceiving) affects positively on the pride, the skilled requirements of action, and restricted expressions of a ballerina. On the other hand, the mood for a ballerina is effected negatively by the character of NT(iNuition Thinking) which has a high self-criticism and requires the perfection. Also the character of NF(iNtuition Feeling) which emphasize the creativity influences positively on the vitality and the pride in relation to the freedom and the deviations of character being pursued in modern dance. While, it increases the fatigue of a ballerina. 2) The bod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a dancing specialist is similar. Especially, for the character of NT(iNuition Thinking) showing potential ability in an interested area, the variables of physical performances for the modern dance are have a high grade.

      • KCI등재

        무용예술에서의 페미니즘

        하혜석,한아람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1

        Under the circumstances of implicit sexual discrimination many women have joined the feminist movement to seek their justified rights. While there ar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history of feminism, feminism is usually classified as ‘liberal feminism,’ which is centered o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and ‘radical feminism,’ which is centered mainly o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1960s. During its progression, cultural feminism in relation with the art of dance and post-modern feminism came into being. Cultural feminism applied to the art of dance altered the sexual stereotype images reflected on female dancers. During this process, male chauvinism in the male-dominated western dance culture has been torn down. On top of that, representative female modern dancers in the early 20thcentury, such as Isadora Duncan, Loie Fuller, Mary Wigman, and Martha Graham, suggested that dance is for women only. They stressed that female dancers should lead more active and aggressive lives, which eventually led to greater rights and benefits for female dancers. In the Korean scene of the art of dance, various dance performances, which reflect feministic views, have been created and performed on stages. Consequently, the social status of female dancers has greatly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a lot of dance performances are still projecting the image that male dancers are the “lead” and female dancers the “followers.” Moreover, female dancers are under intolerable pressure in taking good care of their appearance,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study suggests that female dancers’ utmost efforts are greatly needed to improve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and they are urged to raise awareness of feminism by seriously contemplating the meaning and value of feminism. Female dancers are also strongly advised to strive in taking leading roles as central figures by enhancing their professional capabilities as dancers. 암묵적으로 행해진 성차별에 대해 여성들은 그들의 권리를 찾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었고 이러한 움직임은 일반적으로 여권주의라 알려져 있는 페미니즘 운동이라 볼 수 있다. 페미니즘의 역사에 대한 접근은 학자마다 다양하나 통상적으로 볼 때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된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196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진행된 급진주의 페미니즘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페미니즘이 진행되는 과정 속에서 무용예술과 관련된 문화적 페미니즘 및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시각도 발생하였다. 무용예술에 페미니즘이 적용됨으로써 오랫동안 남성 위주의 문화가 이루어져 왔던 서양무용에서는 여성 무용수에 대한 성적 이미지가 파괴되고, 남성 우월주의가 해체되었다. 또 무엇보다 20세기 초 현대무용을 대표하는 이사도라 던컨, 로이 풀러, 마리 뷔그만, 마샤 그라함 등이 여성만을 무용을 제시하고, 여성 무용수들에게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삶을 살 것을 강조하면서 여성 무용수의 권익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우리나라 무용예술 분야에도 페미니즘의 흐름이 영향을 미쳐 페미니즘이 반영된 작품이 제작 및 공연되고 있고, 여성 무용수의 지위도 과거에 비해서는 크게 향상되고 있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많은 작품에서 남성 무용수는 ‘리드’, 여성 무용수는 ‘팔로우’라는 이미지가 반영되고 있고, 남성 무용수에 비해 여성 무용수에게는 혹독한 외모 관리가 강요되고 있다. 무용예술계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여성 무용수들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볼 것이므로, 여성 무용수들은 스스로 페미니즘의 의미와 가치를 고찰하여 페미니즘에 대한 인식수준을 향상시키고, 무용가로서 갖추어야 할 전문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작품 속에서 중심인물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마리 뷔그만의 표현주의가 현대 무용교육에 미친 영향

