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후만록』 에 나타난 기억 서술의 양상과 그 의미

        최혜미 ( Hemi Choi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4

        『병후만록 』은 최규서가 만년에 자신의 삶 전반을 회고하며 기록한 필기 저작으로, 저자가 특정 시점에 자신의 전 생애를 반성적으로 회고해 보았다는 점에서 현대적 의미의 자서전으로도 손색이 없는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최규서의 생애와 『병후만록 』의내용을대략적으로개괄하고, 수록작품을‘유년과청년시절의개인사’와 ‘당쟁사와 관련된 기억’으로 구분하여, 작품에 나타난 기억 서술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논의를 진행하였다. ‘유년과 청년시절의 개인사’에 해당하는 내용에서는 자신의 과거를 소탈하고 진솔하게 서술하는 면모가 주요하게 나타난다. 여기서 ‘기억된 과거의 자아’와‘기억하는 현재의 자아’ 사이의 일정한 간격이 포착되는데, 최규서가 유쾌한 필치로 서술한 젊은 시절의 시행착오들은 과거의 자신이 현재의 자신에게서 분리되어 대상화되었기에 가능한 서술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부족한 면모를 서술하더라도 그것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것 자체가 목적이 아니며, 현재 자신의 진솔한 모습을 드러냄과 동시에 과거의 잘못과 실수를 극복하고 만들어진 현재의 자신을 긍정하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반면 당쟁과 관련된 기억을 다룬 내용에서는 기억하는 자아와 기억되는 자아사이의 단절이 상대적으로 분명치 않다. 그가 당쟁을 회고하는 일화에서, 과거의 자신은 심상찮은 역사의 흐름을 인지하고 불안해하며, 현재의 자신은 불안의 구체적인 실체가 무엇인지 확인시켜주는 구조가 반복적으로 드러난다. 이를 통해 그는 당시에는 제대로 평가받지 못했던 자신의 진정을 거듭 해명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과거의 기억 서술에는 일정한 편향성이 나타난다. Byeong-hu-man-rok is a prose written by Choi Gyu-seo in his later years looking back upon the past. This thesis reviews Choi``s life and the contents of Byeong-hu-man-rok, categorizing his works into ``personal life in his youth`` and ``memoirs of interparty strife`` to find the descriptive features in writing his own memories. First of all, his modest and frank manner is generally displayed in his writing style in the works describing ``personal life in his youth.`` There``s a gap between the ego of recollected past and the ego of recollecting past, which enables to record the younger days`` mistakes and errors humorously by recognizing the ego of the past as a object seperated from himself today. Thus the purpose of writing is not revealing his weaknesses honestly but affirming his life making progress from the past experiences. Regarding the ``memoirs of interparty strife``, however, the gap between the two egos - past and present - is relatively unshown. In his memoirs, the witing strategy where the ego of the past concerns about the raging waves of history before the ego of today explains the specific political conditions is repeatedly used, to give the reasons of his past choices that haven``t been understood at the time and be admitted.

      • KCI등재

        『대학장구(大學章句)』 "성의(誠意)"의 주석에 대한 한(韓),중(中) 학자들의 변석 양상 일고(一考)

        최혜미 ( Hemi Choi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0 No.-

        본고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大學章句』의 내용을 비교하고, 양자 간의 상이점인 ``必自慊``(한국)과 ``一於善``(중국)을 키워드로 삼아 이에 대한 한·중 학자들의 변석 양상을 살펴보았다. 중국에서는 두 가지의 변석이 『대학장구』의 정본을 확정하는 문제와 연관되어 있었다. 朱熹의 사후, 宋·元代에는 ``一於善``이 정설이었다가, 이후 永樂 13년(1415)에 편찬된 『四書五經大全』의 영향으로 祝洙의 『四書附錄』본, 즉 ``必自慊``으로 쓰인 판본이 주류를 이루었다. 淸代에 이르러 『사서오경대전』은 총체적인 비판을 받았고 이러한 태도를 견지한 吳英·吳志忠은 ``一於善``을 정설로 채택하였다. 현대에 이르러 吳氏의 판본이 선본으로 평가되면서 ``一於善``을 주희의 정론으로 인정한 中華書局本 『사서집주』가 성립되었다. 조선의 경우에는 『사서대전』본을 중심으로 『대학장구』를 접하였기 때문에 대체로 대전본의 내용을 수용하여, 주자가 임종 사흘 전에 ``一於善``을 ``必自慊``으로 개정했다는 陳력의 견해를 신뢰하였다. 17세기 중엽에 이르러 ``必自慊``과 ``一於善``에 관한 상세한 논의가 제출되었다. 대체로 각 설의 우열을 논하기보다는 주희의 사고의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내용이 주조를 이루며, 특히 각각에 대해 『朱子語類』나 『朱子大全』에서 근거를 찾고 정밀하게 검토하는 작업이 두드러졌다. 18세기에는 대전본의 주석 및 여타의 주석서를 폭넓게 살펴보고 비판적 결론을 도출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중요하게 참고했던 책으로 淸代 李沛霖의 『朱子四書異同條辨』이 있었다. When comparing Korean and Chinese editions of Daxue Zhangju (大學章句), we can find a difference in Zhuxi`s annotation - written as 必自慊 in Korean version and 一於善 in Chinese version in the part of explaining the concept of 誠意 in Chapter 1- and that small variation of words shows the difference of understanding the prestigious scholiast`s annot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academic society. In the determination of official Daxue Zhangju, there were two main arguments in China. After Zhuxi`s death, 一於善 was widely accepted in Song and Yuan Dynasty, but it was overturned to 必自慊 under the influence of 『四書五經大全』 published in 1415, until 吳英·吳志忠 claimed 一於善 as the original version thanks to the widespread criticism against the Youngle(永樂) Edition in Qing dynasty. Since 吳`s edition established high reputation today, 一於善 is recognized as what Zhu originally meant to write. In Joseon, however, 陳력`s assertion appeared in 『大全』 that Zhuxi revised 一於善 to 必自慊 on three days before his death was dominant argument because Youngle Edition was the major platform to read the book from the very beginning. In mid 17th Century, there was an in-depth controversy on 必自慊 and 一於善, but most argument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great annotator`s logical connection rather than judging right and wrong of each theory, and they closely reviewed 『朱子語類』 and 『朱子大全』 to find reliable authority for the purpose. In 18th Century, there was a tendency that cites not only annotations from Youngle Edition but various explanatory notes about the subject to draw critical conclusion. 『朱子四書異同條辨』 by 李沛霖 in Qing Dynasty was one of the major references.

