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高麗·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한 고찰

        카와니시 유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장서각 Vol.0 No.27

        This thesis documents on non-Gosin(告身) styled document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which is the written appointments except for regular ones as known as Gosin including Josamunseo(朝謝文書), Gwangyo(官敎), and Gyochop(敎牒). The existence of written appointments, such as Chacheop(差帖) and Jeonryeong(傳令) in the Joseon Dynasty, and Chabu(箚付) from the late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have been confirmed,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a few individual researches on it without tak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erefore, this thesis aimed to organize types and functions of non-Gosin styled documents in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and als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non-Gosin styled documents and Gosin in the Tang, Song, Yuan, and Ming dynasties in China additionally to see the origin of it. These approache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Chacheop,Chagwan(差關), and Jeonryeong were used as a document of appointment in the Joseon Dynasty, which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were granted by central or local officials, not given for Changwan(散官), and used for particular official appointments. As a non-Gosin styled documents from the late of Goryeo to early Joseon Dynasty, there were Chabu, and so on used when appointing people in Jeju or Jusen to Manho(萬戶), Cheonho(千戶), Baekho(百戶), etc.. Moreover, many common points about non-Gosin styled documents are found among the Goryeo, Joseon Dynasties and each dynasties in China which proclaims that the former lies on the latter’s genealogy. 이 글은 高麗와 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하여 고찰한 것이다. 非告身 임명문서란 통상 임명에 사용되었던 告身(朝謝文書·官敎·敎牒) 이외의 임명문서를 가리킨다. 조선시대에는 差帖이나 傳令과 같은 임명문서가, 그리고 고려말기·조선초기(13세기 중엽~15세기 말)에는 箚付 등의 임명문서가 존재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非告身 임명문서에 대해서는 이제까지 소수의 개별 연구가 있었을 뿐이고, 그실태가 종합적으로 검토된 적이 없었다. 때문에 이 글에서는 高麗·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의 종류와 기능의 정리를 목적으로 삼았다. 또 非告身 임명문서의 기원에 대해서 고찰하기 위해 중국 여러 왕조(唐·宋·元·明)의 告身과 非告身 임명문서의 관계에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검토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에는 差帖·差關·傳令이임명문서로서 사용되고 있었다. 그 특징은 ①중앙·지방의 관부·관료에서 발급되었고, ②散官(文武散階)을 부여하지 않았고, ③특수한 관직임명에 사용되었다고 정리할수 있다. 고려말기와 조선초기의 非告身 임명문서로서는 箚付 등을 들 수 있고, 濟州人이나 女眞人을 萬戶·千戶·百戶 등으로 임명할 때 사용되었던 것이 확인된다. 또 高麗와 朝鮮의 非告身 임명문서와 중국 여러 왕조의 非告身 임명문서에는 공통점이 많아 전자가 후자의 계보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려 공민왕대 발급 鄭光道敎書의 재검토 — 팍바자 駙馬高麗國王印의 압인 사례 —

        카와니시 유야 수선사학회 2019 史林 Vol.0 No.70

        Issued in 1360, “Jeong Gwangdo Gyoseo” is currently held at Taesa-myo(太師廟) in Andong(hereinafter the Taesa-myo-held document will be referred to as the “Hyeonjon Gyose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each have photographic plates of “Jeong Gwangdo Gyoseo” (the photographic plate of document will hereinafter be referred to as “Geonpan Gyoseo”). Although “Hyeonjon Gyoseo” and “Geonpan Gyoseo” reveals important differences. Particularly notable is the phagspa-character seal “Buma-goryeo-gugwang-in(駙馬高麗國王印)” in “Geonpan Gyoseo.”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text with the phagspa-character seal was forged at a later point, which strongly indicates that “Geonpan Gyoseo” is the authentic document. Furthermore, as I investigated the provenance of “Jeong Gwangdo Gyoseo,” it became clear that “Geonpan Gyoseo” was continually held at Taesa-myo at least from the early 17th century until 1935. Various characteristics of “Hyeonjon Gyoseo” strongly indicate that it is a copy of “Geonpan Gyoseo” made in a later period.