        하혜석 한국체육철학회 2010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8 No.2

        표면적인 현상과 기만적인 피상적 자극을 묘사하길 거부하고 인간의 정신적이고 내면적인 감동을 표현하고자 한 예술운동가 마리 뷔그만은 소규모 그룹이나 솔로로 작업하며 개인적 측면에서의 표현주의 기법을 선호하였으며, 무대공간과 무용수의 신체와의 유기적이고 조형적인 관계가 유지될 때 무용이 객관적 차원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그녀는 음악 없는 무용이나 사실적이고 경험적인 무용을 강조하였고 작품의 주제가 요구하는 철저한 단순한 이미지나 정신과 육체의 정직함을 표현하는 춤 형태에 중점을 두기도 하였으며 춤이 체험들을 반영하는 예술임을 강조하고 무용가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 자신의 육체에 대한 가능성을 터득하고 신체를 발달, 연마시킨 뒤에 까다로운 춤의 언어를 자유롭게 묘사할 수 있는 신성한 재능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은 표현주의 성향을 바탕으로 하여 마리 뷔그만은 무용교육에도 다양한 영향을 미쳤는데 첫째, 무용교육에 있어 표현교육을 더욱 중요시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창조적 표현활동을 가능케 하였고 둘째, 무용교육에 있어서 과거의 것을 답습하거나 짜여져 있는 안무에 치중하기보다는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움직임을 가능케 하였다. 셋째, 무용수의 몸으로 인한 움직임의 표현을 강조함으로써 무용 교육에 있어 무용의 기본을 강조하는 분위기를 조성하였고 넷째, 무용교육이 단지 학생들에게 움직임만을 가르치던 것에서 벗어나 춤을 통해 적극적으로 사회를 바꿀 수 있다고 믿는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마지막으로 마리 뷔그만은 무용교육에 있어 새로운 무용교육 이론을 제시하였고 제한되어 있던 무용의 표현범위를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Mary Wigman, an art activist who refused to depict surface phenomenon and deceiving superficial stimuli and intended to express the spiritual and introverted emotions of human beings, preferred expressionist techniques in individual level by working in small groups or as solo artist. She believed that her dance can develop into objective dimensions only when dancers' bodies maintain organic and formative relations with the stage space. Also, she emphasized dancing with no music or realistic and empirical dance. She would focus on strictly simple images required by the theme of dances or on dances expressing the spiritual and physical honesty of humankind. She emphasized that dancing is an art that mirrors experiences and insisted that dancers must first discover the possibilities of their bodies to develop and train them to have the sacred talents to freely depict the language of dancing. Based on her expressionist tendency, Mary Wigman influenced dance education in various aspects. First, s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xpression in dance education to enable creative expressions. Second, she encouraged experimental and original movements outside the existing choreographies of the past. Third, she emphasized the expression of movements created by dancers' bodies based on fundamentals of dance education. Fourth, she spread the belief that dancing can actively change the society when dance education goes beyond teaching movements to students. Last, Mary Wigman suggested a new theory of dance education and contributed to expanding the range of expression by dancing.

