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학습에서의 Learning by Teaching 적용가능성

        최효선,Choi, Hyoseon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2021 의학교육논단 Vol.23 No.1

        Learning by teaching (Lb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learning behavior that constructs meaning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LbT as an important learning activity for future implementation in education. LbT is based on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as developed by scholars including Vygotsky. These frameworks value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ased on language, and LbT i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constructing meaning. In addition, with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osited by Vygotsky,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higher-order thinking, deep learning, and reflective learning. LbT also promotes students' learning presence, and strengthens various competenc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learners in the form of LbT has been explored as an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ith methods including peer learning, peer tutoring, peer teaching, peer mentoring, Lernen durch Lehren, and peer-assisted learning. LbT has also been applied as a learning method. In the future, LbT has boundless potential to improve learning through activities such as flipped learning or online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 KCI등재

        대학의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최효선 ( Hyoseon Choi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7 No.1

        교수자의 정서는 학습자의 정서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다. 감염병으로 인한 세계 건강 위기가 교육의 위기로 확장되면서 비대면 원격수업을 진행하게 된 교수자는 여러모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 인식이 교수자 정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대면수업과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인식과 정서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11명의 교수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는 대면 수업에 비해 비대면 원격수업의 준비과정이 복잡하고, 학습내용이 어려우며, 학습량이 많은 방법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교수자가 비대면 원격수업과 대면수업의 특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교수자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교수자가 비대면 원격수업을 대면수업과 동일하게 인식할수록 긍정정서는 높고, 부정정서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대면수업과 상이한 비대면 원격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을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아울러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피드백 체제와 교수자별 맞춤형 교육을 통한 비대면 원격수업의 지원을 제안하였다. Instructor’s emotion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learner’s emotion and their learning effects. As the global health crisis caused by infectious disease has shifted to the crisis of education, teachers who have conducted emergency remote instructions are under stress in many way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instructors’ perception of remote instructions affects the emotions, and to seek ways to support instructors in remote learning courses.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or faculties to explore their perceptions and emotions about remote instructions, and 411 instructors voluntarily participated. As a result, instructors recognized that the preparation process for remote instructions was complicated, the learning contents were difficult, and the amount of learning was excessiv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instructors according to how they percei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mote learning and the traditional face-to-face cours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itive emotions and the lower the negative emotions, the more the instructor perceived the remote instructions as the traditional cour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role of instructors into remote learning courses, which are different from face-to-face courses, and it is suggested to establish a feedback system for remote learning. In addition, it was proposed to support instructors’ remote learning classes through 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instructor.

      • KCI등재

        스마트러닝에 대한 원격대학 학습자의 인식

        최효선(Hyoseon Choi),우영희(Younghee Woo),정효정(Hyoj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0

        이 연구에서는 성인학습자를 위한 스마트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원격대학의 성인학습자가 스마트러닝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원격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950명이 응답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스마트러닝을 현재의 원격학습*에 비해 ‘몰입이 가능’하고, ‘쌍방향적’이며, ‘협력적’이라고 인식하였으며, ‘경험의 결합’을 주요 특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40?50대의 학습자가 20?30대에 비해 스마트러닝을 ‘맞춤형’, ‘인간적’, ‘쌍방향적’, ‘편안한’, ‘안정적’, ‘익숙한’, ‘피로하지 않은’, ‘실제적’인 것으로 인식하였고, ‘경험의 결합’이 스마트러닝의 특성이라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컸다. 이는 스마트러닝에서의 학습 목적이 연령별로 다르기 때문이라 유추할 수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성인학습자의 연령과 특성에 따른 스마트러닝 목적과 학습유형, 전략의 논의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 관점에서 스마트러닝의 개념과 특성을 재조직화하고 이에 대한 논의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students’ perception of smart learning focusing on its definitions, roles and values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In the online survey, 1,950 students of ‘A’ open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viewed the smart learning to be more ‘absorbing’, ‘interactive’ and ‘collaborative’ than the existing e-learning, as it compiles their experiences into learning. However, the respondents’ perceptions of smart learning varied among different age groups: more students in their 40s and 50s responded that smart learning was ‘customized’, ‘humanlike’, ‘interactive’, ‘comfortable’, ‘stable’, ‘familiar’, ‘unstressful’, and ‘practical’ than students in their 20s and 30s, and they tend to view the main feature of smart learning to be the compilation of learner experiences.