      • KCI등재

        『국조열성어필(國朝列聖御筆)』 소재(所載) 조선초기 국왕문서 : 태조대(太祖代) 관교(官敎)와 세조대(世祖代) 면역교지(免疫敎旨)

        카와니시 유야 한국고문서학회 2016 古文書硏究 Vol.48 No.-

        근년에 들어 조선초기(14세기말-15세기말)의 고문서에 관한 논문이 점점 발표되기 시작하였지만, 연구의 진전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그 이유의 하나는 당시의 고문서 사례수가 너무 적어 심층적분석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조선초기 고문서 연구의 심화와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사례를 발굴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연구 과제를 염두에 두면서, 조선초기 고문서 발굴 작업의 일환으로 일본 東洋文庫에 소장되어 있는 “國朝列聖御筆”에 게재된 2점의 고문서를 들어 그 성격과 내용을 살핀 다음, 문서의 진위를 검토하고자 한다. “國朝列聖御筆”은 朝鮮本 장서가로 유명한 일본인 前間恭作(마에마 쿄사쿠)이 일찍이 소장하고 있던 책이다. 본서는 조선왕조 역대 국왕의 御筆을 摹刻한 法帖이며, 17세기 후반 이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列聖御筆’이라는 서명을 지니는 책은 조선시대에 몇 종류가 간행되었지만, 본고에서 거론하는 고문서가 게재되어 있는 것은 동양문고 소장 “국조열성어필”이 유일하다. “國朝列聖御筆”에 보이는 2점의 고문서 중, 하나는 1393년(太祖 2)에 발급된 志英官敎이며, 또 하나는 1457년(世祖 3)에 발급된 道岬寺免役敎旨이다. 전자는 국왕이 僧人 志英을 禪師로 임명하는 官敎(임명교지)이며, 후자는 전라도 영암에 있는 道岬寺의 雜役을 減免토록 국왕이 관찰사와 수령에게 명한 교지이다. 道岬寺免役敎旨와 같은 내용을 지니는 世祖代의 교지는 龍門寺, 廣德寺, 開天寺 등에도발급되었으며, 이들 사찰에는 지금도 原文書가 전존하고 있다. 당시의 각종 사료를 참고로 하여 志英官敎와 道岬寺免役敎旨를 검토한 결과, 그 양식과 내용에 의심스러운 점은 보이지 않으므로, 이들 문서를 眞文書로 인정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志英官敎는 현재 확인되는 조선시대의 官敎 중 가장 오래된 사례이며, 또한 조선초기의 유일한 승인 임명문서로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한편 道岬寺免役敎旨는 世祖代에 道岬寺에도 잡역을 감면하는 교지가발급되었다는 사실을 전하고 있으며, 당시 이 사찰의 위상을 고찰하는데 있어 중요한 사료이다. Although the ancient document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from the end of 14th century to the end of 15th century) have been under study during recent years, progress of the research seems to have limitations. One of the reasons is that cases of ancient documents at that time are so rare that it is hard to study them deeply. Therefore, it should be our highest priority to search and analyze new cases of ancient documents in order to deepen and develop the research of document issued in early Joseon Dynasty in the future. With this research task in mind, this study dealt with 2 copies of ancient documents included in the Gukjo-yeolseong-eopil (國朝列聖御筆) archived at Toyo Bunko in Japan to reveal its authenticity by investiga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tents as a part of excavation of ancient documents of early Joseon Dynasty. Gukjo-yeolseong-eopil is the book used to be collected by a Japanese, MAEMA Kyosaku(前 間恭作). This collection of the handwritings by the kings of Joseon Dynasty is estimated to be publishedaround 17th century. There are several books titled “Yeolseong-eopil”, but only Gukjo-yeolseong-eopil archived at Toyo Bunko includes the documents adopted in this study. One ancient document included in Gukjo-yeolseong-eopil is “Jiyeong-gwangyo”(志英官敎) issued in 1393, and another is “Dogapsa-myeonyeog-gyoji”(道岬寺免役敎旨) issued in 1457. The former one is the letter of appointment issued by the king to a monk, Jiyeong. The latter on is the letter for ordering to exempt Dogapsa from taxation by the king.By referring to other documents at that time and discussion, there is no doubt about thestyles and contents of Jiyeong-gwangyo and Dogapsa-myeonyeog-gyoji. Therefore, the authenticity of these documents can be confirmed. Jiyeong-gwangyo is the oldest case during all the gwangyo confirmed during Joseon Dynasty era. In addition, it is highly precious as the only letter of appointment to a monk during early Joseon period. Dogapsa-myeonyeog-gyoji is also important since it was proved that the letter toexempt from taxation had also been issued to Dogapsa in the middle of 15th centu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