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문식 경험에 따른 양식(mode) 사용 양상 분석

        편지윤 ( Ji Yun Pyeon ),강지은 ( Ji Eun Kang ),이혜인 ( Hye In Lee ) 한국작문학회 2015 작문연구 Vol.0 No.27

        이 연구는 매체의 변화가 인간의 사고를 재구조화한다는 월터 옹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식 환경의 변화가 인간의 언어 사용 및 사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변화의 구체상은 어떠한지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식 환경 변화에 따른 언어 사용 양상을 양식(mode)의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주로 경험한 문식 환경의 양적·질적 차이에 관여하는 연령, 자주 노출된 문식 장면, 디지털 매체 활용 능력, 디지털 문식 환경 친숙도 등을 고려해 디지털 원주민 집단과 이주민 집단을 비교 집단군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세 가지 지점에서 주목할 만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원주민 집단은 이주민 집단에 비해 폰트 종류, 크기, 색깔까지도 양식으로 사용하는 등 양식 범주를 폭넓게 상정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디지털 문식 환경에 따른 사고 변화의 대표적 양상인 ‘2차 문자성’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두 집단 모두에게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현재의 문식 환경이 디지털 문화와 문자 문화가 공존함에 기인하는 것으로, 두 문식 환경 간 상호적 재매개(remediaion)의 결과로 해석된다. 셋째, 원주민 집단은 이주민 집단과 달리 하나의 양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다양한 의미 효과를 기대하며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처럼 집단별로 양식의 기능역이 차이를 보이는 것은 디지털 매체 및 환경에의 친숙도와 경험 정도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Based on the argument of Walter J. Ong that the change of rhetorical media rebuilds human`s thought, this study aims to search whether human`s linguistic thought(structure) vary by the change of rhetorical media, and how the variation is detailed. For this, the aspect of the use of language was analyzed in the dimension of mode. The comparison target of the study was chosen regarding the intimacy and experience toward digital language environment. Concretely, age as the standard, after separating subject into two groups; native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form language and migrates who are not.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e three remarkable differences. Firstly, the ``digital native``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utilizing a wide range of category such as font`s color and size and type compared to the ``digital migrates``. Secondly, in the case of ``secondary literacy`` which is a representative aspect of human thought variation according to digital literacy was shown in both group, with minor difference. This kind of consequence results from the coexistence of digital culture and character culture, and is interpreted the result of mutual remediaion of two culture. Third, the native group showed the tendency of expecting one form of media to come up with various results and effects, compared to the migrates who are not. As can be seen in the study, the difference of the functional range of the form is rooted in the intimacy and the amount of experience toward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

        보도자료 기사화를 통해서 본 독서 담론 형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 2013 국민 독서실태 조사 결과 보도를 중심으로

        서혁 ( Hyuk Suh ),편지윤 ( Ji Yun Pyeon ),류수경 ( Su Kyeong Ryu ) 한국독서학회 2015 독서연구 Vol.0 No.35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phenomenon on reading discourse in Korean society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regarding “2013 Research Report on Reading Status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ess releases have a optimistic viewpoint and emphasize the output of the policy, which based on the increasing rates of reading. Whereas newspaper articles tries to stimulate the readers`` willingness and consuming books because of the low rate of reading. This means that newspapers give attention to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ading life rather than qualitative, such as culture or discourse on reading. In particular, newspapers strengthen the paper book reading rather than digital book, which implicates economic perspectives of producing and consuming books. In conclusion, various reading discourse has its different interest on reading, which implicates that we need mcuh more communication, policy innovations, educations, solidarities between medium to coexist in the future of reading life.