      • KCI등재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과제물 피드백 필요성에 대한 인식 분석

        최효선(Choi Hyoseon),정혜령(Jung Hyeryung)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2 평생학습사회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dult learners' perception of the need for assignment feedback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Recent literature has paid attention to the use of feedback as formative assessment in the view of constructive learning and lifelong learning. Despite the student-centered approaches on assessment, little has been researched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need for assignment feedback. This article presents an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of 5,078 students in a distance university. The survey investigated the distanc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need for assignment feedback, students's characteristics influencing on the perception, and the relation between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assignment feedback. The survey result showed that most of the students perceived the need for assignment feedback. In addition, the perception was affected by skills of preparing for assignments, learning motives, learning communities and age. The research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light of the current state of assessment practice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possibilities in this area.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 개발 연구

        최효선 ( Hyoseon Choi ),남창우 ( Changwoo Nam ),강이화 ( Ewha Kang ),이지경 ( Ji-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2

        수업에 대한 성찰 속에서 배움이라는 본질을 추구하자는 배움중심수업이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교육적 가치로서의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논의는 많지만 교육현장에서의 실천을 위한 수업설계모형이 미흡하여 개발이 요구된다. 이 때 학습자의 개인별 성장을 중요시하고, 학습에 대한 선택권을 강조하며,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는 보편적 학습설계(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원리는 배움중심수업설계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을 개발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와 배움중심수업에 대한 문헌분석과 세 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여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수업의 실천방향과 요소, 수업설계의 절차모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모형에 대해 전문가 타당화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다양성, 자율성, 공동체, 성장의 네 가지 실천방향이 도출되었다. 둘째, 주체, 분석, 협력, 영역, 설계 및 성찰이라는 여섯 가지 요소가 도출되었고, 요소별로 하위요소가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수업의 절차모형으로서, 순환적, 맞춤형, 교사와 학습자의 협력적 활동, 교사 공동체를 통한 협력적 성찰을 포함한 배움중심수업의 절차와 구체적인 세부 단계가 개발되었다. 보편적 학습설계 원리를 적용한 배움중심 수업설계모형은 다양한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되어 배움이 있는 수업을 실천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has currently attracted educators’ attentions for pursuing learning as the essence as the reflection of instruction. Although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is widely discussed as the value of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has not been developed yet.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UDL) has some implications for designing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for stressing learners’ individual growth and right of choice for learning based on community-based approach with intera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centered instructional design model applying UDL. 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bout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UDL, and three-rounds delphi method. Thus, it developed practice directions, elements, and procedural model for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applied UDL, and conducted expert validation about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odel. This study includes the main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ractice directions are composed of diversity, autonomy, community, and growth. Second, the elements include subject, analysis, collaboration, domain, design, and reflection, and each subsequent elements. Lastly, the procedural model of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is composed of the process and specific steps of iteration, adaptation, collaborative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nd collaborative reflection with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is study has some implications of offering meaningful framework for diverse learners to practice learning-centered instruction as subjects of learning effectively.

      • KCI등재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업적응지원을 위한 원격학습준비도 진단도구 개발

        최효선(Hyoseon Choi),연은경(Eunkyoung Yeon),남나라(Nara Nam),주형선(Hyungson Ju)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3

        국내외 원격대학에서는 성인학습자의 학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대학생활 준비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학습방법을 안내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문헌 및 사례 분석,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학습준비도 진단도구의 영역, 요인 및 문항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진단도구는 전문가, 대학 실무담당자, 원격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세 차례에 걸쳐 타당화하였다. 그 결과,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를 ‘성인학습자로서의 준비’, ‘원격학습자 역량’, ‘대학생활 알아보기’ 등 3개 영역 총 80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원격학습준비도 진단도구의 타당성 분석 결과, 진단도구는 신뢰롭고 타당하여 진단도구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단도구에 대한 학습자 반응 역시 대체로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대학 학습자의 학습준비도 진단도구는 원격대학 학업적응을 지원함으로써 여러 학습자의 학업지속 동기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a distance learning, it is gradually getting attention to measure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of distance learners by using learning readiness tools as a way to support learner’s distance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diagnostic tool that can measure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of the distance learners. Th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analysis of learner’s learning process wer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learning readiness tool. As a result, the area of the learning readiness tool of the distance learners was divided into three areas: ‘preparation as an adult learner’, ‘competencies of a distance learner’, and ‘learning students’ life’. The results of the three-phase validations for experts, college practitioners, and distance learners showed that the developed learning readiness tool was reliable and valid enough to be used as a learner support tool. It is expected that the distance learning readiness tool for distance learners can improve learning competencies by supporting distance learning adaptation.

