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분퇴비와 화학비료 시용이 간척지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정민웅,최기춘,표효열,최은민,김천만,김종근,박형수,송채은,김맹중,김원호,임영철,Jung, Min-Woong,Choi, Ki-Choon,Pyo, Hyo-Yeul,Choi, Eun-Min,Kim, Cheon-Man,Kim, Jong-Geun,Park, Hyeong-Su,Song, Chae-Eun,Kim, Maeng-Jung,Kim, Won-Ho,Lim, You 한국축산환경학회 2011 축산시설환경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effect of cattle manure and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on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silage corn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at Dangjin Province in Korea. The cultivars of silage corn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Kwangpyungok and Pioneer (P32B33). The fertilizer was applied according to recommended dose of application. The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was created for farming in 1985 and approximately 5 to 10 years ago rice was cultivated in full-scale. Recently,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has a limitation to cultivate the crops, due to increased salinity caused by drought and poor drainage system. The total area of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was 305 ha, and silage corn was sown on 149 ha of the reclaimed paddy field in nine regions, such as Songsan 28 A and B, Songsan 27 A and B, Songsan 42 A, B and C, and Songsan 43 A and B. The productivity and nutritive value of corn were evaluated collected from each of nine experimental regions. Dry matter (DM) yields of P32B33 in Songsan 28 A and B, and Songsan 27 A were 13 to 15 ton/ha and it was increased 3 to 5 ton/ha as compared to those of Songsan 27 B. DM yields of Kwangpyungok in Songsan 42 A, and Songsan 43 A and B were 23 to 27 ton/ha and it was increased 15 to 16 ton/ha as compared to Songsan 42 A and B. The nutritive value of cor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Kwangpyungok and P32B33, but the yield of Kwangpyungok corn silage was higher compared to P32B33.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good drainage system is important to maintain normal growth and productivity of corn in the reclaimed paddy field. 본 시험은 충남 당진 석문간척지 논에 첨가적인 우분퇴비의 시용을 통하여 벼 대체 여름 사료작물인 옥수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논을 이용한 옥수수의 이용성 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석문 송산 간척농지는 1985년에 조성되어 본격적인 벼농사가 이루어진지는 약 5~10년 정도 되었다. 현재도 가뭄에 의한 염해 현상이 나타나고 배수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사료작물 재배지로써는 한계가 많은 간척농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305 ha 중 일부인 149 ha에 옥수수를 파종한 송산 28단지 A와 B 지역, 송산 27단지 A와 B 지역, 송산 42단지 A, B 그리고 C 지역 및 지역송산 43단지 A와 B 지역에서 무작위로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였다. 송산 28단지 A와 B 및 송산 27단지 A에서 재배된 P32B33의 건물수량은 ha당 13~15톤으로 송산 27단지 B 보다 약 3~5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으며, 송산 42단지 A 및 송산 43단지 A와 B에서 재배된 광평옥의 건물수량은 23~27톤으로 송산 42단지 B와 C 보다 약 15~16톤 정도 높은 수량을 보였다. 석문 간척농지의 논에서는 도입 품종인 P32B33보다 국내보급 품종인 광평옥이 현저하게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지역간 옥수수의 사료가치는 약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품종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간척농지인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비료원의 공급보다는 배수가 양호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간척지에서 수확한 옥수수 AG-BAG 사일리지의 품질에 관한 연구

        최기춘(Ki Choon Choi),표효열(Hyo Yeul Pyo),정민웅(Min-Woong Jung),박형수(Hyung Soo Park),김종근(Jong Geun Kim),송채은(Chae Eun Song),백광수(Kwang Soo Baik),윤세형(Se Hyung Yoon),서성(Sung Seo),임영철(Young Chul Lim)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논에서 재배된 옥수수를 이용하여 AG-BAG 사일리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충남 석문 간척지에서 수행되었다. 옥수수 AG-BAG 사일리지의 수분함량은 68~79% 범위를 유지하였고, pH는 3.49-3.66을 유지하였으며 수확기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수확기가 늦어짐에 따라 AG-BAG 사일리지의 조단백질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섬유소인 NDF 및 ADF 함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수확기가 늦어짐에 따라 젖산 함량은 증가되었으나(P<0.06) 초산 함량은 감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단위 간척지 논에서 재배된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에 AG-BAG의 이용은 사일리지 발효가 양호하여 품질을 향상시켰을 뿐 만 아니라 옥수수 사일리지 제조에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nutritive values and quality of agricultural bag (AG-BAG) silage manufactured with corn grown in reclaimed paddy field of Sukmoon at Dangjin Province in Korea. The cultivars of silage corn used in this experiment·1 were both Kwangpyungok and P32B33. The fertilizer were applied with the amounts of customary applications (200 kg N/ha, 160 kg P2O6/ha and 160 kg K2O/ha). The content of moisture in corn AG-BAG silage ranged from 68 to 79%. The pH in corn AG-BAG silage stages ranged from 3.49 to 3.66 and was not influenced by the harvest time.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in corn AG-BAG silage decreased with delayed harvest time. However, the contents of ADF (acid detergent fiber) and NDF (neutral detergent fiber) increased. The content of lactic acid increased with delayed harvest time, but the content of acetic acid decreased.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system of AG-BAG silage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rn silage and be one of the economical and effective methods to manufacture corn sil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