      • KCI등재

        곽광(?光) 고사(故事)의 정치적 활용 양상 일고(一考) - 중종반정(中宗反正)을 전후한 시기를 중심으로 -

        최혜미 ( Choi Hemi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본고는 당대의 정치적 맥락을 참고하여 ?光 고사를 이용한 수사가 갖는 遂行性을 구명하였다. 중종조 이전에는 ‘權臣’의 관습적 의미가 강했던 곽광은 中宗反正을 통해 ‘功臣’으로서 호출되었다. 반정을 주도한 신하들에 의해 반정의 전범으로서 곽광 고사가 활용되었고 그리하여 ‘곽광 공신 反正臣’을 등호에 넣는 새로운 관습적 의미가 자리 잡았다. 이에 비공신계 대간 측에서는 ‘반정신=곽광’의 레토릭은 인정하되 곽광의 사적과 일치하지 않는 사례들, 특히 錄功의 문제를 중점적 비판하였고 이로써 靖國功臣의 일부를 공신에서 분리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역사 사건과 실제 사건의 유사성이 특정 고사가 활용되는 근거를 마련해 주기는 하나 그 수사적 목적은 두 사건 간의 차이점을 어떻게 다루느냐에 달려있음이 확인된다. ‘신하 주도의 폐립’이라는 유사성 때문에 반정신을 옹호하는 측과 공격하는 측에서 모두 곽광을 언급하지만 국왕 측에서는 그 공로를 강조함으로써 반정신과 곽광의 차이점인 공신의 非違, 명분 없는 녹공 등을 무마하고자 하였던 반면, 대간 측에서는 두 사건 간의 차이점을 강조함으로써 반정공신 측의 명분적 취약성을 공격하는 근거로 삼았다. 한편, 양측에서 논공의 정당성을 가지고 공방을 벌이는 사이에, ‘중종조는 연산의 폭정을 종식시킨 중흥의 왕조’라는 인식은 끊임없이 환기되었다. 중종 10년 이후, 공신 집단이 정치 집단으로서의 세력을 상실하게 되었지만 애초에 기획했던 ‘중흥의 왕조’로서의 프레임은 더욱 견고해 졌는데, 이는 무엇보다 中宗이라는 묘호가 명확히 드러내고 있다. This thesis tried to find out the performativity of evaluating and citing Huoguang(?光), the ancient historical Chinese figure, in the political context of the Jungjong-banjeong(中宗反正) in Joseon. Even though Huoguang had been mainly regarded as a powerful coutier, the coup re-defined him as a great vassal of merit by those who played major part in dethroning the former king, in the purpose of creating a narrative in which what they did is just as same as what Huoguang did in the history. In this context, Huoguang was identified with the meritorious retainer of Jungjong(中宗). On the other side, however, there were some officials who tried to attack those meritorious retainers by adopting Huoguang narrative. They also approved the analogy of Huoguang and the coup leaders, but at the same time, they targeted on some of the vassals insisting they had no contribution for the honor and had no similarities with the Chinese hero. We can see here that even when a historical event is called for justifying certain political situation on the basis of somewhat similar outlook, the rhetorical purpose can be always diverse according to different perspectives regarding the problematic situation. Even when Huoguang was constantly regarded as the examplary model of dethrowning of evil king by both sides of the court, some tried to hide their corruption in the glorious name of Huoguang, while others pointed out the differences of Huoguang and them to reveal their moral weakness. What is more, the result of the continuous controversies on who is the real contributor like Huoguang turned out to be the consolidation of kingship of Jungjong, because Jungjong should be always represented as a great king who ended the evil king’s reign in the structure of the rhetoric. The frame of regarding the coup as the restoration of Joseon dynasty was strengthen, while the leading subjects of the event lost their political influence after 10 years, as the name of Jungjong, the Restorer, sho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