      • KCI등재

        건강증진 메시지 디자인 원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효선(Hyoseon Choi),조영환(Young Hoan Cho),유명순(Myoung Soon You)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6

        이 연구에서는 일반인이 건강증진 메시지 디자인과 관련하여 핵심정보 제시,내용의 유용성, 형식, 직관성의 중요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와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하는 웹진의 텍스트와 시각자료가 위 네 가지 측면에서 얼마나 효과적으로 디자인되었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 변인이 무엇인지를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94명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중요도 및 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텍스트 디자인에서 내용의 유용성을, 시각자료 디자인에서 핵심정보 제시를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인식하였으며, 텍스트와 시각자료 모두 형식 측면에서의 실행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각자료의 핵심정보 제시와 직관성은 가장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할 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의 건강관심도가 건강증진 메시지 디자인 원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효과적인 건강증진 메시지 개발을 위한 원리와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eople perceived the importance of health message design principles including gist presentation, usefulness of content, format, and intuitive design and how well a webzine article published by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was designed in terms of the four design principles. This study also explored what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perceptions of health message design principles. A total of 294 adul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ethod. Participants perceived that usefulness of content was most important in the text design; gist presentation was most important in the visual design; and format was well designed in both text and visual messages.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crucial to improve the quality of visual health messages particularly in terms of gist presentation and intuitive design. We also found that individuals’ interest in healt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erceptions of health messages.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principles and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design of health messages.

      • KCI등재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학습능력 차이 분석: 잠재계층분석(Laten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최효선 ( Hyoseon Choi ),성은모 ( Eunmo Sung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7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3 No.1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변인 중심이 아닌 인간의 행위를 중심으로 한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여 영향요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사람 중심 접근 법인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중학생의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자기주도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아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 유형을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 비교연구II`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국의 중학생 3,387명의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자기주도학습능력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네 개의 잠재계층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소극적 활용형`, `정보수집공유형`, `지원도구활용형`, `멀티플레이어형`으로 명명되었다. 유형별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다변량분석한 결과, `멀티플레이어형`의 경우 모든 자기주도학습능력 하위영역에서 우수하였으며, `소극적 활용형`은 모든 영역에서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정보수집공유형`은 과제관리, 문제해결, 메타인지, 몰입 영역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현장에서 스마트미디어 리터러시와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개발하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dentify the types of latent class about smart media literac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literacies. To address those goals, the data, the questionnaires of smart media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ere collected from `A Study on Measurement of Korean Youth Competency and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I: IEA ICCS 2016`. the study analyzed data from 3,387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the latent classes of smart media literacies i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4 classes such as Passive use`, Information gathering & sharing`, Tool based use, and Proactive use smart media literacy groups. ANOVA and MANOVA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four types of latent classes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smart media literacies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s a result, the Multiple using group as higher smart media literacy was excellent in all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owever, the Passive using` group as lower smart media literacy was lower level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Information collecting & sharing group showed that higher level in task management,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flow than other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a discussion of the improving learners` smart media liter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students was presented at the conclusion.

      • KCI등재

        교육적 효과 증진을 위한 대학 이러닝 플랫폼 요구분석

        김은희(Eunhee Kim),최효선(Hyoseon Choi)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1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4 No.3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환경은 인지적, 정의적 영역 측면에서 학습자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갖추어야 할 이러닝 플랫폼의 특성은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데에 근본적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이러닝 플랫폼을 활용하여 얻고자 하는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지, 교육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이러닝 플랫폼 요소는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 교수자 96명, 학습자 46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와 학습자는 이러닝 플랫폼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이나 수업만족도와 참여도, 학습흥미도, 문제해결력, 고차적 사고력을 향상시킨다고 인식하였다. 교육적 효과를 위해 필요한 이러닝 플랫폼 요소로는 수업 준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지원기능과 학습의 과정과 결과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대시보드, 학습과정 및 결과에 대한 알림이나 적응적 피드백 기능, 포트폴리오 관리나 부정행위 방지를 위한 평가 도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맞춤형 학습지원 시스템의 역할을 요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e technology-based learning environment affects learners’learning effects in terms of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at the form of an e-learning platform should b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s.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instructors and learners recognize through use of e-learning, and what are the elements of e-learning platform necessary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s. A survey was conducted on 96 faculties and 466 learners of A University. As a result, instructors and learners recognized that the e-learning platform improves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course satisfaction, learners’ enrolment, learning interest,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E-learning platform elements necessary for educational effectiveness include supporting function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urse preparation, dashboards to monitor learning process and results, notifications or adaptive feedback functions on learning processes and results, and portfolio management. It wa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need for an evaluation tool to prevent a cheating behavior. This suggests that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are demanding the role of individualized learning support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