      • KCI등재

        ‘생활하는 몸’에 있어서 춤의 의미

        하혜석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4

        Given recognition that everyday life is a sphere where a body is alive by itself, this study views the subject of existence as body itself and attempts to figure out the value of ‘body in everyday life.’ In doing so,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ancing, a connection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s, and eventually attempts to examine a possibility of perceiving dancing reflected by a body in everyday life. As for results, first of all, understanding a body as everyday life existence is to see everyday life with views of a body itself as a subject. Secondly, ‘a body in everyday life’ perceives its existence as a subject that conducts the biological practice by itself through its unique process of perception. When we reach this perception, it becomes possible to realize subjective participation into a segregated part of body. Through such experience of everyday life, sometimes it can be anxiety or delight, we can realize that a body is alive and perceive its desire for survival. Third, a dancing created by a body in everyday life leads to ‘new understanding of the life. ‘A body of everyday life’that experienced the subjective participation into a segregated part of body can enjoy dancing with freedom since it becomes a sphere under which it can freely realize itself and its biological power. In short, it is ‘arts of everyday life’ with a dynamic energy. Everyday life is a stage not only for our lives but also for arts. A starting point of this multiple performance is our body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스스로 살아 움직이는 몸의 현장이 일상생활세계라는 점에 착안하여 생활의 주체를 몸으로 보고 ‘생활하는 몸’의 가치를 규명해보며 그 가운데 춤이란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조명하여 생활과 예술의 연관성, 더 나아가 생활하는 몸으로서 춤의 가능성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생활의 주체를 몸으로 보고 몸의 입장에서 일상 둘러보기였다. 둘째, ‘생활하는 몸’은 몸의 입장에서 일상의 저절로 움직이는 이면에는 몸의 고유한 인식과정이 있었고 몸의 접점을 느낄 때 비로소 몸의 고유한 영역에 대한 주체적인 참여가 가능하며 참여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생활하는 몸’은 생활 속에서 위기감과 기쁨 등으로 다가오는 내 몸의 접점을 맘껏 느껴봄으로 살아 있음, 살고 싶음의 확인이다. 셋째, 생활하는 몸에 있어서 춤의 의미는 ‘생활하는 몸’으로서 ‘일상의 재발견’이다. 몸의 고유한 영역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여 생활을 만끽하는 ‘생활하는 몸’에 있어서의 춤은 몸의 생활 그 자체로서 신명나는 생명체험의 장이며, 생명이 드러나는 ‘생활이라는 예술’이다. 생활과 예술의 무대는 바로 우리의 삶이며 그 움직임의 출발은 일상의 몸이다.

      • KCI등재

        재즈댄스 : 활성화를 위한 소고

        한아람,하혜석,김미숙 한국체육철학회 2017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5 No.4

        In modern society, the population enjoying the experience-based leisure culture through movement is increasing. As a result, educational and leisure activities on the theme of movement are highlighted and the area of living dance is also receiving great attention from the public. Jazz dance, one of these living dance areas, has become a part of the life dance field in Korea based on its popularity in the early 1990s. Jazz dance covers various genres and also includes popular elements and artistry that the general public directly participates in. It has the same context as the flow of modern society which emphasizes diversity. But I would like to say that the current Korean jazz dance is the stage of hesitation and stopping. In order to become a lively jazz dance in stopping, the direction of jazz dance education should be changed based on the class composition and the class composition including the value of jazz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jazz dance as a living danc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lessons taught in the United States. The following are ways to activate jazz dance as a lively living dance. First, the education method needs to be improved. Second,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jazz dance leader. Third, the expans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ions. Lastly, the art of jazz dance should be emphasized and developed.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be useful data in the stage of stopping of current jazz dance. 현대사회는 움직임을 통한 체험형 여가문화를 즐기는 인구가 늘어가는 추세이다. 그에 따라 움직임을 주제로 한 교육 활동, 여가활동이 주목받고 생활무용영역 또한 대중에게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생활무용인 재즈댄스는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춤이며, 일반대중이 직접 참여하는 대중적 요소와 예술성 또한 포함하고 있어 다양성을 강조하는 현대사회의 흐름과 같은 맥락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생활무용영역 중 하나인 재즈댄스는 90년대 초 전문 무용수들 뿐 아니라 대중들에게 큰 인기를 누리며 생활무용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재즈댄스는 2000년대 초반에 들어 급작스럽게 그 인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활무용으로서의 재즈댄스의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미국의 재즈댄스 수업과 비교를 통해 알아보고 활성화 하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생동하는 생활무용으로서의 재즈댄스의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재즈댄스 지도자의 의식 변화이다. 셋째, 전문 교육 기관의 확충이다. 넷째, 생활무용으로써의 재즈댄스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다. 이는 현재의 재즈댄스가 처한 멈춤의 단계에서 다시금 활성화 될 수 있는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Pina Bausch 작품의 미적특질에 관한 고찰