      • KCI등재

        문제 해결 상황에서 독자의 눈동자 움직임 및 뇌파 특성 분석: 독해력 수준에 따른 독자의 과제집착력(task commitment) 양상을 중심으로

        서혁 ( Hyuk Suh ),김지희 ( Ji Hee Kim ),편지윤 ( Ji Yun Pyeon ),신윤하 ( Yun Ha Shin ) 한국독서학회 2016 독서연구 Vol.0 No.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ye tracking and EEG while readers conduct problem.solving in their reading tasks. Most of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mainly have mentioned reading comprehension and problemsolving limited in cognitive dimension such as reading skills and strategies. In this study we analysed the reading behaviour in affective dimension in terms of task commitment which will be a new approach in reading research. Research project was set up to look at the task commitment to identify any significant differencesdepending on the reader.s comprehension level. The subjects were two groups according to the comprehension level of target college students. High complexity informational text was modified to use for the college student. As a results, we find out the two main characteristic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ask commitment in problem.solving depending on the reader.s reading comprehension level. The readers group who have high level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onducted selective attention to the text clues.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duration of attention in problem.solving depending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level. The readers group who have low level ability, heir attention was decreased continuously, whereas the index of stress was high. In shor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task commitment between two groups, good readers and poor readers.

      • KCI등재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한 텍스트 복잡도(Degree of Text Complexity) 상세화 연구 (2)

        서혁 (Suh, Hyuk ),이소라 ( So Ra Lee ),류수경 ( Su Kyeong Ryu ),오은하 ( Eun Ha Oh ),윤희성 ( Hee Sung Yoon ),변경가 ( Kyung Ga Byun ),편지윤 ( Ji Yun Pyeo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7 No.-

        본 연구에서는 읽기(독서) 교육 체계화를 위하여 텍스트 복잡도를 상세화하여, 텍스트 내적 복잡도 공식을 개발하였다. 기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보완하기 위해 (1) 이독성 측정을 위한 등급별 어휘집 마련, (2) 문장의 복잡도 측정 체계 개발을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 삼았다. 텍스트 복잡도 공식 개발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본고에서 마련한 등급별 어휘 목록 A, B, C등급 및 그 이외의 서로 다른 단어들의 포함 여부와 문장 길이 및 문장 복잡도 측정 체계에 따른 문장 복잡도 평균이다. 또한 종속변수는 전문가가 판단한 텍스트의 적정 학년 평균으로 회귀분석을 통해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산출하였다. 이 중 초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길이가, 중등에서는 어휘와 문장의 복잡도가 더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등과 중등 교과서의 텍스트 학년 수준의 적합성을 판별하기에 적절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을 각각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초등 및 중등 수준의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다음과 같으며, 해당 공식은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에 대해 75.2%, 중등에 대해 65.6%의 설명력을 지닌다. 초등 텍스트 학년 수준 = 7.438 - 0.391×(문장 수) + 0.032×(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0.016×(문장 수×A등급 이외의 단어 수) * R2 = 0.752 중등 텍스트 학년 수준 = -0.060×(A등급 단어 수) + 0.145×(C등급 이외 단어 수) + 0.110×(문장 복잡도) + 0.024×(문장 복잡도×C등급 이외 단어 수) + 9.075 * R2 = 0.656 본 연구에서 마련한 텍스트 복잡도 공식은 텍스트 내적 요인만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였다는 점에서 일정 부분 한계를 지닌다. 향후 총체적인 텍스트 복잡도 공식 마련을 위해서는 텍스트 복잡도 외적 요인인 배경지식과 과제 요인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xt Complexity Formula more precisely. For this, we focused on complementing the list of words and elaborating the measurement of Sentence Complexity. Independent variables used in this Formula are graded vocabulary list and the figure of sentence complexity calculated by the length and structure of sentence.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determination on text of the appropriate grade level by experts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suggested two Text Complexity Formular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which has the power of explanation of 75.2% about difficulties of texts in elementary level and 65.6% in middle school level. The Text Complexity Formula, we finally determined, is as follows. ETGL = 0.032uWa - 0.391S + 0.016uWaS + 7.438 * R2 = 0.752 ETGL = Elementary Text Grade Level uWa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S = The number of sentence uWaS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A × The number of sentence STGL = - 0.060Wa + 0.145uWc + 0.110C + 0.024uWcC + 9.075 * R2 = 0.752 STGL = Secondary Text Grade Level Wa = The number of words in word list A uW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uWcC = The number of words except word list C × Degree of Sentence Complexity This Text Complexity is only focused on the quantitative features of the internal texts. So,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studies for supplementing the formula through includi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the text like Reader variables(reader`s background knowledge) and Task vari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