        김미숙,하혜석 한국체육철학회 2009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17 No.4

        In order to examine esthetic features of Pina Bausch’s choreography, I studied her ‘improvisational choreographic expression,’ ‘musical composition and collage arts’, and an arrangement of stage equipments. As a result, while an expressionist dance is characterized by its simple abstinence, Pina Bausch’s dance uses a lot of equipments to maximize an its impact, which leads to the spotlight of dancer’s improvisation. In addition, contrary to a classic dance’s musical components that simply help dancer’s understanding on the movements of rhythm, Pina Bausch uses musical components in analytical and critical ways to emphasize a dynamic of situations and movements. Also, she adopts discontinuity of collage arts to raise improvisational impacts and emotional expression. Besides, stage equipm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Pina Bausch’s dance. Every tool and device has particular features and is used in a practical way. Her choreography focuses on the natural and essential elements, rather than artificial addition and her works makes the most use of lighting effects, which eventually leads Pina Bausch’s works to be recognized as excellent choreography. Pina Bausch is a leading modern dance choreographer, but her works are featured by multi-media production that adopts esthetic impact of music, painting, language, nature, etc. in addition to dance. Another esthetic feature of her works is to extend a realm of dance which is generally perceived as visually characterized art, into socialization of arts by adding the theatrical performance to her works. 본 연구에서는 피나 바우쉬의 미적 특질을 조명하기 위해 그녀의‘즉흥적인 작품 표현성’,‘음악구성과 꼴라쥬 기법’,‘무대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피나 바우쉬는 표현주의 무용의 절제성을 유지한 반면 많은 장치를 사용하여 작품의 효과를 극대화시켰고 이는 무용수의 즉흥적인 연기를 돋보이게 만드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고전주의 무용이 음악을 무용가를 위한 리듬 파악의 방법으로 이용한 반면 피나 바우쉬는 행동과 상황의 장면 강조를 위한 분석적․비평적인 형태로 음악을 사용하고 음악이 가진 즉각적 효과와 감동 표현의 기능에 맞춰 꼴라쥬 기법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무대 구성은 피나 바우쉬의 작품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그의 무대에서는 모든 소도구나 장치들이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실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 그대로의 본질적인 것에 초점이 맞춰지며 조명의 적절한 사용으로 작품의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하였는데 이러한 것들은 모두 피나 바우쉬의 작품이 예술적 가치를 지닌 작품으로 승화되는 데에 크나큰 역할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피나 바우쉬는 대표적인 현대 무용가이지만 그녀의 작품이 가진 성향을 살펴볼 때 무용 외의 음악, 미술, 자연 등의 모든 영역이 가진 미적 특질을 잘 파악하고 작품에 반영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무용의 시각적인 예술성을 나타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무용에 연극적 요소를 포함시켜 사회성을 반영하였는데 이러한 특징도 그녀가 가진 미적 특질이라고 할 것이다.

      • KCI등재

        논문 : 무용전공자의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

        오윤선 ( Youn Sun Oh ),하혜석 ( Hye Seok Ha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0 무용역사기록학 Vol.20 No.-

        본 연구는 무용 전공자(현대무용, 한국무용, 발레)의 전공과 사회적 배경에 따른 정서 및 신체의식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전공자들의 전공과 사회적 배경에 따른 정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한국무용전공은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으며, 반면 발레 전공은 긴장, 우울, 노여움, 피로감, 혼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발레가 고난도의 테크닉이 요구되는 동시에 부상에 대한 염려가 높아 긴장감과 피로감이 높게 나타남에 기인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현대무용 전공은 활력감과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현대무용이 가진 동작의 자연스러움과 상상력과 추상적인 내면의 감정 표출 가능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무용전공 경력은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한국무용의 10년 이상 경력을 가진 경우 가장 높게 자긍심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무용전공 학생들의 건강상태와 수상경험 역시 자긍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자들의 전공과 사회적 배경에 따른 신체의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특히 현대무용 전공은 내적 신체변인에 영향을 미치고, 한국무용 전공은 외적 신체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현재의 학력과 무용전공 경력, 수상경험 특성, 건강상태의 특성도 신체의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t mood and bod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dancing specialis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Korean dance, the modern dance, and the ballet).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xperiences of winning prize as dancing specialists affect the emotion- psychological variable. This affects the chaotic sensitivity and pride, especially the modern dancing specialists without experiences of winning prize experience the negative mood due to the discompose and stress in their mind. 2) The students having a major in dancing, experiences of scholarships and winning a prize show similar mental conditions about the body consciousness.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material of dancing education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researc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ing specialists` social background and psychological variable, understanding each individual`s emotion and physical awareness, selecting the major pertaining to each emotion and physical awareness and, as a result, inducing the positive change among th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